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산업단지 개발사업이 주변지역 지가에 미치는 동태적 변화에 관한 연구 : 파주 LG 디스플레이 클러스터 중심으로 = Dynamic impacts of an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project on land prices of surrounding areas : focused on the Paju LG display cluster, GyeongGi province,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69810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 150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부록 수록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지도교수: 이주형
        참고문헌: p. 130-13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대규모 개발은 사람과 자본을 집중시킨다. 그 중에서도 대규모 산업단지 개발사업은 주변지역의 주거공간, 상업공간 등에 대한 수요를 급격히 증가시킨다. 이러한 수요는 저평가된 농지나 임야를 가치가 높은 주거용지, 상업용지로 변화시킨다. 용도지역 변경은 개발사업이 추진되는 지역 대부분에서 발생하였고, 자본이득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었다.

      지가상승으로 인한 부의 불평등 배분은 개발지역에서는 토지보상금으로, 인근 지역에서는 토지거래를 통한 시세차익으로 나타난다. 피수용자는 개발이익이 포함된 보상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공시지가에 의거해 보상금을 책정하기에 시세보다는 낮은 보상금을 받는다. 따라서 보상금으로는 재정착 하는 것이 쉽지 않게 된다. 반면에 인근에 토지를 소유한 사람은 어떠한 경제적 행위도 하지 않고 불로소득을 향유하게 된다.

      본 연구는 LG 디스플레이 산업단지 개발사업이 주변지역 지가에 미치는 동태적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방법론 측면에서는 패널 데이터 분석을 통해 분석의 정확성을 제고하였다. 그리고 지가 수준의 동태적 변동성 등을 활용하여 지가 급등 사유를 밝히기 위한 지가 형성요인 분석, 토지보상금에 개발이익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지가 상승시점 분석, 기존 도시지역의 임대료 상승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한 지역별 지가 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파주시내 다른 개발지역과 연구지역 간 연관성은 매우 작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가 형성요인 분석결과 LG 산업단지로 인하여 지가가 급등했다는 추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지가 상승시점 분석결과 토지보상금에는 기대이익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역별 지가 수준을 토대로 산업단지 개발사업이 주변지역 지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존 도시지역인 금촌동은 산업단지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존 도시지역 임대료의 상승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임대료가 상승할 경우에는 도시지역의 기존 주민들, 그 중에서도 영세 임차인들은 살기가 더 힘들어지게 된다.

      대규모 개발로 인한 여러 사회적 부작용은 개발지역 만의 문제는 아니다. 개발지역이 포함된 해당 지역 전체의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 지역 간 불균형 성장을 비롯해 거주민들의 삶의 질과 경제적인 문제 등이 연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부의 불평등 배분, 피수용자인 원주민들의 재정착, 영세 임차인들을 위한 제도적 보완책 등을 강구해야 한다. 지역사회 차원의 이익배분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도 산업단지 개발계획 수립 시 지역의 생활권과 중심지 분석을 선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토지 및 주택정책, 조세정책, 도로ㆍ교통정책, 건축허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그 후 지역 전체 차원에서 사회적 부작용을 완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번역하기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대규모 개발은 사람과 자본을 집중시킨다. 그 중에서도 대규모 산업단지 개발사업은 주변지역의 주거공간, 상업공간 등에 대한 수요를 급격히 증가시킨다. ...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대규모 개발은 사람과 자본을 집중시킨다. 그 중에서도 대규모 산업단지 개발사업은 주변지역의 주거공간, 상업공간 등에 대한 수요를 급격히 증가시킨다. 이러한 수요는 저평가된 농지나 임야를 가치가 높은 주거용지, 상업용지로 변화시킨다. 용도지역 변경은 개발사업이 추진되는 지역 대부분에서 발생하였고, 자본이득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었다.

      지가상승으로 인한 부의 불평등 배분은 개발지역에서는 토지보상금으로, 인근 지역에서는 토지거래를 통한 시세차익으로 나타난다. 피수용자는 개발이익이 포함된 보상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공시지가에 의거해 보상금을 책정하기에 시세보다는 낮은 보상금을 받는다. 따라서 보상금으로는 재정착 하는 것이 쉽지 않게 된다. 반면에 인근에 토지를 소유한 사람은 어떠한 경제적 행위도 하지 않고 불로소득을 향유하게 된다.

