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태영, "회고적 에세이를 통해 분석한 우리나라 대학원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 탈동기화, 재동기화 요인" 한국사회언어학회 21 (21): 27-47, 2013
2 오대환, "해방 후의 기독교 선교사를 위한 한국어교육기관의 역사적 의미- Korean Language School(1949-1958)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9 (9): 173-191, 2013
3 장복명, "한국의 영어교육 정책과 세계화"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699-707, 2019
4 백경숙, "한국의 대학 영어교육과의 문화 관련 교과목 분석을 통한 제언" 한국사회언어학회 20 (20): 239-268, 2012
5 한선화,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 대한 수험자의 인식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27 (27): 227-248, 2019
6 윤은미, "한국어 학습자의 토론 담화 연구: 논증 구성과 논증적 상호작용 양상을 중심으로" 연세대 2015
7 곽준화,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26 (26): 1-30, 2018
8 강현주, "한국어 말하기 평가 맥락에서 사회언어적 능력 측정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0 (30): 1-23, 2019
9 조위수, "한국어 듣기 텍스트의 사회언어학적 특성 연구" 한국어문화교육학회 5 (5): 131-149, 2011
10 박은하, "한국어 교재에 표현된 사회적 차별 요소: 결혼이민자,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대상의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23 (23): 55-83, 2015
11 방혜숙, "한국어 교재 대화 구성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전화대화 구성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36) : 167-207, 2008
12 김현강, "한국어 교재 ‘본문’의 담화적 요소 분석" 한국사회언어학회 21 (21): 49-73, 2013
13 조남민, "한국어 교육과정에 반영된 사회문화적 현상에 대한 연구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성별언어와 관련하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7 (7): 211-239, 2011
14 김주성, "한국어 교육과 조선어 교육의 통합에 대한 시론" 언어정보연구원 44 : 267-291, 2018
15 최정선, "한국어 교실에서 소수언어권 학습자의 적응 및 부적응 요인 분석"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2 : 411-443, 2015
16 한상미, "한국어 교실에서 나타난 교사의 피드백 유형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526 : 453-505, 2001
17 진제희, "한국어 교실 교사-학습자 간 대화에 나타난 교사 중심적 의사소통 양상" 한국사회언어학회 12 (12): 233-260, 2004
18 백승주, "한국어 교사 발화에 나타난 관여 유발 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19 양명희, "한국 학생과 중국 유학생의 경어법 사용 비교・연구 -선후배 간 호칭, 인사말, 상대경어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21 (21): 129-152, 2013
20 신형욱, "한국 독일어교육에서의 ‘문화’의 이해와 수용"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 (20): 203-227, 2013
21 표시연, "한국 EFL 학습자의 학문적 글쓰기에서 나타난 영어 등위접속사의 사용 양상" 한국사회언어학회 25 (25): 185-210, 2017
22 김현주, "프랑스어와 영어 학습자의 내재적 학습 동기 변수와 인식 비교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1 (21): 277-306, 2014
23 안소영, "포트폴리오 평가방법을 활용한 대학교 학습자들의 영어학습 동기 변화 분석" 한국사회언어학회 26 (26): 251-275, 2018
24 구본관, "패러다임의 변화와 문법 교육의 방향" 한국어문학회 (103) : 1-40, 2009
25 김성희, "토의 능력 신장을 위한 토의 교육의 내용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15 (15): 31-55, 2007
26 김태영, "토론토 한국 이민자들의 영어 학습동기 및 신념: NVivo를 활용한 정성적 사례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16 (16): 141-168, 2008
27 강희숙, "캐나다 거주 한국인의 모국어 교육 실태" 한국사회언어학회 13 (13): 1-18, 2005
28 김은주, "초등학생과 대학생 외국어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전략 비교분석" 한국사회언어학회 8 (8): 361-376, 2000
29 서현석, "초등학교 학습자의 대화 전략 연구 - 소집단 활동에서 문제해결 과제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 215-237, 2005
30 김혜숙, "초등 학교의 로마자 표기 교육:영어 교과서와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13 (13): 127-148, 2005
31 김명순, "초급중국어회화 학습을 위한 상호작용식 교수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5 (25): 159-179, 2018
32 박재현, "청소년의 공감적 반응 발화의 유형과 양상" 한국국어교육학회 (118) : 135-164, 2019
33 신희성, "청소년 인터넷 언어의 문법교육적 수용에 대한 연구" 고려대한국어문교육연구소 17 : 139-175, 2015
