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토양으로부터 分離한 Bacteriophage의 특성 = Characterization of the Bacteriophages isolated from soi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604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환경 미생물 분야와 산업미생물 분야 및 분자생물학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고, 많은 연구가 된 새로운 E. coli의 bacteriophage를 토양으로 부터 분리해서, 그 물리적인 특성과 핵산을 밝혀내, ph...

      환경 미생물 분야와 산업미생물 분야 및 분자생물학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고, 많은 연구가 된 새로운 E. coli의 bacteriophage를 토양으로 부터 분리해서, 그 물리적인 특성과 핵산을 밝혀내, phage상호간의 관련성을 검토하여 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으로 부터 분리한 phage는 숙주균에 따라 SJ-1, SJ-2, SJ-3, SJ-4, SJ-5, SJ-6, SJ-7이라 명명하였다. SJ phage들은 높은 숙주특이성을 나타내 phage SJ-2, SJ一7은 단일종 숙주균에만 감염이 되었고, SJ-1, SJ-3, SJ-4, SJ-5, SJ-6은 다중독성을 나타내었다.
      2. 7종류의 SJ-phage는 본 실험조건하에서는 모두 virulent phage임이 밝혀졌다. 모든 용균반의 형태는 중앙이 투명한 둥근 모양이었으며 주변에 무리가 있는 것과 없는것 두가지 형태를 나타냈다. 용균반의 크기는 1-5mm이었으며, SJ-5phage의 용균반이 5mm로서 가장 컸고 SJ-7 phage가 가장 적었다. 숙주균은 OD_600 0.3-0.5상태에서 가장 감염되기가 좋았다. 그리고 상층배지의 한천 농도와 양은 0.5%와 3ml이 가장 좋은 조건이었다.
      3. 일단 증식 실험의 결과를 보면 SJ-phage는 잠복기가 15-50분이었고 평균 phage방출수는 190-250이었다. SJ-6과 SJ-7이 잠복기가 15분으로 가장 짧았고 SJ-4가 50분으로 가장 길었다. 평균 방출수는 SJ-3과 SJ-5가 250정도로 많았으며 SJ-1과 SJ-2는 약 190정도였다.
      4. SJ-phage는 PD buffer에서 안정하였고, magnesium ion 5×10^-3M의 첨가는 phage에게 큰 안정성을 주었다. SJ-phage는 pH6과 pH9사이에서 안정하였으며 그 pH는 숙주균의 최적 pH였다. SJ-phage의 온도 불활성화는 40 ℃이상에서 불활성화되기 시작하여 60 ℃이상에서는 완전히 불활성화 되었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불활성화에서 SJ-phage는 120초 이후에 완전히 불활성화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l phage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isolated from soil of the surburbs of Chun-Nam, and they designated as phage SJ-1, SJ-2, SJ-3, SJ-4, SJ-5, SJ-6, SJ-7. The hosts were JM105, JM109, K802, LE392, MC1000, MV1184 and PSM CC, respectively. These ph...

      All phage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isolated from soil of the surburbs of Chun-Nam, and they designated as phage SJ-1, SJ-2, SJ-3, SJ-4, SJ-5, SJ-6, SJ-7. The hosts were JM105, JM109, K802, LE392, MC1000, MV1184 and PSM CC, respectively.
      These phages were virulent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hey produced plaques with dear and round without halo. The size of plaques was 1-5mm in diameter.
      SJ-phages were stable in 5×10^-3M Mg^2+. Thermostability experiments indicated that SJ-phages were stable at 37℃. Optimal pH of the phages were 6-9. Exposure of the phages to U.V. for 120 seconds resulted in complete inactivation. In one-step growth experiments, the latent period at 37 ℃ was about 15-50 min and the average burst see was 190-250.
      Agarose gel electrophoresis of the phage DNA showed single band of high molecular weight from SJ-1 to SJ-7 phag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재료 및 방법
      • 1. 사용균주 및 표본
      • 2. 실험재료
      • 3. 실험방법
      • Ⅰ. 서 론
      • Ⅱ. 재료 및 방법
      • 1. 사용균주 및 표본
      • 2. 실험재료
      • 3. 실험방법
      • (1) phage의 분리 및 정량
      • (2) 숙주역 측정 실험
      • (3) 각 phage의 일단 증식 실험(The one-step growth experiment)
      • (4) Mg^2+ion에 대한 phage의 안정성 실험
      • (5) pH에 대한 phage의 안정성 실험
      • (6) 온도에 대한 Phage의 안정성 실험
      • (7) 자외선 조사에 의한 phage의 불활성화 실험
      • (8) phage DNA 분리 실험
      • Ⅲ. 결과 및 고찰
      • 1. phage의 명명
      • 2. phage의 정량
      • 3. 숙주역 실험결과
      • 4. 각 phage의 일단 증식 곡선
      • 5. Mg^2+ion에 대한 phage의 안정성
      • 6. pH에 대한 phage의 안정성
      • 7. 온도에 대한 Phage의 안정성
      • 8. 자외선 조사에 의한 phage의 불활성화
      • 9. Phage의 핵산 (DNA)
      • Ⅳ. 적 요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