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패션 인텔리전스의 개념을 교육 과정에 적합하도록 설정해 <글로벌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의 강의안을 개발하고, 교과목 운영에서 학생들이 제작한 최종 결과물을 제시하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패션 인텔리전스의 개념을 교육 과정에 적합하도록 설정해 <글로벌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의 강의안을 개발하고, 교과목 운영에서 학생들이 제작한 최종 결과물을 제시하였...
본 연구는 패션 인텔리전스의 개념을 교육 과정에 적합하도록 설정해 <글로벌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의 강의안을 개발하고, 교과목 운영에서 학생들이 제작한 최종 결과물을 제시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 패션 인텔 리전스의 개념을 고찰하고, 관련 교과목의 강의안 개발 사례를 조사하였 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교과목 운영을 위해 목표 및 내용을 설정하 고, 구체적인 과정을 거쳐 강의안을 개발하였다. 패션 인텔리전스는 사 용자의 패션 가치와 행동을 인정하는 개념으로 사용의 관행에 대한 긍정 적 인식을 확산하고 지속가능성 패션의 실천을 가능하게 한다. 교과목에 서 학생들은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고,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의 관행을 적극적으로 실천 및 공유함으로써 패션 인텔리전스를 실현하였 다. 최종 결과물은 학생들이 스스로 실천할 수 있도록 촉진하고, 학제 간 융합과 국제적 교류를 바탕으로 팀별로 문제를 제기하고, 분석 및 해 결을 논의하여 제작하였다. 그 결과 6개의 최종 결과물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패션 인텔리전스의 사례로 제시하였다. 패션 인텔리전스의 개념을 접목한 교과목은 다음 세대의 디자이너들에게 지속가능성 같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통합적인 사고와 책임감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사용의 관행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패션 인텔리전스 실천을 위한 교과목 운영 사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sustainable fashion design curriculum, focusing on 'practices of use' defined as 'fashion intelligent'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concept of sustainable fashion and to present the process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sustainable fashion design curriculum, focusing on 'practices of use' defined as 'fashion intelligent'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concept of sustainable fashion and to present the process of finalizing the results of the class. Fashion intelligence encourages users to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sustainable practices. First, this study figured out the concept of fashion intelligence and investigated design education as a case study subject. Next, this study integrates the concept of fashion intelligence into education and develops the curriculum in fashion and textile design. In the curriculum, students are challenged to make creative design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different departments and global exchange. Also, students are encouraged to practice on their own and to support to use of creative design press. Finally, this study analyzed the final works as examples of fashion intelligence.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fashion intelligence to the next generation of designers through design education.
AR 기술이 적용된 종이 그림책과 팝업북의 어린이 독서 몰입 경험 비교 연구 - 플로우(FLOW) 이론 중심으로
플레이어블 스토리 관점에서 본 「화이트 도어」 사례 연구 - ARGs의 트랜스미디어 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
아동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조절과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디자인 주도 개입의 효과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