34 이송,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프랑스어 교수·학습 방법"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2 (22): 277-298, 2015
35 공나형, "지리적 적절성을 기반으로 한 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 정책 연구-전라남북도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21 (21): 55-81, 2013
36 심영숙, "중학교 영어교과서의 ELF 관련 요소 분석" 한국사회언어학회 23 (23): 147-176, 2015
37 교육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V)" 대한교과서 2007
38 김금년, "중등교육 아랍어 학습자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 연구 –아랍어Ⅰ 언어·문화 통합 수업 중심으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6 (26): 135-149, 2019
39 박수현, "중도입국자녀의 언어능력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5대 일간지의 지면 보도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25 (25): 93-138, 2017
40 테레사 편,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과 정책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891-913, 2017
41 위국봉,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체언어간말 설단자음 마찰음화 습득 현상에 대하여: 사회언어학적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26 (26): 145-170, 2018
42 QIU LINA,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외래어 사용 실태" 한국사회언어학회 24 (24): 37-63, 2016
43 김신혜, "중국어 학습동기 변화에 관한 일기연구: 행위이론 관점에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6 (26): 143-168, 2019
44 김혜련,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초등영어 문화지도의 내용" 한국사회언어학회 8 (8): 377-393, 2000
45 손희연, "제2언어 습득의 사회인지적 과정으로서 대화의 의의 -사회문화이론(Sociocultural theory)의 관점에서 미시발달(microgenesis)의 상호작용 사례 분석-" 한국사회언어학회 22 (22): 113-140, 2014
46 교육인적자원부, "제 7차 외국어과 교육과정 I"
47 이재원, "정중 어법 교육 연구" 세계한국어문학회 1 : 155-196, 2009
48 이정은, "재외동포의 이중언어상용 상황과한국어 학습 양상의 특이성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한 교육 현장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13 (13): 193-218, 2005
49 이재호, "일본의 조선학교 학생들에 의한 한국어 종결어미 사용" 한국사회언어학회 24 (24): 317-343, 2016
50 오대환,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의 문제점에 관한 이해" 국어학회 (57) : 203-226, 2010
51 김현철,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을 이용한 비즈니스 중국어 수업 모형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9 (19): 371-394, 2012
52 손희연,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화용 능력 분석 -대화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19 (19): 209-235, 2011
53 박성원,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공동체 참여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7 (17): 103-158, 2014
54 박덕재,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콘텐츠에서의 성별언어에 대한 인식" 한국콘텐츠학회 9 (9): 423-432, 2009
55 심영숙, "온라인 기사 댓글을 통해 살펴본 유아 영어교육 인식" 한국사회언어학회 27 (27): 89-121, 2019
56 김태영, "온-오프라인 결합 교양영어 수강 대학생들의 학습동기 유형과 변화" 현대영어교육학회 12 (12): 126-156, 2011
57 김은주, "예비 교사 및 현직 영어 교사들의 수업지도안에 나타난 교사 언어(Teacher Talk)의 기능에관한 비교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10 (10): 57-72, 2002
58 황선혜, "영어수업내 의사소통행위와 사회문화적 제한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6 (6): 95-126, 1998
59 박휴용, "영어몰입프로그램의 공교육 도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사회언어학회 16 (16): 131-158, 2008
60 신동일, "영어말하기평가와 담화연구: 연계연구 가능성 탐색" 한국사회언어학회 13 (13): 107-128, 2005
61 황선혜, "영어말하기평가에 나타난 학습자의 어휘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7 (7): 225-260, 1999
62 김창호, "영어로 진행하는 중학교 영어 수업의 실태 분석" 대한영어영문학회 34 (34): 203-228, 2008
63 김영숙,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에서의 교사 발화 분석" 대구교육대학교 25 (25): 261-279, 2009
64 교육부, "영어과 교육과정(제2015-74호)[별책 14]"
65 교육부, "영어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8-150호, 수정 2017. 12. 05.)"
