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팬덤의 히스테리적 특성 연구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팬덤을 중심으로 - = Study on Hysteric Characteristic of Transmedia Storytelling Fandom - Focused on Transmedia fandom of < Marvel Cinematic Universe >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837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proving that fandom of transmedia storytelling has the structural congruity with the hysterical subject in the psychoanalysis. According to Freud·Lacan, the hysterical subject is the one who endures and maintains deficiency well since he has no experience of satisfaction at all. The hysterical subject asks a question about desire of Other by imaginary identification with other and quests for his desire by symbolic identification with Other. Transmedia storytelling has a fundamental lack caused from media fragmentation and users are likely to defer their satisfaction and restore the entire storyworld through continuous transmedia to fill up the lack of the storyworld. Hence, in order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ransmedia fandom as the hysterical subject, this paper made an attempt of the discourse analysis on the online bulletin board of the Marvel Cinematic Universe fandom. Research findings show that Marvel fandom is crossing media to make up for the lack of a story, identifying with characters imaginarily in such a process and experiencing the symbolic identification with the entire storyworld of the Marvel Cinematic Univers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at proving that fandom of transmedia storytelling has the structural congruity with the hysterical subject in the psychoanalysis. According to Freud·Lacan, the hysterical subject is the one who endures and maintains deficiency well si...

      This study aims at proving that fandom of transmedia storytelling has the structural congruity with the hysterical subject in the psychoanalysis. According to Freud·Lacan, the hysterical subject is the one who endures and maintains deficiency well since he has no experience of satisfaction at all. The hysterical subject asks a question about desire of Other by imaginary identification with other and quests for his desire by symbolic identification with Other. Transmedia storytelling has a fundamental lack caused from media fragmentation and users are likely to defer their satisfaction and restore the entire storyworld through continuous transmedia to fill up the lack of the storyworld. Hence, in order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ransmedia fandom as the hysterical subject, this paper made an attempt of the discourse analysis on the online bulletin board of the Marvel Cinematic Universe fandom. Research findings show that Marvel fandom is crossing media to make up for the lack of a story, identifying with characters imaginarily in such a process and experiencing the symbolic identification with the entire storyworld of the Marvel Cinematic Univer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준희, "확장형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기반 생태계 모델" 한국영상학회 11 (11): 5-17, 2013

      2 Dor, Joel, "프로이트·라깡 정신분석임상" 아난케 134-135, 2005

      3 김유나, "팬픽션의 생성 구조 연구-<스타트렉>을 중심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4 Duffett, Mark, "팬덤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136-150, 2016

      5 Jenkins, Henry, "팬, 블로거, 게이머" 비즈앤비즈 2008

      6 신광철, "트랜스미디어와 콘텐츠" 세계한국어문학회 2011 (2011): 2011

      7 유제상, "트랜스미디어와 사용자 참여에 관한 연구"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1) : 185-209, 2015

      8 이봉희, "트랜스미디어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8 (8): 487-497, 2007

      9 전경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텍스트 및 이용 특징" 한국콘텐츠학회 10 (10): 243-250, 2010

      10 한혜원,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구조연구-<로스트>대체현실게임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15) : 7-27, 2009

      1 이준희, "확장형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기반 생태계 모델" 한국영상학회 11 (11): 5-17, 2013

      2 Dor, Joel, "프로이트·라깡 정신분석임상" 아난케 134-135, 2005

      3 김유나, "팬픽션의 생성 구조 연구-<스타트렉>을 중심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4 Duffett, Mark, "팬덤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136-150, 2016

      5 Jenkins, Henry, "팬, 블로거, 게이머" 비즈앤비즈 2008

      6 신광철, "트랜스미디어와 콘텐츠" 세계한국어문학회 2011 (2011): 2011

      7 유제상, "트랜스미디어와 사용자 참여에 관한 연구"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1) : 185-209, 2015

      8 이봉희, "트랜스미디어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8 (8): 487-497, 2007

      9 전경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텍스트 및 이용 특징" 한국콘텐츠학회 10 (10): 243-250, 2010

      10 한혜원,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구조연구-<로스트>대체현실게임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15) : 7-27, 2009

      11 김희경,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세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12 신동희,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연구 : 스토리텔링과 개념화" 한국콘텐츠학회 10 (10): 180-189, 2010

      13 김희경, "트랜스미디어 액티비즘"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14 류철균,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이해" 이화여대출판원 2015

      15 서성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 <미생>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어문학회 (128) : 277-308, 2015

      16 서성은,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팬덤의 강박적 특성 연구 - <치즈인더트랩>의 원작 팬덤을 중심으로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6 (16): 129-147, 2017

      17 조성동, "크로스 플랫폼 이용자 분극화 현상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8 Jenkins, Henry, "컨버전스 컬쳐" 비즈앤비즈 43-, 2006

      19 조윤경, "접두어 ‘trans-’의 인문학적 함의 - 탈경계 인문학Trans-Humanities 연구를 위한 개념 고찰을 중심으로" 이화인문과학원 3 (3): 5-27, 2010

      20 홍준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남자의 성 여자의 성" 아난케 2005

      21 André, Serge, "여자는 무엇을 원하는가? : 히스테리, 여자동성애, 여성성" 아난케 175-, 2010

      22 김기홍, "문화콘텐츠와 트랜스미디어 : 어벤져스에서 오즈의 마법사까지" HUINE 2016

      23 서성은,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의 팬덤 양상 비교 연구-강박형과 히스테리형 주체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게임학회 17 (17): 79-88, 2017

      24 서성은,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2015

      25 Dor, Joel, "라깡과 정신분석임상: 구조와 도착증" 아난케 2005

      26 "네이버 온라인 카페 <마블&DC【코믹스 세상】>"

      27 "그외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관련 작품 다수"

      28 Lachaud, Denise, "강박증: 의무의 감옥" 아난케 46-, 2007

      29 최용호, "‘Trans-Semiosis’와 독서 행위 - 『돈키호테』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83-106, 2009

      30 Brewer, David A., "The afterlife of Character 1726-1825"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 2005

      31 Aarseth, Espen, "The Culture and Business of Cross-Media Productions, Popular Communication" 4 (4): 2006

      32 Dowd, Tom, "Storytelling Across Worlds: Transmedia for Creatives and Producers" Focal Press 2013

      33 Jenkins, Henry, "Spreadable Media: Creating Value and Meaning in a Networked Culture" NYU press 2013

      34 Booth, Paul, "Narractivity and the narrative database: Media-based wiids as interactive fan fiction" 19 (19): 34-, 2009

      35 "Marvel Studios: Assembling a Universe"

      36 Pratten, Robert, "Getting Started in Transmedia Storytelling: A Practical Guide for Beginners" CreateSpace 21-24, 2011

      37 Philips, Andrea, "A Creator's guide to Transmedia Storytelling: how to captivate and engage audiences across multiple platforms" Mc Graw Hill 2012

      38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The Avengers: Age of Ultron, 2015) 감독: Joss Whed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2-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디자인융복합학회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KCI등재
      2012-02-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자인융복합연구 ->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KCI등재
      2011-12-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포디자인학회 -> 디자인융복합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Information Design ->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KCI등재
      2011-12-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포디자인이슈 -> 디자인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InfoDESIGN ISSUE -> Design Convergence Stud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1 0.53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