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의 보장성주택제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ssues of Low Income Housing Indemnification System i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66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주택보장제도는 중국정부가 중ㆍ저소득계층의 주택문제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이다. 본 연구는 중국보장성주택제도의 현황, 문제점, 개선방안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양주택과 대비 ...

      주택보장제도는 중국정부가 중ㆍ저소득계층의 주택문제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이다. 본 연구는 중국보장성주택제도의 현황, 문제점, 개선방안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양주택과 대비 되는 보장성주택은 현재 경제실용주택(經濟適用住房), 저가임대주택(廉租房), 공공임대주택 등을 위주로 공급되고 있다. 보장성주택시스템은 이미 기본적인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중ㆍ저 소득계층의 주택문제를 해결하는데 일조하였다. 그러나 비구체적인 주택건설계획, 자금부족 및 보장대상에 대한 엄격하지 않은 심의, 개발과정에서 개인적 부당이익의 취득 등의 문제점 들이 드러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보장성주택제도의 문제점에 대하여, 우선 보장성주택에 관한 전반적인 법률 체제의 개선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이 제도와 관련된 중앙정부 및 지 방정부의 역할 개편 및 보장성주택의 자금공급 등에 관련된 법적 개선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도시주민 개인정보시스템의 확립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보장대상을 관리ㆍ감독하는 것이 필요 하다. 세 번째 개선방안으로는 보장대상의 진입과 탈퇴에 대한 관리ㆍ감독 강화를 들 수 있다. 넷째, 주택공적금제도의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저소득계층의 지원에 중점 을 둔 주택준비금 정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경제실용주택에 대한 제도 개선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 즉, 공급을 늘리기 위한 정책으로 재정지원 강화, 대체제인 기존주택의 거래활성화 방안, 가격의 인하 등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blem raised in the housing sector becomes one of the greatest problems in China. A multi-level indemnificatory housing system has been initially established in order to solve the housing problem for the low-income households, and some success h...

      The problem raised in the housing sector becomes one of the greatest problems in China. A multi-level indemnificatory housing system has been initially established in order to solve the housing problem for the low-income households, and some success has been achieved.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inadequacies needed to improve in the construction and maintaining process of indemnificatory housing system. In this context, this paper analyzes the status and problems of urban affordable housing, and provides some sugges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affordable housing system in China. The specific measures for the reform of the system should be considered in many aspects, such as the basic principles, the legal system, credit system, provident fund related to the both affordable housing and low-rent hous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종범, "중국의 주택정책과 최근의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47) : 339-354, 2011

      2 保障房白皮书, "중국 지수연구원 수치센터"

      3 중국부동산, "전국공상연합 부동산상회: 중국부동산기업의 비용에 대한 조사"

      4 중국주택 및 도시와 농촌 건설부, "전국 보장성주택계획 및 실제 토지공급현황표"

      5 "상해동책부동산주식회사"

      6 "经济适用住房价格管理办法颁布"

      7 "经济适用住房价格管理办法(全文)"

      8 度文库, "廉租房的福利性特点, 廉租房政策"

      9 瞿立, "应将农民工住房纳入住房保障体系- 全国政协委员,江西省建设厅副厅长 马志武建言农民工住房保障问题"

      10 李珂, "完善保障性住房准入退出机制"

      1 심종범, "중국의 주택정책과 최근의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47) : 339-354, 2011

      2 保障房白皮书, "중국 지수연구원 수치센터"

      3 중국부동산, "전국공상연합 부동산상회: 중국부동산기업의 비용에 대한 조사"

      4 중국주택 및 도시와 농촌 건설부, "전국 보장성주택계획 및 실제 토지공급현황표"

      5 "상해동책부동산주식회사"

      6 "经济适用住房价格管理办法颁布"

      7 "经济适用住房价格管理办法(全文)"

      8 度文库, "廉租房的福利性特点, 廉租房政策"

      9 瞿立, "应将农民工住房纳入住房保障体系- 全国政协委员,江西省建设厅副厅长 马志武建言农民工住房保障问题"

      10 李珂, "完善保障性住房准入退出机制"

      11 龙颖, "完善中国保障性住房制度体系的思考" (16) : 2012

      12 中国金融四十人论坛, "保障性住房的模式选择与政策支持" (71) : 2010

      13 叶檀, "住房保障首先要革福利分房的命. 东方财富网"

      14 程恩富, "中国经济社会发展智库丛书" 中国社会科学出版社

      15 朱亚鹏, "中国住房保障政策: 回顾与前瞻" 2008

      16 Yao, L, "Urban China’s Low-Income Housing Indemnification System" 15 : 59-68, 2012

      17 Peterson, G, "The Perspectives City" MIT Press 1979

      18 Aaron, H, "Shelter and Subsidies" Brookings 1972

      19 Mayo, S, "Housing Allowances and Other Rental Assistance Programs- A Comparison Based on the Housing Allowances Demand Experiment, Part 2: Costs and Efficiency" Abt, Associates Inc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57 0.89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