본 논문은 2011년도 발표한 「메뉴. 사례별 한식기 반상 규범화 연구」의 후속 연구이다.
2009년 이후 메인디쉬, 찬기의 사각형 접시 사용 사례가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보수적이라는 도자식...
본 논문은 2011년도 발표한 「메뉴. 사례별 한식기 반상 규범화 연구」의 후속 연구이다.
2009년 이후 메인디쉬, 찬기의 사각형 접시 사용 사례가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보수적이라는 도자식기 세계에 있어서 큰 변화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변화를 포함하여 인기 있는 한식메뉴 별로 한식기 구성, 규범화 제안을 하였다. 연구방법은 2009년도 제안한 밥, 국그릇의 모듈 직경 11, 14㎝를 기준으로 사각형태의 각 변의 길이가 같은 11, 14, 17, 22㎝의 정사각형과긴 변의 길이가 17, 22㎝의 직사각형의 평면 카드와 원형 카드로 평면 공간형 식기 배선 실험을 하였다.
또한 전국 한식당의 메뉴 사례를 선호도 높은 메뉴 별로 분류, 도면화하고 본인이 제안한 기본 모듈로 구성된 구성 안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2인 식탁 평면의 크기를75× 75, 또는 60× 80㎝로 볼 때 일품용 식기 구성의 최소 수량은 일인 3피스, 2인 5피스이고,최대 16피스 이상을 배치할 수 없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직사각형의 접시사용과 메뉴 별 반찬 가지 수에 따른 규범 구성안은 식기의 수를 줄이고 식탁의 구성도 미감 있고 심플하게 할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 연구의 목표는 가정의 일상용 식기, 이벤트용 식기의 규범화를위한 식기 구성 연구로써 사용자뿐만 아니라 생산자 측을 위한 것이다. 이 규범 안이 우리나라 한식기의 정체성을 알려 줄 한식의 세계화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규범화 연구가 확대, 파급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