      본 연구는 LG 디스플레이 산업단지 개발사업이 주변지역 지가에 미치는 동태적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방법론 측면에서는 패널 데이터 분석을 통해 분석의 정확성을 제고하였다. 그리고 지가 수준의 동태적 변동성 등을 활용하여 지가 급등 사유를 밝히기 위한 지가 형성요인 분석, 토지보상금에 개발이익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지가 상승시점 분석, 기존 도시지역의 임대료 상승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한 지역별 지가 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파주시내 다른 개발지역과 연구지역 간 연관성은 매우 작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가 형성요인 분석결과 LG 산업단지로 인하여 지가가 급등했다는 추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지가 상승시점 분석결과 토지보상금에는 기대이익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역별 지가 수준을 토대로 산업단지 개발사업이 주변지역 지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존 도시지역인 금촌동은 산업단지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존 도시지역 임대료의 상승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임대료가 상승할 경우에는 도시지역의 기존 주민들, 그 중에서도 영세 임차인들은 살기가 더 힘들어지게 된다.

      대규모 개발로 인한 여러 사회적 부작용은 개발지역 만의 문제는 아니다. 개발지역이 포함된 해당 지역 전체의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 지역 간 불균형 성장을 비롯해 거주민들의 삶의 질과 경제적인 문제 등이 연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부의 불평등 배분, 피수용자인 원주민들의 재정착, 영세 임차인들을 위한 제도적 보완책 등을 강구해야 한다. 지역사회 차원의 이익배분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도 산업단지 개발계획 수립 시 지역의 생활권과 중심지 분석을 선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토지 및 주택정책, 조세정책, 도로ㆍ교통정책, 건축허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그 후 지역 전체 차원에서 사회적 부작용을 완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목 차 례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 범위 및 방법 4
      • 제 목 차 례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 범위 및 방법 4
      • 1. 연구 범위 4
      • 2. 연구 방법 5
      • 제 2 장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9
      • 제 1 절 관련 이론 고찰 9
      • 1. 토지가격 상승 및 균형가격 9
      • 2. 지역 공간 16
      • 제 2 절 선행연구 고찰 22
      • 1. 선행연구 22
      •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3
      • 제 3 장 산업단지의 지역 연관성 분석 37
      • 제 1 절 지가 데이터 분석 37
      • 1. 산업단지 개요 37
      • 2. 공시지가 분석 41
      • 제 2 절 지역 연관성 분석 51
      • 1. 파주시 분석 51
      • 2. 지가변동률 분석 60
      • 제 4 장 토지가격 동태 모형 68
      • 제 1 절 동태 모형의 개요 70
      • 1. 지가 형성요인 70
      • 2. 동태 모형의 기본구조 72
      • 제 2 절 동태 모형 구축 77
      • 1. 지가 형성요인 모형 77
      • 2. 지가 상승시점 모형 79
      • 3. 지가 수준 모형 81
      • 제 5 장 지가 영향 분석 및 정책방향 82
      • 제 1 절 지가 형성요인 패널 회귀분석 82
      • 1. 패널 회귀분석 82
      • 2. 적합도 비교 분석 88
      • 3. 분석 결과 92
      • 제 2 절 지가 상승시점 동태적 패널 분석 94
      • 1. Arellano-Bond 및 시스템 GMM 분석 94
      • 2. 동태적 모형의 자기상관성 검정 98
      • 3. 분석 결과 99
      • 제 3 절 지가 수준 패널 회귀분석 102
      • 1. 지역별 하우스만 검정 103
      • 2. 지가 수준 비교 107
      • 3. 지역 간 자기상관성 검정 112
      • 4. 분석 결과 117
      • 제 4 절 연구의 종합 및 정책방향 119
      • 1. 연구의 종합 119
      • 2. 정책 및 시사점 125
      • 제 6 장 결 론 127
      • 제 1 절 연구 요약 127
      • 제 2 절 연구 한계 129
      • 참고문헌 130
      • 부 록 138
      • ABSTRACT 14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경환, "도시경제", 홍문사, 서울: 홍문사, 2002

