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농촌 보건기관의 신축이 고혈압 환자 혈압 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659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시설 신축 여부에 따른 환경요인이 고혈압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1994년부터 약 10여년 동안 시행되어 온 농촌의료서비스 개선사업에 의한 보건기...

      본 연구는 시설 신축 여부에 따른 환경요인이 고혈압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1994년부터 약 10여년 동안 시행되어 온 농촌의료서비스 개선사업에 의한 보건기관 신축 여부와 인구학적 개인 요인, 전문의 여부 등 의사 요인의 영향을 함께 고려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고혈압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주로 개인 특성에 대한 연구가 이미 수행되었지만 의사의 특성 요인 및 의료 조직 및 시설의 위치 등 환경 요인에 대한 분석은 미흡하였다.
      조사는 충청도 일부 지역 6개 시,군으로 농어촌의료서비스 개선사업 대상지역이다. 해당 지역의 6개 보건소 및 산하 59개 보건지소에 2005년 7월 1일부터 2006년 6월 30일까지 한번이라도 고혈압 진료를 위해 환자가 내원하거나 보건소 직원이 직접 방문하여 투약 혹은 상담을 한 내용이 기록된 자료 가운데 분석에 적합한 약 2만5천건의 고혈압 환자 진료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적인 보건기관에 혈압수치 조절율은 53.9%이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혈압이 잘 조절되었으면 60대와 70대의 혈압 조절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또한 개선지역이 미개선 지역에 비해 혈압조절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전문의 기준으로 일반의에서 혈압조절율이 다변량 분석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1). 이 연구는 진료에 적합한 시설이 환자진료 과정에서 의료진의 만족도와 환자의 안정감을 향상시키고 이는 결국 환자관리의 순응도 등을 높이는데 기여하여 진료결과의 질적 향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농어촌의료서비스개선사업이 지역사회 건강결과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계량화 하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ublic health facilities rebuilding on the hypertension control in the rural area. Method: 6 health centers and 59 health subcenters in some Chung-chung province was surveye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ublic health facilities rebuilding on the hypertension control in the rural area.
      Method: 6 health centers and 59 health subcenters in some Chung-chung province was surveyed. And 29,503 patients were finally selected who had records of prescription about hypertension at list once in those -health facilities from July 1th, 2005 to June 30th, 2006. Demographic variable of patients and whether medical doctor was a medical specialist or not, and whether the facilities were recently rebuilded or not was measured.
      Results: The Overall control rate was 53.9%. Women had higher hypertension control rate than men. And 60s and 70s years old are had higher hypertension control rate than 40s and 80s years old.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from medical specialist had higher hypertension control rate than general doctor. And patient who treated in rebuilded public health facilities had higher hypertension control rate.
      Conclusions: Rebuilding of public health facilities were related to increasing control rate of hypertensive pati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ABSTRACT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요약
      • 연구 기금
      • 감사의 말씀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준영, "농어촌특별세와 농업재정"

      2 조재국, "농어촌의료서비스개선사업 심층평가" 보건 사회연구원 2006

      3 나백주, "농어촌의료서비스개선 10 개년 추진사업 평가 및 향후계획 정립" 보건 복지부 2005

      4 어촌의료서비스기술지원단, "농어촌의료서 비스개선사업중간평가"

      5 김철웅, "농어촌보건기관 시 설․장비부문 표준모형 개선방안 개발. 한국 보건사업진흥원"

      6 서일,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조사결 과 심층분석 - 검진부문(고혈압)" 질병관리본부 37-66, 2007

      7 정명채, "공공보건의료기관 투 자사업 평가"

      8 Joint National Committee, "The six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157 (157): 2410-2446, 1997

      9 Kim YM, "The comparison of th quality of life between the well-controlled hypertension group and the uncontrolled hypertension group" 22 (22): 565-574, 2001

      10 Jee SH, "Smoking an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in men with low levels of serum cholesterol: the Korea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Study" 282 : 2149-2155, 1999

      1 김준영, "농어촌특별세와 농업재정"

      2 조재국, "농어촌의료서비스개선사업 심층평가" 보건 사회연구원 2006

      3 나백주, "농어촌의료서비스개선 10 개년 추진사업 평가 및 향후계획 정립" 보건 복지부 2005

      4 어촌의료서비스기술지원단, "농어촌의료서 비스개선사업중간평가"

      5 김철웅, "농어촌보건기관 시 설․장비부문 표준모형 개선방안 개발. 한국 보건사업진흥원"

      6 서일,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조사결 과 심층분석 - 검진부문(고혈압)" 질병관리본부 37-66, 2007

      7 정명채, "공공보건의료기관 투 자사업 평가"

      8 Joint National Committee, "The six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157 (157): 2410-2446, 1997

      9 Kim YM, "The comparison of th quality of life between the well-controlled hypertension group and the uncontrolled hypertension group" 22 (22): 565-574, 2001

      10 Jee SH, "Smoking an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in men with low levels of serum cholesterol: the Korea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Study" 282 : 2149-2155, 1999

      11 Pellegrini F, "Role of organizational factors in poor blood pressure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163 : 473-480, 2003

      12 Gimpel NE, "Quality management of hypertension in primary care:do physicians treat patients’ blood pressure level or cardiovascular risk?" 14 : 211-217, 2006

      13 Song YM, "Quality evaluation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of hypertensives by public health doctors" 3 (3): 126-143, 1996

      14 Ong KL, "Prevalenc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among United States adults 1999-2004" 49 : 69-75, 2007

      15 Schelleman H, "Prevalence and determinants of undertreatment of hypertension in the Netherlands" 18 : 317-324, 2004

      16 Shea S, "Predisposing factors for severe, uncontrolled hypertension in an inner-city minority population" 327 (327): 776-781, 1992

      17 Schaars CF, "Physician, organizational, and patient factors associated with suboptimal blood pressure management in type 2 diabetic patients in primary care" 27 (27): 123-128, 2004

      18 Kim SY, "Physician factors associated with the blood pressure control" 40 (40): 487-494, 2007

      19 Inkster M, "Organizational factors in relation to control of blood pressure: an observational study" 55 (55): 931-937, 2005

      20 Kim YG, "Opinion survey of health center officers on rural health service improvement Project" 23 (23): 175-192, 1998

      21 Berry LL, "O'Neill Dd, Sadler BL. The business case for better buildings" 23 (23): 3-24, 2004

      22 Kim CY, "Health behaviors related to hypertension in rural population of Korea" 33 (33): 56-68, 2000

      23 Lee DH, "Factor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control and antihypertensive medication among hypertensive patients in a community" 36 (36): 289-297, 2003

      24 Rawaf MM, "Exploring racial and sociodemographic trends in physician behavior, physician trust and their association with blood pressure control" 99 (99): 1248-1254, 2007

      25 Karlin BE, "Environmental and therapeutic issues in psychiatric hospital sesign: toward best practice" 57 (57): 1376-1378, 2006

      26 Wells JE, "Efficient office design for successful practice" 14 (14): 46-50, 2007

      27 Lee BK, "Compliance with lifestyle modification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20 (20): 1709-1720, 1999

      28 Choi YH, "Awareness, treatment, control, and related factors of hypertension in Gwacheon" 36 (36): 263-270,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8-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KCI등재후보
      2007-06-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촌의학회지 -> 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외국어명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Rural Health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Community Health
      KCI등재후보
      2007-01-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촌의학회 ->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Rural Health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6-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촌의학회 ->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Rural Health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4 1.12 2.09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