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분동원제도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Necessity of Partial Mobil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433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원은 전시 등 국가비상사태시에 인적 자원이나 물적 자원, 기타의 제반 자원을 국가의 안전보장에 기여할 목적으로 효율적으로 통제하거나 관리 및 운용하는 국가의 법적 행위이다. 그런...

      동원은 전시 등 국가비상사태시에 인적 자원이나 물적 자원, 기타의 제반 자원을 국가의 안전보장에 기여할 목적으로 효율적으로 통제하거나 관리 및 운용하는 국가의 법적 행위이다. 그런데 전쟁 상황은 아니지만, 전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침공 또는 도발시 특정한 지역에서 특정한 자원을 대상으로 동원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것이 부분동원이다. 한반도에서 부분동원이 필요한 이유는 북한의 국지적 도발에 대비하여 국가위기관리차원과 북한군의 군사전략 대비 차원, 경제적 동원을 위한 방법, 그리고 위기상황 발생시 예비전력의 동원을 통해 융통성 있는 대응능력의 확보라는 차원에서 필요하다. 한반도에서 부분동원이 필요한 시기는 서북도서 등의 지역에서 영토에 대한 포격, 그리고 대규모 부대의 상륙 또는 낙하 침공 등 북한군의 국지적 도발로 국지전이 발생하였을 경우 또는 아후방지역에 대규모의 무장공비가 침투·도발하였을 경우가 될 수 있다. 또한 발생된 국지적 충돌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을 때도 필요하다. 부분동원 제도가 도입되면 국지도발 등 국가비상사태가 발생할 시 위협 극복에 필요한 맞춤식긴요 전력을 조기에 동원하여 적시적인 대응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황 극복에 필요한 자원의 일부만을 동원함으로써 총동원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완화 및 분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대비에도 불구하고 발생된 위기가 전면전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을 시에 대비하여 조기에 대응전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더불어 국민들의 불편과 불만을 완화 또는 감소시키며 동시에 총동원을 실시하는데 따른 사회적 혼란과 경제적 충격을 분산하면서도 초전에 대비할 수 있는 전력을 확보함으로써 위기를 조기에 극복하는 데도 기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bilization is a national legal actions that country controls, manages, and operates any available human resources, material resources, or various resources for national security in wartime or such state of national emergency. But, even if it``s not ...

      Mobilization is a national legal actions that country controls, manages, and operates any available human resources, material resources, or various resources for national security in wartime or such state of national emergency. But, even if it``s not in such state, mobilization can be activated for possibility of war, provocation, or invasion and such situation is called partial mobiliz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partial mobilization is specially needed for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such as north korean``s local clashes and military strategy, economical mobilization, and flexible reaction capability in state of national emergency. In the Korean Peninsula, partial mobilization is specially needed when bombardment occurred upon our vessels or on our soil such as Baengnyeong Island and Yeonpyeong Island. It also needed when large scale of troops landing or drop, provocation such as invasion of armed forces or artillery fire around ceasefire line or infiltration of huge armed communist guerrilla force in the rear area. It needs to be prepared with partial mobilization 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expansion of war, or if situation needs to be monitored. In aspect of military, if partial mobilization comes in, immediate reaction for local clashes, overcoming national emergency can be available through out pre-mobilizing right force in the right place. In aspect of economic, it can reduces total cost drastically by using right amount of particular (needed) resources in the right place and such actions can divide burdens of mobilizing large amount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Even if there is chance of occurred crisis expand into war, mobilization can procure response forces. In aspect of national life``s safety, it can reduces people``s inconvenience and complain by using small amount of particular resources for special targets or areas depending on threat. It can also tributes to getting over crisis in early state by dispersing social chaos and economical shock and securing provision for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홍수, "한국적 특성에 부합한 국가위기관리체계 구축방안" 한국국방연구원 30 (30): 129-164, 2014

      2 "중국의 국방법 등"

      3 육군군사연구소, "제4차 중동전쟁" 국군인쇄창 2013

      4 합동참모본부, "이라크전쟁 종합분석" 합동참모본부 2003

      5 박계호, "스위스의 무장중립 정책과 위기관리" 북코리아 2014

      6 김용구, "세계외교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7 (구)국무총리 비상기획위원회, "세계동원의 역사" 전광정보 2004

      8 온만금, "북한학" 도서출판 2006

      9 유용원, "북한군 시크릿 리포트" 도서출판 플래닛 미디어 2013

      10 육군본부, "동원 및 예비군업무(야교 8-0)" 국군인쇄창 2013

      1 김홍수, "한국적 특성에 부합한 국가위기관리체계 구축방안" 한국국방연구원 30 (30): 129-164, 2014

      2 "중국의 국방법 등"

      3 육군군사연구소, "제4차 중동전쟁" 국군인쇄창 2013

      4 합동참모본부, "이라크전쟁 종합분석" 합동참모본부 2003

      5 박계호, "스위스의 무장중립 정책과 위기관리" 북코리아 2014

      6 김용구, "세계외교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7 (구)국무총리 비상기획위원회, "세계동원의 역사" 전광정보 2004

      8 온만금, "북한학" 도서출판 2006

      9 유용원, "북한군 시크릿 리포트" 도서출판 플래닛 미디어 2013

      10 육군본부, "동원 및 예비군업무(야교 8-0)" 국군인쇄창 2013

      11 이필중, "군사동원론" 국방대학교 2003

      12 국가안전보장회의, "국가위기관리기본지침"

      13 Lukes, Igor, "The Czechoslovak Partial Mobilization in May 1938: A Mystery (almost) Solved" SAGE Publication, Ltd 31 (31): 1996

      14 Halbrook, Stephen P., "Target Switzerland: Swiss Armed Neutrality in World War Ⅱ" DA CAPO PRESS 2003

      15 Kapp, Lawrence, "Reserve Component Personnel Issues : Questions and Answers" CRS 2014

      16 COMBINED ARMS AND SERVICES STAFF SCHOOL, "RESERVE COMPONENT / MOBILIZATION" FORT LEAVENWORTH 1992

      17 Tal, Israel, "National Security : The Israel Experience" PRAGWR 2000

      18 U.S ARMY, "MOBILIZATION, DEPLOYMENT, REDEPLOYMENT, DEMOBILIZATION (FM100-17)"

      19 Joint Chief of Staff, "Joint Mobilization Planning(Joint Publication 4-05)"

      20 John C. Sparrow, "History of Personnel Demobi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Army" Department of the Army 1952

      21 Eliot, Charles W., "DEMOBILIZATION and JOBS" THE HAYNES FOUNDATION 1944

      22 Department of Defence, "Conduct of the Persian Gulf War (Final Report to Congress)" DOD 1992

      23 "CRS Report for Congress"

      24 국방부, "2014 국방백서" 국방부 2014

      25 국방부 정보본부, "2000년 중국국방백서(中國的國防)" 국방정보본부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n National Security Affairs -> Research Institute for National Security Affai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1 0.97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