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헌법상 투명성원칙에 관한 試論的 考察 = A Constitutional study on the principle of transparen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087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can be said that state's decision and exertion of authority should be progressed with transparency is inherent in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of democracy. However, as the reality of today's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the value of transparency is renewed emphasize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will induce the constitutional implications of the principles of transparency.
      Transparency is understood like as possibility of recognition and comprehension, clarity, etc. from the legal aspects and means reasonable information sharing. This principle of transparency is composed with result-transparency; transparency of the result of state's decision-making and exercise, process-transparency; transparency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contents-transparency; fair and open decision-making with absolute and enough ensuring of the right to read, responsibility-transparency; clarifying where the responsibility lies and preparing a system to accuse responsibility. It is a global trend to emphasize the principle of transparency and in United States, Germany and the European Union principle of transparency is reflected in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and law establishing.
      The transparency of result, process, contents, and responsibility of state's authority exercising, since the establishment of modern state continually required. Democracy can be maintained when the sufficient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people and state are held. And rule of law means reservation of laws, due process of law, principle of definiteness, confidence protection principle. Therefore, although the Constitution of Korea does not explicitly mention the transparency, but rather than new, the principles of transparency is inherent in the democratic principles and the rule of law.
      The principle of transparency is a constitutional principle and fundamentally, it is a base when the National Assembly to legislate. However, the principle should be reflected in the constitutional reform. For the direct democracy, it is important to get new systems open to the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state's decision-making or to press the person in authority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 action. Also, it is needed to enact provisions information relating fundamental rights in the Constitution.
      번역하기

      It can be said that state's decision and exertion of authority should be progressed with transparency is inherent in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of democracy. However, as the reality of today's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the value of transparen...

      It can be said that state's decision and exertion of authority should be progressed with transparency is inherent in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of democracy. However, as the reality of today's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the value of transparency is renewed emphasize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will induce the constitutional implications of the principles of transparency.
      Transparency is understood like as possibility of recognition and comprehension, clarity, etc. from the legal aspects and means reasonable information sharing. This principle of transparency is composed with result-transparency; transparency of the result of state's decision-making and exercise, process-transparency; transparency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contents-transparency; fair and open decision-making with absolute and enough ensuring of the right to read, responsibility-transparency; clarifying where the responsibility lies and preparing a system to accuse responsibility. It is a global trend to emphasize the principle of transparency and in United States, Germany and the European Union principle of transparency is reflected in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and law establishing.
      The transparency of result, process, contents, and responsibility of state's authority exercising, since the establishment of modern state continually required. Democracy can be maintained when the sufficient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people and state are held. And rule of law means reservation of laws, due process of law, principle of definiteness, confidence protection principle. Therefore, although the Constitution of Korea does not explicitly mention the transparency, but rather than new, the principles of transparency is inherent in the democratic principles and the rule of law.
      The principle of transparency is a constitutional principle and fundamentally, it is a base when the National Assembly to legislate. However, the principle should be reflected in the constitutional reform. For the direct democracy, it is important to get new systems open to the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state's decision-making or to press the person in authority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 action. Also, it is needed to enact provisions information relating fundamental rights in the Constitu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가기관의 의사결정 및 권한행사는 국민에 대해 투명성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은 민주국가의 헌법에 내재하는 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성은 오늘날 정치적・경제적 현실의 변화에 따라 그 가치가 새롭게 강조되고 있다. 국가권력의 행사가 그 결과와 절차, 내용 및 책임의 측면에서 투명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은 근대국가 성립 이후 계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비록 헌법은 명시적으로 투명성을 언급하고 있지는 않지만 투명성 원칙은 새로운 것이라기보다는 국가와 국민이 충분히 소통하고 협력하는 것이 전제되어야만 기능할 수 있는 민주주의원리와 법률유보, 적법절차의 보장, 명확성의 원칙, 신뢰보호원칙 등을 내용으로 하는 법치주의원리와 같은 민주국가의 헌법원리에 내재하는 원칙이다. 헌법원칙으로서 지위를 인정할 수 있는 투명성 원칙은 일차적으로 국회에 의한 입법의 기준으로 작용함으로써 구체화될 것이지만, 헌법개정의 측면에서 투명성 원칙이 관철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인바, 국민이 직접 국가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장치나 대표자에게 법적인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직접민주주의적 요소를 도입하고, 정보관련 기본권을 보다 독자적으로 규정함으로써 투명성 원칙을 기본권의 차원으로 구체화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국가기관의 의사결정 및 권한행사는 국민에 대해 투명성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은 민주국가의 헌법에 내재하는 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성은 오늘날 정치적...

