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기통제력, 신경증과 외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성인 남녀 20대부터 40대 400명을 대상으로 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952822
서울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6
학위논문(석사)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상담학과 상담학일반 , 2016. 2
2016
한국어
서울
64 p. ; 26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기통제력, 신경증과 외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성인 남녀 20대부터 40대 400명을 대상으로 온...
본 연구는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기통제력, 신경증과 외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성인 남녀 20대부터 40대 4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이용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우리나라는 최근 3~4년 사이 세계 어느나라보다 스마트폰 보급과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해왔다. 특히 스마트폰은 일상생활에 편리함과 유용성을 주는 동시에 성인의 경우, 개인적인 사용 뿐 아니라, 업무나 학업용으로 사용하면서 더욱 습관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 성인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형태나 빈도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다양한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되는 동시에, 시간, 장소, 비용과 콘텐츠 사용에 있어 비교적 자유롭다는 점에서 성인들의 스마트폰 중독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스트레스측정을 위하여 KSCL95의 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스마트폰 중독척도는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개발한 성인 스마트폰 중독자가진단척도(S-척도)를 사용하였다. 자기통제력척도는 한국판 단축형자기통제척도(BSCS), 성격요인은 성격5요인척도를 통해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하였고, AMOS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성인들은 경제적 책임, 생활유지, 대인관계 등의 스트레스가 높은 반면 이를 해소할만한 적극적인 대처방안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며, 가장 가까이 있으며 사용이 편리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길수록 스트레스가 증가된다는 점은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악순환적인 관계를 의미하기에 이를 조절하기 위한 스트레스 대처기술을 습득해야한다.
둘째, 자기통제력은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한다.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기통제가 어렵고, 자기통제가 어려울수록 스마트폰 중독이 높아지는 점에서 자기통제력은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성격요인 중 신경증과 외향성은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한다.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신경증이 두드러지며, 신경증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으로 빠질 위험이 높아진다.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외향성은 줄어들며, 외향성이 줄어들수록 스마트폰 중독은 낮아진다. 이에 신경증 경향을 보호하는 상담적 접근이 필요하고, 건강한 스마트폰 사용에 관한 교육이 요구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