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한시 연구사의 검토와 과제 – 최근 10년 한국한시연구를 회고하며 – = Review of Sino-Korean Poetry Resea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74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표는 최근 10년간의 한국한시 연구를 대략적으로 정리하면서 그 성과를 요약하고 향후 과제를 제안하는 데에 있다. 동아시아 담론의 연장선상에서 한국 한시 연구에서도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지만, 이 글에서는 이와는 별도로 최근 한시 연구의 주제와 방법론적 측면에서의 한계와 이를 보완할대안을 제시하는 데에 역점을 두었다.
      그간의 한시 연구에서 이루어진 접근 방법은 한시 텍스트에 대한 전통적 시각과 문화적 접근, 부분적으로는이미지와 모티브 같은 해석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특히 한시 텍스트가 난해하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독법에의존하거나 당대 문화를 재구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텍스트에 대한 현대적 해석과 문학적 논점의 발굴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 한시의 성격상 중국 한시뿐만 아니라 중국 한시 연구의 흐름과 연계해야 한다는 점과 북한및 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시 연구 동향에 접근할 수 있는 창구의 확대를 대안으로 제안했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는 한시 텍스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문학적 쟁점을 발굴해내려는 노력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의 목표는 최근 10년간의 한국한시 연구를 대략적으로 정리하면서 그 성과를 요약하고 향후 과제를 제안하는 데에 있다. 동아시아 담론의 연장선상에서 한국 한시 연구에서도 새로운 방...

      본고의 목표는 최근 10년간의 한국한시 연구를 대략적으로 정리하면서 그 성과를 요약하고 향후 과제를 제안하는 데에 있다. 동아시아 담론의 연장선상에서 한국 한시 연구에서도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지만, 이 글에서는 이와는 별도로 최근 한시 연구의 주제와 방법론적 측면에서의 한계와 이를 보완할대안을 제시하는 데에 역점을 두었다.
      그간의 한시 연구에서 이루어진 접근 방법은 한시 텍스트에 대한 전통적 시각과 문화적 접근, 부분적으로는이미지와 모티브 같은 해석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특히 한시 텍스트가 난해하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독법에의존하거나 당대 문화를 재구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텍스트에 대한 현대적 해석과 문학적 논점의 발굴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 한시의 성격상 중국 한시뿐만 아니라 중국 한시 연구의 흐름과 연계해야 한다는 점과 북한및 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시 연구 동향에 접근할 수 있는 창구의 확대를 대안으로 제안했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는 한시 텍스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문학적 쟁점을 발굴해내려는 노력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cap the points from the sino-korean poetry research during in the past ten years, and to present research task. Though current topics of the subject are based on discourse of East Asia, separately this paper places emphasis on indicating problems in research topics and methodology issues and pointing out perspectives.
      So far main ways of previous Sino-Korean poetry researches are mostly interpretation by conventional anaysis methods, discovery of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nd application of images or common motifs. Especially poetic texts are convoluted, so many articles have tendency in relying in traditional reading and reconstructing the cultures of the time. It is urgently needed the current interpretation on the texts and the building of literary issues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suggests alternatives as follows. We need to link to the in-country studies of chinese literature, and to add channels for korean studies abroad. It need to be refuted by modern analysis as well as by traditional interpretation with this.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cap the points from the sino-korean poetry research during in the past ten years, and to present research task. Though current topics of the subject are based on discourse of East Asia, separately this paper places empha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cap the points from the sino-korean poetry research during in the past ten years, and to present research task. Though current topics of the subject are based on discourse of East Asia, separately this paper places emphasis on indicating problems in research topics and methodology issues and pointing out perspectives.
      So far main ways of previous Sino-Korean poetry researches are mostly interpretation by conventional anaysis methods, discovery of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nd application of images or common motifs. Especially poetic texts are convoluted, so many articles have tendency in relying in traditional reading and reconstructing the cultures of the time. It is urgently needed the current interpretation on the texts and the building of literary issues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suggests alternatives as follows. We need to link to the in-country studies of chinese literature, and to add channels for korean studies abroad. It need to be refuted by modern analysis as well as by traditional interpretation with thi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동욱, "李用休 한시의 파격적 구성과 실험성" 한국한시학회 15 (15): 39-69, 2007

      2 남재철, "李德懋 詩에 나타나는 奇詭尖新의 美學" 한국한시학회 15 (15): 107-140, 2007

      3 유호진, "栗谷 詩의 이미지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31 (31): 357-388, 2007

      4 이종묵, "金昌業의 채소류 連作詩와 조선 후기 漢詩史의 한 국면" 한국한시학회 18 (18): 29-54, 2010

      5 박영미, "한시에 표상된 근대의 풍경 -정만조의 일본 기행 한시를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42 (42): 401-428, 2008