      국가기관의 의사결정 및 권한행사는 국민에 대해 투명성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은 민주국가의 헌법에 내재하는 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성은 오늘날 정치적・경제적 현실의 변화에 따라 그 가치가 새롭게 강조되고 있다. 국가권력의 행사가 그 결과와 절차, 내용 및 책임의 측면에서 투명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은 근대국가 성립 이후 계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비록 헌법은 명시적으로 투명성을 언급하고 있지는 않지만 투명성 원칙은 새로운 것이라기보다는 국가와 국민이 충분히 소통하고 협력하는 것이 전제되어야만 기능할 수 있는 민주주의원리와 법률유보, 적법절차의 보장, 명확성의 원칙, 신뢰보호원칙 등을 내용으로 하는 법치주의원리와 같은 민주국가의 헌법원리에 내재하는 원칙이다. 헌법원칙으로서 지위를 인정할 수 있는 투명성 원칙은 일차적으로 국회에 의한 입법의 기준으로 작용함으로써 구체화될 것이지만, 헌법개정의 측면에서 투명성 원칙이 관철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인바, 국민이 직접 국가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장치나 대표자에게 법적인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직접민주주의적 요소를 도입하고, 정보관련 기본권을 보다 독자적으로 규정함으로써 투명성 원칙을 기본권의 차원으로 구체화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2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0

      3 장영수, "헌법학" 홍문사 2010

      4 김일환, "헌법상 사생활관련자유의 개정방향과 내용에 관한 연구" 12 (12): 2006

      5 임종훈, "한국사회에서의 법치주의에 대한 재조명" 법학연구소 9 (9): 93-115, 2008

      6 장용석, "한국사회 투명성 패러다임의 전환 1993년~2006년 신문기사 내용분석" 한국사회학회 42 (42): 146-177, 2008

      7 김일환, "지식정보사회에 대비한 헌법개정의 필요성과 방향에 관한 서설적 고찰"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5 (15): 253-276, 2009

      8 김배원, "정보기본권의 독자성과 타당범위에 대한 고찰 -헌법개정과 관련한 체계구성을 중심으로-" 12 (12): 2006

      9 성낙인, "정보공개법의 시행과 문제점에 관한 고찰" 42 (42): 2001

      10 한수웅, "본질성이론과 입법위임의 명확성원칙" 14 : 2003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2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0

      3 장영수, "헌법학" 홍문사 2010

      4 김일환, "헌법상 사생활관련자유의 개정방향과 내용에 관한 연구" 12 (12): 2006

      5 임종훈, "한국사회에서의 법치주의에 대한 재조명" 법학연구소 9 (9): 93-115, 2008

      6 장용석, "한국사회 투명성 패러다임의 전환 1993년~2006년 신문기사 내용분석" 한국사회학회 42 (42): 146-177, 2008

      7 김일환, "지식정보사회에 대비한 헌법개정의 필요성과 방향에 관한 서설적 고찰"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5 (15): 253-276, 2009

      8 김배원, "정보기본권의 독자성과 타당범위에 대한 고찰 -헌법개정과 관련한 체계구성을 중심으로-" 12 (12): 2006

      9 성낙인, "정보공개법의 시행과 문제점에 관한 고찰" 42 (42): 2001

      10 한수웅, "본질성이론과 입법위임의 명확성원칙" 14 : 2003

      11 김상겸, "법치국가실현을 위한 국가의 적극적 의무" 한국공법학회 38 (38): 299-328, 2009

      12 김민호, "민간영역에서 개인정보의 처리와 이용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한국토지공법학회 46 : 291-318, 2009

      13 이상환, "국제적 반부패 논의와 한국의 대응방안:회계투명성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세계지역학회 24 (24): 227-243, 2006

      14 김태호, "국가비밀과 정보공개―정보공개법 제7조 제1항 제1호 및 제2호의 비공개사유와 그 운용을 중심으로―"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8 : 15-354, 2002

      15 이순자, "情報公開法上 非公開情報에 대한 判例의 檢討" 한국토지공법학회 45 : 319-358, 2009

      16 Hans Heinrich, "Zur Transparenz der Gesetze"

      17 Jṻrgen Brohmer, "Transparenz als Verfassungsprinxzip grundgesetz and Europäische Union" Mohr Siebeck 2004

      18 Burkart Holzner, "Transparency in Global Change" University of Pittsbourgh Press 2006

      19 Barry M. Hager, "The Rule of Law -A Lexicon for Policy Makers" The Mansfield Center for Pacific Affairs 1999

      20 Stefan Oeter, "Souveränität -ein überholtes Konzept?. in: Tradition und Weltoffenheit des Rechts -Festschrift für Helmut Steinberger" Springer 2002

      21 Frank Stollmann, "Informationsfreiheitsgesetze in den Ländern, VR"

      22 Detlef Kröger, "Informationsfreiheit im Gemeinschaftsrecht -eine Perspektive für den deutschen Gesetzgeber" 27 : 2003

      23 Bernhard W. Wegener, "Freischwimmen für die Informationsfreiheit -Rechtssprechung zum Umweltinformationsgesetz"

      24 David Banisar, "Freedom of Information and Access to Government Records Around the World, Privacy International"

      25 Mark Butt, "Eweiterter Zugang zu behördlichen Umweltinformationen -Die neue EG-Umweltinformationsrichtlinie"

      26 Albert Bleckmann, "Das europäische Demokratieprinzip" 56 : 2001

      27 Doris König, "Das Umweltinformationsgesezt -ein Modell für mehr Aktenöffentlichkei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0.96 1.025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