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진선, "할아버지의 감나무" 평화를 품은 책 2019
2 강인화, "한국사회의 베트남전쟁 기억과 참전군인의 기억투쟁" 한국사회사학회 (97) : 105-135, 2013
3 박명림, "한국 1950 : 전쟁과 평화" 나남 2002
4 목진휴, "학교 나라사랑교육 체계화 방안 연구" 보훈교육연구원 2012
5 "초등학교 6-1 「사회」 교과서"
6 김중신, "청소년 문학의 재개념화를 위한 고찰" 한국문학교육학회 9 : 11-36, 2002
7 "중학교 「역사」 교과서"
8 선우현, "정의로운 전쟁과 두 차원의 정의 - 정의로운 전쟁의 규범적 정당화 가능성 및 현실화 가능성과 관련된 몇 가지 쟁점과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32) : 159-192, 2016
9 수잔 콜린스, "정글 전쟁" 내인생의 책 2015
10 오영순, "전쟁사 수업에 관한 자기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 서진선, "할아버지의 감나무" 평화를 품은 책 2019
2 강인화, "한국사회의 베트남전쟁 기억과 참전군인의 기억투쟁" 한국사회사학회 (97) : 105-135, 2013
3 박명림, "한국 1950 : 전쟁과 평화" 나남 2002
4 목진휴, "학교 나라사랑교육 체계화 방안 연구" 보훈교육연구원 2012
5 "초등학교 6-1 「사회」 교과서"
6 김중신, "청소년 문학의 재개념화를 위한 고찰" 한국문학교육학회 9 : 11-36, 2002
7 "중학교 「역사」 교과서"
8 선우현, "정의로운 전쟁과 두 차원의 정의 - 정의로운 전쟁의 규범적 정당화 가능성 및 현실화 가능성과 관련된 몇 가지 쟁점과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32) : 159-192, 2016
9 수잔 콜린스, "정글 전쟁" 내인생의 책 2015
10 오영순, "전쟁사 수업에 관한 자기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1 강순원, "인간안보 관점에서의 세계시민교육"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1 (11): 1-32, 2016
12 시사인, "유치원부터 무찌르자 공산당?"
13 박혜선, "우리 할아버지는 열다섯 살 소년병입니다" 위즈덤하우스 2019
14 신주백, "우리 역사 바로 알자 김일성은 가짜가 아니다" 15 : 1991
15 박명림, "역사와 지식과 사회-한국전쟁 이해와 한국사회" 나남 2011
16 김왕배, "언어, 감정, 집합행동: 탄핵반대 ‘태극기’ 집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회학회 25 : 7-59, 2017
17 이영, "어느 소년병 이야기" 좋은꿈어린이 2016
18 심진규, "안녕, 베트남" 양철북 2018
19 김민령, "아동청소년문학 출판과 독자 구분"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4) : 41-70, 2019
20 선안나, "아동문학과 반공이데올로기" 청동거울 2009
21 "아동문학" 문학예술출판사
22 고경일, "아기 진달래" 계절의 틈 2019
23 남미영, "소년병과 들국화" 세상모든책 2018
24 월터 딘 마이어스, "소년 정찰병" 북비 2011
25 오마이뉴스, "보훈처, 우편향 '나라사랑교육'에 이상한 예산 증액"
26 정보공개센터, "보훈처 안보교육! 누가 무엇을 교육하는가?"
27 윤충로, "베트남전쟁 참전군인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과 지배 이데올로기의 재생산" 비판사회학회 (76) : 196-221, 2007
28 박태균, "베트남 전쟁" 한겨레출판 2015
29 김한종, "민주사회와 시민을 위한 역사교육"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30 "대한민국 월남전 참전자회 홈페이지"
31 "대한민국 6․25 참전 유공자회 홈페이지"
32 선안나, "뉴질랜드 참전용사들의 한국전쟁 이야기" 상상스쿨 2014
33 송미원, "나라사랑교육 전문 강사진 양성 프로그램 개발" (사)한국미래문제연구원 2015
34 김금희, "그림책에 나타난 ‘전쟁’의 이미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1-19, 2012
35 권정생, "곰이와 오푼돌이 아저씨" 보리 2007
36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37 한홍구, "가짜 김일성설과 한국현대사" 6 : 2002
38 뉴스타파, "‘나라사랑’ 강사명단 단독 입수...‘보수편향’심각"
39 김광규, "6·25전쟁 수업에서 ‘전쟁영웅’을 어떻게 이야기 할 것인가"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6 (26): 21-39, 2019
40 이영미, "1950년대 북한 아동문학교양장(場) 연구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기관지 『아동문학』 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66) : 329-358, 2008
41 김윤식, "1950년대 문학 연구" 예하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