66 임선일, "에스니시티(ethnicity) 변형을 통한 한국사회 이주노동자의 문화변용 연구 : 한국계와 비한국계 이주노동자의 사례 비교"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2010
67 신동일, "언어교육 분야의 정체성 연구에 관한 경향성 탐색 -후기구조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21 (21): 99-127, 2013
68 허재영, "신문 매체 언어 연구와 국어과 교육" 한국사회언어학회 17 (17): 177-197, 2009
69 조혜진, "스페인어 몸짓과 몸짓 관용표현 학습 제안"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 (20): 329-355, 2013
70 유정화, "스마트러닝을 위한 러시아어교육 앱 탐색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 (20): 365-389, 2013
71 이현희, "성인의 어휘 능력과 텍스트 이해의 상관관계에 대한 기초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21 (21): 249-282, 2013
72 김지영, "상호작용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어 통합 교재의 말하기 활동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5 (25): 23-49, 2014
73 박혜란,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성 고정관념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27 (27): 117-139, 2019
74 진제희, "사회언어학적 및 전략적 말하기 능력 배양을 위한 담화분석 방법의 적용"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299-321, 2003
75 김재봉, "사회언어학의 이론에서 본 국어교육" 우리어문학회 (7) : 67-87, 1993
76 이은희, "사회언어학과 국어교육" 한국사회언어학회 10 (10): 137-158, 2002
77 김혜숙, "사회언어학(Sociolinguistiocs) 연구의 방법론" 한국국어교육학회 (67) : 143-172, 2004
78 김혜숙, "사회 방언과 국어교육" 국어교육학회 (35) : 33-63, 2009
79 이정복, "사회 방언과 국어교육" 한국어교육학회 (142) : 47-78, 2013
80 양영희, "사회 방언(학)과 비판적 언어인식에 근거한 문법교육의 방향 설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57-272, 2017
81 윤보은, "사우디아라비아인 유학생의 한국어 의사소통 전략 사용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26 (26): 171-200, 2018
82 강미영, "문화상호주의 기반 언어 정책 접근 방식에 관한 고찰 -국외 한국어 교육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21 (21): 1-24, 2013
83 김유리,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외국어 수업설계:고등학교 독일어 교과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5 (25): 183-201, 2018
84 김하수, "문제로서의 언어1"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18, 2008
85 김하수, "문제로서의 언어 1" 커뮤니케이션북스 177-200, 2008
86 김규훈, "문법교육의 소통적 관점에 관한 고찰 - 텍스트 중심성 원리의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92) : 35-66, 2012
87 박인규, "문법교육에서의 ‘어휘의 양상’ 재구조화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27 (27): 66-87, 2019
88 최진숙, "모국어 및 한국어에 대한 인식도와 한국어능력과의 관계 분석" 한국사회언어학회 26 (26): 211-233, 2018
89 유미선, "멀티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일본어 교육"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7 (27): 173-189, 2020
90 서종훈, "대화의 비유창성 현상 고찰 ─ 화제 상정 여부와 관계 수준의 정도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3 (53): 227-267, 2018
91 김혜정, "대화에서 격률과 함축, 그리고 그 교육적 의미"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3 : 293-322, 2012
92 한상미, "담화 및 화용과 한국어 교육 연구" 이중언어학회 (47) : 507-551, 2011
93 백목원, "다문화 가정 어머니와 자녀 간 의사소통 양상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7) : 45-92, 2015
94 곽부모, "남·여 한국어교사의 교실 언어 차이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23-50, 2004
95 조진수, "군대 은어 및 낯선 한자어의 사용자 인식 유형별 교육 방향" 한국사회언어학회 25 (25): 213-238, 2017
96 민현식, "국어학의 성과와 미래 국어교육에의 적용" 한국어교육학회 (126) : 185-220, 2008
97 노명완, "국어교육학개론" 삼지사 2013
98 김정선, "국어교육의 북한어 이해 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8) : 143-170, 2015
99 김슬옹, "국어교육을 위한 근대국어 시대구분론" 한국사회언어학회 19 (19): 85-106, 2011
100 신호철, "국어과 예비교사 수업 시연의 언어·행동 평가 기준안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언어·행동 평가 요소 추출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22 (22): 141-160, 2014
101 손희연, "국어과 대화 교육 내용 구성의 ‘사회적 기술’ 개념 적용 방안 연구" 한말연구학회 (43) : 119-145, 2017
102 김은성, "국어 변이어의 교육 내용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26) : 221-256, 2008
103 이광수, "구술사를 통해 본 방글라데시인 이주 노동자 샤골씨의 한국 사회 적응에 미친 요인" 인문학연구소 72 : 231-260, 2012
104 김양희, "과제 수행 중심의 프랑스 언어․문화 통합 교육 평가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6 (26): 125-142, 2019
105 홍용철,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육에서의 한국 문화 도입의 필요성"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1 (21): 293-311, 2014
106 양명희, "고급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교실 내 한국어 불안 수준 및 요인 연구: 국내 대학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25 (25): 119-141, 2017