      6 김성언, "한국 한시에 나타난 數詞의 修辭學" 한국한시학회 19 (19): 295-318, 2011

      7 김성언, "한국 漢詩에 나타난 길의 상상력" 한국한시학회 17 (17): 337-362, 2009

      8 김상호, "중세 중국문인시의 여성적 글쓰기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중국어문학회 49 : 1-16, 2006

      9 박영미, "일제강점기 在朝日人의 漢詩 고찰: <<以文會誌>>를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39 (39): 427-457, 2007

      10 이재복, "이규보의 한문학에 관한 남·북한의 연구성과 비교" 세종대학교 세종어문학회 8 : 1995

      1 박동욱, "李用休 한시의 파격적 구성과 실험성" 한국한시학회 15 (15): 39-69, 2007

      2 남재철, "李德懋 詩에 나타나는 奇詭尖新의 美學" 한국한시학회 15 (15): 107-140, 2007

      3 유호진, "栗谷 詩의 이미지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31 (31): 357-388, 2007

      4 이종묵, "金昌業의 채소류 連作詩와 조선 후기 漢詩史의 한 국면" 한국한시학회 18 (18): 29-54, 2010

      5 박영미, "한시에 표상된 근대의 풍경 -정만조의 일본 기행 한시를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42 (42): 401-428, 2008

      6 김성언, "한국 한시에 나타난 數詞의 修辭學" 한국한시학회 19 (19): 295-318, 2011

      7 김성언, "한국 漢詩에 나타난 길의 상상력" 한국한시학회 17 (17): 337-362, 2009

      8 김상호, "중세 중국문인시의 여성적 글쓰기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중국어문학회 49 : 1-16, 2006

      9 박영미, "일제강점기 在朝日人의 漢詩 고찰: <<以文會誌>>를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39 (39): 427-457, 2007

      10 이재복, "이규보의 한문학에 관한 남·북한의 연구성과 비교" 세종대학교 세종어문학회 8 : 1995

      11 성범중, "새해맞이 한시 연구 -설날 의례와 풍속 관련 한시를 중심으로-" 한국한시학회 18 (18): 111-156, 2010

      12 강혜선, "북한의 최근 한문학 연구 동향" 돈암어문학회 26 : 73-97, 2013

      13 강명관, "발전사관을 넘어– 한문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 모색"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4

      14 강혜선, "남북한 한문학 연구의 비교 시론 - 북한의 최근 한문학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39 (39): 5-28, 2005

      15 김주수, "김시습 시의 ‘自然聲에 의한 破夢’ 모티브" 한국한시학회 16 (16): 195-225, 2008

      16 김동준, "경계의 확장과 한국한문학 연구의 미래"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4

      17 기태완, "黃梅泉의 중국시에 대한 시각" 한국한시학회 13 (13): 73-118, 2005

      18 김보경, "蘇軾과 陶淵明의 ‘만남’― 蘇軾에 의한 陶淵明 典範化를 중심으로" 한국중국어문학회 62 : 91-119, 2010

      19 김화진, "章法 연구의 모식과 그 가치 ― 陳滿銘의 章法學을 중심으로" 중국학연구소 24 (24): 271-293, 2008

      20 김성언, "白洲 李明漢의 館閣風 漢詩 연구" 한국한시학회 15 (15): 423-444, 2007

      21 성범중, "牧隱 李穡의 風俗 關聯 漢詩 一考" 한국한시학회 21 (21): 79-112, 2013

      22 권혁명, "松江 시의 이미지 硏究-哀傷의 詩를 중심으로-" 한국한시학회 19 (19): 147-176, 2011

      23 여운필, "東溟詩와 三淵詩의 距離" 한국한시학회 14 (14): 201-241, 2006

      24 이주해, "唐宋 ‘讀詩詩’의 사회적 기능과 문인들의 심리" 중국어문학회 (47) : 133-162, 2014

      25 노경희, "2010년도 한문학 분야 연구 동향" 국문학회 24 (24): 229-270, 2011

      26 박경남, "2009년도 한문학 분야 연구동향" 국문학회 22 (22): 329-374, 2010

      27 구본현, "2008년도 한문학 분야 연구 동향" 국문학회 20 (20): 223-282, 2009

      28 김은정, "2007년도 한문학 분야 연구 동향" 국문학회 18 (18): 269-318, 2008

      29 김보경, "2006년도 한문학 분야 연구 동향" 국문학회 16 (16): 305-357, 2007

      30 성범중, "16, 17세기 호남지방 園林文學의 지향과 그 변이" 한국한시학회 14 (14): 5-53,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6-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Oriental Studies KCI등재
      2013-03-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양학연구소 -> 동양학연구원
      영문명 :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 Academy of Asian Studies, Dankook Universi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3 1.457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