      2 오준석, "『재무관리』", 박영사, 서울: 웅지경영아카데미, 2002

      3 이정전, "「토지경제학」",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15

      4 노용호, 백일현, 박정화, "『감정평가론』", 부연사, 서울: 부연사, 2011

      5 박추환, "『지역경제학』", 한국학술정보, 파주시: 한국학술정보(주), 2008

      6 박창수, "『토지정책론』", 범론사, 서울: 범론사, 2012

      7 강희용, 한종수, 계용준, "『강남의 탄생』", 서울: 미지북스, 2016

      8 윤영식, "『부동산개발론』", 교육과학사, 2012

      9 김경환, 손재영, "『부동산경제학』",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2016

      10 전강수, "『토지의 경제학』", 파주시: 돌베개, 2012

      1 김경환, "도시경제", 홍문사, 서울: 홍문사, 2002

      2 오준석, "『재무관리』", 박영사, 서울: 웅지경영아카데미, 2002

      3 이정전, "「토지경제학」",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15

      4 노용호, 백일현, 박정화, "『감정평가론』", 부연사, 서울: 부연사, 2011

      5 박추환, "『지역경제학』", 한국학술정보, 파주시: 한국학술정보(주), 2008

      6 박창수, "『토지정책론』", 범론사, 서울: 범론사, 2012

      7 강희용, 한종수, 계용준, "『강남의 탄생』", 서울: 미지북스, 2016

      8 윤영식, "『부동산개발론』", 교육과학사, 2012

      9 김경환, 손재영, "『부동산경제학』",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2016

      10 전강수, "『토지의 경제학』", 파주시: 돌베개, 2012

      11 노승철, 이희연, "『고급통계분석론』", 일산: 문우사, 2015

      12 김대식, 안국신, 노영기, "『현대경제학원론』", 박영사, 서울: 박영사, 1995

      13 손낙구, "『부동산 계급사회』", 서울: 후마니타스, 2012

      14 한치록, "『패널데이터 강의』",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17

      15 이성우, "「공간계량모형응용」", 박영사, 서울: 박 영사, 2006

      16 김태형, "“거시경제변수와 지가”", 한국지적학회, 『한국지적학회지』, vol.14(1): 5-110, 1998

      17 민인식, 최필선,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서울: 지필미디어, 2016

      18 정진용, "『공익사업과 토지보상』", 서울: 부연사, 2014

      19 국정브리핑 특별기획팀, "『대한민국 부동산 40년』", 서울: 한스미디 어, 2008

      20 최필선, 민인식, "『STATA 고급 패널데이터 분석』", 서울: 지필미디 어, 2015

      21 김용희, "“지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부동산학보』, vol.38: 351-365, 2009

      22 민규식, 전문태, "“군산시의 토지가격 형성요인”", 『감정평가학 논집』, vol.7(1): 29-46, 2008

      23 장경덕, "옮김, Thomas Piketty,『21세기 자본』", 파주: 글항아리, 2014

      24 김용희, "“수도권 지역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33(1). 267-294, 2015

      25 김효명, "역, G. K. Shaw, 『합리적 기대가설』", 서울: 형설출판사, 1992

      26 이용만, "“헤도닉 가격 모형에 대한 소고”", 『부동산학연구』, vol.14(1): 81-87, 2008

      27 이범웅, "“공시지가의 의미와 적정성 검토”", 『감정평가학 논집』 vol.10(1): 89-100, 2011

      28 서경규, "“부동산감정평가의 인근지역 분석”", 한국감정평가학회, 『감정평가학 논 집』, vol.10(2): 1~12, 2011

      29 민웅기, "“지가변동에 따른 도시공간구조 분석”", 박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대학원, 2007

      30 김병구, "“지가변동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상학회, 『한국경상논총』 vol.17(1): 3-28, 1999

      31 여홍구, 지남석, "“소도읍 중심부의 토지이용 변화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 계획 』, vol.42(7): 25~41, 2007

