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합교육 환경에 배치된 청각장애 중고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교육적 요구 = School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Secondary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in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45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deployed in an integrated educational environment to find out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educational needs. They were positively aware of “teacher and peer support and consideration” and “self adjusting well to the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but it was found tha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school life due to difficulties due to “inadequate listening environment”, exposure to situations where they could not hear clearly, participation in group and collaboration classes, communication difficulties caused by wearing masks, difficulties in class and evaluation, and difficulties in emotional integration due to hearing impairment. Accordingly, they suggested ‘support for a well-hearing physical environment’, ‘change in class and evaluation metho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earing impairment, ‘creating an atmosphere that can proudly demand support’, and ‘easy access to information about hearing impairment’.
      번역하기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deployed in an integrated educational environment to find out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educational needs. They were positively aware of...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deployed in an integrated educational environment to find out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educational needs. They were positively aware of “teacher and peer support and consideration” and “self adjusting well to the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but it was found tha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school life due to difficulties due to “inadequate listening environment”, exposure to situations where they could not hear clearly, participation in group and collaboration classes, communication difficulties caused by wearing masks, difficulties in class and evaluation, and difficulties in emotional integration due to hearing impairment. Accordingly, they suggested ‘support for a well-hearing physical environment’, ‘change in class and evaluation metho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earing impairment, ‘creating an atmosphere that can proudly demand support’, and ‘easy access to information about hearing impair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 배치된 중․고등학교 청각장애 학생 7명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만족도와 교육적 요구를 알아보고자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들은 ‘교사와 또래의 지지와 배려’, ‘통합교육 환경에 잘 적응하고 있는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학교생활에 만족하고 있었으나, ‘부적합한 청취환경’으로 인한 어려움, 명료하게 듣지 못하는 상황에의 노출, 모둠․협업 수업의 참여, 마스크 착용에서 비롯되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청인 위주의 수업과 평가, 중․고등학교로 갈수록 다양해지는 교과와 이동 수업으로 인한 ‘수업과 평가 참여의 어려움’, 청각장애로 인한 ‘정서적인 통합의 어려움’으로 학교생활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들은 ‘잘 들을 수 있는 물리적 환경 지원’, 청각장애 특성을 고려한 ‘수업과 평가 방식의 변화’, ‘당당하게 지원을 요구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 ‘청각장애에 대한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기’를 교육적 요구로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 배치된 중․고등학교 청각장애 학생 7명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만족도와 교육적 요구를 알아보고자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들은 ‘교사와 또래의 지지와 배려...

      본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 배치된 중․고등학교 청각장애 학생 7명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만족도와 교육적 요구를 알아보고자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들은 ‘교사와 또래의 지지와 배려’, ‘통합교육 환경에 잘 적응하고 있는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학교생활에 만족하고 있었으나, ‘부적합한 청취환경’으로 인한 어려움, 명료하게 듣지 못하는 상황에의 노출, 모둠․협업 수업의 참여, 마스크 착용에서 비롯되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청인 위주의 수업과 평가, 중․고등학교로 갈수록 다양해지는 교과와 이동 수업으로 인한 ‘수업과 평가 참여의 어려움’, 청각장애로 인한 ‘정서적인 통합의 어려움’으로 학교생활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들은 ‘잘 들을 수 있는 물리적 환경 지원’, 청각장애 특성을 고려한 ‘수업과 평가 방식의 변화’, ‘당당하게 지원을 요구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 ‘청각장애에 대한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기’를 교육적 요구로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숙경, "통합교육환경이 청각장애유아의 언어발달에 주는 효과" 2 (2): 119-130, 2000

      2 최성규 ; 김수향, "통합교육환경 청각장애 청소년의 교육환경에 대한이해와 정체성 인식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 (2): 47-68, 2011

      3 권순황, "통합교육이 청각장애 아동의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大邱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4 전응섭 ; 정은희, "통합교육의 만족도에 대한 청각장애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 비교"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6 (6): 167-190, 2015

      5 임명순, "통합교육을 받는 청각장애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6 권순우, "통합교육 환경에서 청각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141-160, 2012

      7 김하얀, "통합교육 환경에서 청각장애인이 경험한 장애의 의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8 서중현 ; 유은정, "청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의 인식과 지원 실태 파악"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5 (15): 203-230, 2014

      9 박미혜 ; 권순우, "청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 방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8 (58): 135-163, 2019

      10 송설비 ; 이예다나, "청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07년부터 2019년 12월까지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1 (11): 21-39, 2020

      1 조숙경, "통합교육환경이 청각장애유아의 언어발달에 주는 효과" 2 (2): 119-130, 2000

      2 최성규 ; 김수향, "통합교육환경 청각장애 청소년의 교육환경에 대한이해와 정체성 인식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 (2): 47-68, 2011

      3 권순황, "통합교육이 청각장애 아동의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大邱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4 전응섭 ; 정은희, "통합교육의 만족도에 대한 청각장애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 비교"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6 (6): 167-190, 2015

      5 임명순, "통합교육을 받는 청각장애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6 권순우, "통합교육 환경에서 청각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141-160, 2012

      7 김하얀, "통합교육 환경에서 청각장애인이 경험한 장애의 의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8 서중현 ; 유은정, "청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의 인식과 지원 실태 파악"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5 (15): 203-230, 2014

      9 박미혜 ; 권순우, "청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 방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8 (58): 135-163, 2019

      10 송설비 ; 이예다나, "청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07년부터 2019년 12월까지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1 (11): 21-39, 2020

      11 이영건 ; 정은희, "청각장애학생의 교육 배치 유형별, 학교 급별 학교생활만족도 비교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 (2): 15-30, 2011

      12 권순우, "청각장애학생의 고등학교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3 (13): 27-48, 2004

      13 김정화, "청각장애인 통합교육의 전망과 지원 방안" 210-236, 2009

      14 김선애, "청각장애아동 통합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9

      15 김송이 ; 유은정, "청각장애 청년의 학교생활 경험과 삶의 질에 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20 (20): 209-243, 2018

      16 정은지 ; 최상배, "청각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 업무담당자가 경험하는 운영상의 어려움과 요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 (20): 133-155, 2019

      17 최연숙 ; 박원희, "지식커뮤니티 기반의 청각장애아동 통합교육전략"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579-588, 2012

      18 허명진, "국내 청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소고: 인공와우 이식과 연계해서"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8 (8): 71-84, 2017

      19 오혜정, "국내 청각장애아 통합교육 연구현황 분석"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4 (4): 1-17, 2013

      20 Sam, S. T., "“It’s the mind that sees, not the eye”: The perspectives, experiences and coping strategies the visually impaired youth in a regular school in Ghana"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2013

      21 교육부, "2022 특수교육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