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양주, "포토그래피와 에스노그래피, 또는 사진가이든 인류학자이든" 배재대 인문과학연구소 24 : 105-122, 2007
2 패트릭 윌리엄스, "탈식민주의 이론" 문예출판사 2004
3 박종성, "탈식민주의 길잡이" 한울 아카데미 2003
4 김양주, "카자흐스탄 고려인의 생활과 문화"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7 : 37-52, 2004
5 김양주, "축제의 역동성과 현대일본사회-시만토강 유역사회의 ‘마츠리’의 인류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6 김양주, "축제-되기’ 시도" 배재대 인문과학연구소 25 : 1-11, 2008
7 이정우, "천하나의 고원" 돌베개 2008
8 질 들뢰즈,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9 박상진, "지중해학의 문명적 요구-서구중심주의와 보편학의 정치학" 2009
10 김경일, "지역연구의 역사와 이론" 문화과학사 1998
1 김양주, "포토그래피와 에스노그래피, 또는 사진가이든 인류학자이든" 배재대 인문과학연구소 24 : 105-122, 2007
2 패트릭 윌리엄스, "탈식민주의 이론" 문예출판사 2004
3 박종성, "탈식민주의 길잡이" 한울 아카데미 2003
4 김양주, "카자흐스탄 고려인의 생활과 문화"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7 : 37-52, 2004
5 김양주, "축제의 역동성과 현대일본사회-시만토강 유역사회의 ‘마츠리’의 인류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6 김양주, "축제-되기’ 시도" 배재대 인문과학연구소 25 : 1-11, 2008
7 이정우, "천하나의 고원" 돌베개 2008
8 질 들뢰즈,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9 박상진, "지중해학의 문명적 요구-서구중심주의와 보편학의 정치학" 2009
10 김경일, "지역연구의 역사와 이론" 문화과학사 1998
11 전경수, "지역연구, 어떻게 하나" 서울대 출판부 1999
12 김양주, "지역문화 연구의 새로운 ‘영역’들과 과제들-인류학적 접근과 관점의 논의-" 배재대 사회 과학연구소 32 : 41-58, 2010
13 김양주, "일본 사회의 민족지학적 연구와 그 인식론적 고찰" 한국문화인류학회 34 (34): 29-57, 2001
14 질 들뢰즈, "앙띠 오이디푸스" 민음사 1994
15 이정우, "사건의 철학" 철학아카데미 2003
16 윤명철, "바닷길은 문화의 고속도로였다" 사계절 2000
17 정문수, "바다의 귀환"
18 유명기, "문화인류학의 20가지 이론" 일조각 2009
19 이진경, "노마디즘2" 휴머니스트 2002
20 이진경, "노마디즘1" 휴머니스트 2002
21 전경수, "까자흐스탄의 고려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
22 김양주, "극동 캄차트카 지역의 학제적 연구 가능성 고찰" 배재대사회과학연구소 25 : 23-44, 2004
23 Kim Yang Joo, "‘Life and Cultures of Koreans(Koryoin) in Kazakhstan-From the Ethnographic Viewpoint of Dwelling Field" 4 (4):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