      32 정의철(Chung Eui-Chul), 이창무(Lee Chang-Moo), "잠재개발밀도가 지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대한국토ㆍ도시계획학회지』, vol.39(2): 117-130, 2004

      33 서경규, "“표준지비교법에 의한 지가평가의 재검토”", 한국감정평가학회, 『감정평가 학 논집』, vol.11(1): 1-13, 2012

      34 노태욱, "“표준지 공시지가의 가격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부동산 학연구』, vol.9(1): 105-120, 2003

      35 김주영(Kim Ju-Young), "위계적 선형모델을 이용한 주택가격 함수 추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 계획』, vol.38(7): 223-234, 2003

      36 서진형, 이의종, "“새만금관광지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태도”", 『부동산정책연구』, vol.13(2): 49-69, 2012

      37 김정욱, 김형태, "「택지개발사업에서의 지가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KDI 정책연구시리즈 23, 한국개발연구원, 2012

      38 김세형, 한혜근, "“부동산 가격형성요인의 공간적 이질성 탐색”", 『감정평가학 논집』, vol.13(1): 13-25, 2014

      39 김형돈, 이겸환, "“지가상승과 토지개발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vol.12(2): 255-260, 1992

      40 최수, "“택지개발사업의 지가영향권 설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8

      41 안혜진, "부산시 도심일대의 지가형성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도시문제연구소, 『도시공간보』, vol.12, 2002

      42 전해정, "“주택가격과 거시경제변수간의 동태적 관계 분석”", 박사 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43 김홍택, 성백영, "“시장 금리변동과 지가변동률과의 상관관계 연 구”", 대한부동산학회, 『대한부동산학회지』, vol.26(2): 71-83, 2008

      44 박창수, 임춘호, "“지가변동요인이 지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한국주거환경학회, 『한국주거환경학회지』, vol.10(3): 273-287, 2012

      45 이주형, 최수범, "“공공성 확보를 위한 역세권 개발 특성에 관한연 구”", 한국부동산학회, 『부동산학보』, vol.64: 57~68, 2016

      46 강호제, 전명진, "“대규모 개발사업에서의 기대가치와 토지가격변 화”", 한국지역개발학회, 『한국지역개발학회지』, vol.22(1): 53-65, 2010

      47 김주영, 김주후, "“위계선형모델을 적용한 근린특성의 지가영향분 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vol.41(5): 33-43, 2006

      48 여홍구, "『우리나라 소도읍의 입지시설 분포화 토지이용 변화』", 서 울: 보성각, 2010

      49 김채련, 지남석, 여홍구, "“소도읍의 중심지인구와 입지시설 분포 의 관게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vol.24(3): 195-204, 2008

      50 정윤영(Jeong, Yoon-Young), 문태헌(Moon, Tae-Heon), "유동인구 자료를 이용한 서울시 도시공간구조 분석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한국지역개발학회지』, vol.26(3): 139~158, 2014

      51 안혁근, "“수도권 규제 정책 효과 분석: 공장총량제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08 춘계학술대회, vol.9(12): 51-68, 2008

      52 김종진, 남희찬, "“시계열자료를 이용한 토지가격 형성요인에 관 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 『한국주거환경학회지』, vol.11(1): 77-84, 2013

      53 김성희, "“수도권 대규모 개발사업 활성화 여부의 영향요인 분 석”", 한국부동산학회, 『부동산학보』, vol.55: 146~149, 2013

      54 민태욱,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하는 토지감정평가체계의 재검 토”", 한국토지공법학회, 『토지공법연구』, vol.51: 67-88, 2010

      55 정미희, "“산업단지 주변지역의 지가 및 지역경제 변화 실태 분 석”", 박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대학원, 2008

      56 성현곤(Sung, Hyungun), 노정현(Rho, Jeong-Hyun), 정은애(Jung, Eun-Ae), "공간자기상관성을 고려한 의류 소매업 매출액 영향요인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대한국토ㆍ도시계획학회지』, vol.50(5): 215-231, 2015

      57 송용철, "“공간계량모형을 이용한 공시지가 추정방법에 관한 연 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58 유현지, 이삼수, "“대규모 토지개발사업의 전개과정 및 사업추진 특성 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vol.23(3): 103~126, 2010