107 손경애,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의 문제점 및개선방안 연구:중등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30 (30): 201-234, 2003
108 김유리,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을 위한 한국어표준교재≫의 성별, 국적, 피부색 표상분석" 한국사회언어학회 27 (27): 65-88, 2019
109 백경숙, "“They make me feel guilty”: 한국 대학생들의 성적 관련영문 전자편지의 화용적 효과 분석" 한국사회언어학회 22 (22): 25-57, 2014
110 박인기, "‘욕설언어현상’에 대한 교육적․문화적 진단과 대안 모색" 한국화법학회 (20) : 101-139, 2012
111 신길호,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교육’의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모색" 한국중원언어학회 (18) : 79-99, 2010
112 강이철, "Vygotsky의 교육관: 교사론, 학생론, 방법론"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3 (53): 115-140, 2005
113 Lemke, J., "Using Language in the Classroom" Deakin University Press 1985
114 Sinclair, J. M., "Towards an Analysis of Discourse : The English Used by Teachers and Pupils" Oxford University Press 1975
115 장선미, "The Study of Repetition in an English Immersion Camp Classroom" 한국사회언어학회 25 (25): 193-212, 2017
116 Hall, J. K.,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language learning" 22 : 186-203, 2002
117 Yancey, K., "Situating Portfolios: Four Perspectives" Utah State University Press 1997
118 하명정, "Rethinking Silence: Contextual Understanding of Oral Participation in an L2 Academic Classroom" 한국사회언어학회 18 (18): 165-191, 2010
119 Wolfson, N., "Perspectives : Sociolinguistics and TESOL" Newbury House Publishers 1989
120 Vygotsky, L.,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121 Chang, Sunmee, "Look Who's Talking?" 한국영어교육학회 59 (59): 3-22, 2004
122 Mehan, H., "Learning Lessons : Social Organization in the Classroom"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123 신성철, "Language Instructors' Use of Learners' L1 and L2 in Classroom: Perceptions by Students and Teachers of Korean" 국어교육연구소 (24) : 165-195, 2009
124 이정은, "Language Attitudes of EnglishKorean Bilinguals: A Qualitative Analysis of SelfReports via Interviews" 한국사회언어학회 21 (21): 71-92, 2013
125 김은호, "L2 speakers' use of Korean sentence-ending suffix-ketun-A conversation-analytic perspective-" 한국사회언어학회 22 (22): 23-60, 2014
126 김태영,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learning demotivation: a comparative survey study" 교육연구소 12 (12): 1-11, 2011
127 Kim, So-yeon, "I am speaking in silence: What Korean college students’ silence tells us about their English writing class" 한국사회언어학회 21 (21): 1-25, 2013
128 Lightbown, P., "How Languages are Learned"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29 Song, M. J., "Ethnicity and patterns of classroom participation-an investigation of korean ESL learners" 3 (3): 59-76, 1995
130 김언조, "Discourse Patterns in EFL Classroom Interaction" 한국사회언어학회 21 (21): 47-70, 2013
131 류혜경, "Discourse Analysis of Microteaching : Dynamic Identities and Situational Frames" 한국사회언어학회 25 (25): 165-196, 2017
132 정숙경, "Demotivating and Remotivating Factors in Learning English : A Case of Low Level College Students" 한국영어교육학회 66 (66): 47-72, 2011
133 Thomas, J., "Cross-cultural pragmatic failure" 4 (4): 91-12, 1983
134 Manke, M., "Classroom Power Relations" Lawrence Erlbaum 1997
135 Cazden, C., "Classroom Discourse : The Language of Teaching and Learning" Heinemann 2000
136 Ihm, H. J., "Analysis of second language learners’ writing papers in terms of sociolinguistic perspectives" 5 (5): 401-417, 1999
137 Kim, E., "An analysis of teacher’s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 in EFL classrooms" 9 (9): 29-47, 2001
138 Kathleen Lee, "An Analysis of English Teachers' Metalinguistic Discourse" 한국사회언어학회 26 (26): 195-223, 2018
139 박용예, "Advice Receiving in College EFL Writing Tutorials" 한국사회언어학회 26 (26): 159-200, 2018
140 Wells, G., "Action, Talk, and Text : Learning and Teaching Through Inquiry" Teachers College Press 2001
141 Roh, S. B., "A critical probing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9 (9): 219-235, 2001
142 Suh, K. H., "A Cohesion Analysis of Native and Non-native Speakers's Texts : Implications for ESL Writing" 8 (8): 289-305, 1999
143 한송화, "1960년대 한국어 교재에서의 언어와 사회 문화 양상" 한국사회언어학회 23 (23): 201-238,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