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내 작업치료사의 업무중요도와 수행에 대한 인식 = Awareness of the Job Task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Elderly Community Care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234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및 제도 내에서 작업치료사 업무중요도와 수행에 대한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전국의 152명의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201...

      목적 : 본 연구는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및 제도 내에서 작업치료사 업무중요도와 수행에 대한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전국의 152명의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2019년 5월 31일부터 2019년 6월 24일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일반적 특성, 제도 인식도, 역할과 수행 인식도를 분석하였고, 근무연수, 근무지역, 업무 분야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 AN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에 대한 인식은 2.93±1.049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커뮤니티케어제도의 중요도는 3.94±0.799점, 제도 내 작업치료사 역할의 중요도는 4.34±0.763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작업치료사의 업무의 중요도는 낙상 예방(4.63±0.7)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수행도는 수단적 일상생활 활동 훈련 (3.94±0.8), 신체 기능 증진훈련(3.94±0.8)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내 작업치료사 업무중요도와 수행 인식도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내 작업치료사의 역할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job task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community care system for the elderly. Methods : We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of 152 occupa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job task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community care system for the elderly. Methods : We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of 152 occupational therapists nationwide from May 31, to June 24, 2019.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 awareness, role and performance awarenes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One way ANOVA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working days, working places, and the field of work. Results : The recognition of the community care system for the elderly was low at 2.93 ± 1.0 but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ty care system was 3.94 ± 0.7 and the importanc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system was 4.34 ± 0.7. Fall prevention (4.63 ± 0.7) was the most important in occupational therapist's jobs, and performance was high in instrumental activity daily living training (3.94 ± 0.8) and physical function training (3.94 ± 0.8). Conclusion :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s basic data on job task importance and performance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elderly community care system.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elderly community care syst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주, "커뮤니티 케어 제도 내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 27 (27): 103-113, 2019

      2 차유진, "지역보건법에 근거한 지역사회중심재활(CBR) 업무를 담당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소와 치매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 20 (20): 41-53, 2012

      3 이향숙, "작업치료사 핵심직무 분석과 경력과 치료 분야에 따른 직무 차이 비교" 대한작업치료학회 19 (19): 1-14, 2011

      4 장기연,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낙상예방 작업치료가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0 (10): 232-240, 2010

      5 임소라, "서비스 교육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병원 직원의 개인적 속성과 교육 훈련의 요인"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8 (8): 21-46, 2006

      6 김수경, "노인의 낙상 위험 요인과 예방을 위한 작업치료" 대한작업치료학회 13 (13): 69-76, 2005

      7 우지희, "가정방문 작업치료에 대한 체계적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 27 (27): 59-77, 2019

      8 Chun-Yeop Lee, "The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ment of Occupational Therapy Model Focused on Improving Living Functions within the Community Care System" Korean Society of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8 (8): 1-12, 2018

      9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 Domain and process" 56 (56): 609-639, 2002

      10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rd Edition)" AOTA Press 68 (68): S1-S48, 2014

      1 박영주, "커뮤니티 케어 제도 내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 27 (27): 103-113, 2019

      2 차유진, "지역보건법에 근거한 지역사회중심재활(CBR) 업무를 담당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소와 치매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 20 (20): 41-53, 2012

      3 이향숙, "작업치료사 핵심직무 분석과 경력과 치료 분야에 따른 직무 차이 비교" 대한작업치료학회 19 (19): 1-14, 2011

      4 장기연,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낙상예방 작업치료가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0 (10): 232-240, 2010

      5 임소라, "서비스 교육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병원 직원의 개인적 속성과 교육 훈련의 요인"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8 (8): 21-46, 2006

      6 김수경, "노인의 낙상 위험 요인과 예방을 위한 작업치료" 대한작업치료학회 13 (13): 69-76, 2005

      7 우지희, "가정방문 작업치료에 대한 체계적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 27 (27): 59-77, 2019

      8 Chun-Yeop Lee, "The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ment of Occupational Therapy Model Focused on Improving Living Functions within the Community Care System" Korean Society of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8 (8): 1-12, 2018

      9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 Domain and process" 56 (56): 609-639, 2002

      10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rd Edition)" AOTA Press 68 (68): S1-S48, 2014

      11 Hyang‑Sook Lee, "Job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ists for 2013"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 (22): 89-112, 2014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mmunity care promotion direction for community-based welfare implmentation"

      13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Community care and occupational therapy" Elderly Information Center 2018

      14 Mann, W. C., "Assistive devices used by home-based elderly persons with arthritis" 49 (49): 810-820,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