      59 양상언, "ㆍ지남석ㆍ여옥경, “읍면지역의 중심성 변화에 관한 연 구”", 『국토지리학회지』, vol.43(2): 257~272, 2009

      60 임규채,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의 구조적 특징에 관한 실증적 연 구”",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6

      61 김홍배, 남상학, "“개발이익 예측과 지역성장을 위한 재투자방안 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ㆍ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세미나, 2006

      62 곽성남, 이왕무, 서수복, "“공간효과를 이용한 공시지가 산정방법 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 『한국지적학회지』, vol.31(3): 153-164, 2015

      63 김은지, 이규태, 서경규, "“대구ㆍ경북지역 최고지가 필지의 입지 및 지가형성요인 분석”", 『부동산학보』vol.64: 69-81, 2016

      64 이창무, 최영걸, 최막중, "“서울 주택시장에서 작동되는 가격기대 심리에 관한 실증연구”", 『국토계획』, vol.39(2), 2004

      65 원유호, "“서울시 토지이용 유형별 상업업종과 보행활동의 영향관 계 분석”",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5

      66 박헌수, "ㆍ우경ㆍ김창수, “VAR 모형을 이용한 수도권 지가변동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연구』, vol.9(2): 1-13, 2003

      67 곽성남, 이왕무, 서수복, "“실거래를 이용한 토지가격비준표 작성 의 유용성 검증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8(1): 43-57, 2016

      68 성주한, 전형하, 윤영식, "“지방도시지역의 공간구조 특성이 지가 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vol.68: 119~133, 2017

      69 박기호, 박성민, "지가형성요인의 다수준 종단 분석”『대한지리 학회지』, vol.48(2): 272-287", 2013

      70 김구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택하위시장의 동태적 변화와 영 향요인 분석”",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6

      71 손재영, 이준용, 유주연, "“주택 전세-매매가격 비율에 반영된 미 래자본이득 기대형성 메커니즘”", 『부동산학연구』, vol.17(3): 5~24, 2011

      72 이왕무, 서수복, 곽성남, "쟁점별 원인과 개선방안을 분석한 공시지가 산정의 근본문제에 관한 연구", 韓國不動産學會, 『부동산학보』, vol.56: 234-247, 2014

      73 권기욱, 김선주, "완주 혁신도시 지역의 지가 결정요인”『한국 지적학회지』, vol.31(2): 17 -27", 2015

      74 고석남, "공시지가 산정의 정확성 및 형평성”『정책분석평가학회 보』, vol.7(2): 131-148", 1997

      75 옥석문, 이명훈, "“중심지 체계설정 및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인 천광역시를 대상으로 하여”", 『도시행정학보』, vol21(1): 107-125, 2008

      76 곽성남, 서수복, "“헤도닉모형에 의한 현행 토지가격비준표 작성 방법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vol.49(5): 187-204, 2014

      77 서경천, 이성호, "“공간적 자귀회귀모델과 토지시장분할에 의한 효율적 지가추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6(4): 77-94, 2001

      78 권현진, 유정석, "“수도권 주택 및 토지시장 간 가격과 거래량의 방향성과 변동성에 관한 연구”", 서울연구원, 『서울도시연구』, vol.14(3): 33-58, 2013

      79 신동준, "“부동산개발사업을 위한 토지매수지 한정가격의 성립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vol.60: 59~72, 2015

      80 박성민, 여홍구, "대도지와 중소도시의 토지가격결정요인에 관한 비교연구”『한국지역경제연구』, vol.14(1):25-35", 2016

      81 김형근, 성주한, "동적패널모형을 이용한 임차인의 보증금 대비 월세가격 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부동산학 보』, vol.66: 88-102, 2016

      82 서경규, 이성근, "“농경지의 토지가격비준표 개선을 위한 개별공 시지가 검증실태와 표준지공시지가 영향력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한국지역 개발학회지』, vol.16(2): 15-31, 2004

      83 김광국, 황지욱, "특성감안가격결정모형을 활용한 도심부 토지이 용의 지가결정요인 분석”▒『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vol.6(11): 237ㅡ244▒김광국▒황지욱▒",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