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문화정치학의 관점에서 본 여성노동과 젠더 레짐 : 여성노동자투쟁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 Women's Labor and Gender Regime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Politics : Focusing on Documentaries about Women Laborers' Strugg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580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노동자를 고려하지 않는 노동운동사의 곁에는 동일한 비중으로 여성노동자를 주목하지 않는 미디어 엑티비즘이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여성노동자와 여성노동자투쟁을 주목하는 다큐멘터리들과 그 생산 환경을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첫째, 일터와 노동, 그리고 노동자의 정체성을 구조화하고 규정하는 젠더 관점을 해체적으로 드러내고 둘째, 주류를 거슬러 역사쓰기로서의 기록과 기억의 탈가부장적ㆍ여성주의적 양식을 성찰한다. 마지막으로 문화 정치학의 관점에서 생산, 인식론적 비판, 전유 등을 포함하는 여성주의 문화실천의 가능성과 전략을 탐색한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70년대 후반 ‘똥물투척 사건’ 이후로 근 30여 년간 복직투쟁을 벌이고 있는 동일방직 여성노동자들의 투쟁을 다룬 <우리들은 정의파다>와 이랜드 홈플러스 비정규 기혼여성들의 점거농성을 기록한 <외박>을 '노동투쟁과 문화전쟁'의 치열한 장소로 분석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여성노동자를 고려하지 않는 노동운동사의 곁에는 동일한 비중으로 여성노동자를 주목하지 않는 미디어 엑티비즘이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여성노동자와 여성노동자투쟁을 ...

      본 연구는 여성노동자를 고려하지 않는 노동운동사의 곁에는 동일한 비중으로 여성노동자를 주목하지 않는 미디어 엑티비즘이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여성노동자와 여성노동자투쟁을 주목하는 다큐멘터리들과 그 생산 환경을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첫째, 일터와 노동, 그리고 노동자의 정체성을 구조화하고 규정하는 젠더 관점을 해체적으로 드러내고 둘째, 주류를 거슬러 역사쓰기로서의 기록과 기억의 탈가부장적ㆍ여성주의적 양식을 성찰한다. 마지막으로 문화 정치학의 관점에서 생산, 인식론적 비판, 전유 등을 포함하는 여성주의 문화실천의 가능성과 전략을 탐색한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70년대 후반 ‘똥물투척 사건’ 이후로 근 30여 년간 복직투쟁을 벌이고 있는 동일방직 여성노동자들의 투쟁을 다룬 <우리들은 정의파다>와 이랜드 홈플러스 비정규 기혼여성들의 점거농성을 기록한 <외박>을 '노동투쟁과 문화전쟁'의 치열한 장소로 분석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tarts from the idea that media activism lacking attention to women workers co-relates to the history of labor which is not concerned with female worker. By analyzing documentaries covering women workers, their struggles and the productive environments, <We Are Not Defeated>, <Stayed Out Overnight (2009)> this study aims to:first, reveal and deconstruct gender perspective that structures and regulates workplace, work itself and the identities of the workers, second, reflect on records of history-writing against the grain and memories of de-patriarchal, feminist way, third, explore possibilities and strategy in feminist cultural practices, with perspective in Cultural Politics, including production, epistemological criticism, appropriation, etc.
      This study specifically reviews and identifies the following documentary films as the sites of work struggle and culture war:‘We Are Not Defeated (2006),’ covering women workers’ 30-year-struggle to be re-employed after the unfair dismissal in the late 70s, and ‘Stayed Out All Night(2009)’ which records the protests of non-regular, married women workers against E-land Homever company’s discrimin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starts from the idea that media activism lacking attention to women workers co-relates to the history of labor which is not concerned with female worker. By analyzing documentaries covering women workers, their struggles and the productive ...

      This study starts from the idea that media activism lacking attention to women workers co-relates to the history of labor which is not concerned with female worker. By analyzing documentaries covering women workers, their struggles and the productive environments, <We Are Not Defeated>, <Stayed Out Overnight (2009)> this study aims to:first, reveal and deconstruct gender perspective that structures and regulates workplace, work itself and the identities of the workers, second, reflect on records of history-writing against the grain and memories of de-patriarchal, feminist way, third, explore possibilities and strategy in feminist cultural practices, with perspective in Cultural Politics, including production, epistemological criticism, appropriation, etc.
      This study specifically reviews and identifies the following documentary films as the sites of work struggle and culture war:‘We Are Not Defeated (2006),’ covering women workers’ 30-year-struggle to be re-employed after the unfair dismissal in the late 70s, and ‘Stayed Out All Night(2009)’ which records the protests of non-regular, married women workers against E-land Homever company’s discrimin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주은, "현대 가족 이야기" 이가서 2004

      2 실비아 페데리치, "혁명의 영점" 갈무리 2013

      3 문정현, "할매꽃, 89분"

      4 김현미, "한국의 근대성과 여성의 노동권" 한국여성학회 16 (16): 2000

      5 이옥지, "한국여성노동자 운동사 1ㆍ2" 한울 2001

      6 남태제, "한국독립 다큐멘터리" 예담 2003

      7 이혜란, "평행선, 72분"

      8 임춘민, "평촌의 언니들, 113분"

      9 남인영, "타자들의 '목소리' :한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영화들에서의 사운드와 이미지의 관계" 영상예술학회 (13) : 113-141, 2008

      10 조형, "지구화와 여성 시민권" 이화여대 출판부 2002

      1 조주은, "현대 가족 이야기" 이가서 2004

      2 실비아 페데리치, "혁명의 영점" 갈무리 2013

      3 문정현, "할매꽃, 89분"

      4 김현미, "한국의 근대성과 여성의 노동권" 한국여성학회 16 (16): 2000

      5 이옥지, "한국여성노동자 운동사 1ㆍ2" 한울 2001

      6 남태제, "한국독립 다큐멘터리" 예담 2003

      7 이혜란, "평행선, 72분"

      8 임춘민, "평촌의 언니들, 113분"

      9 남인영, "타자들의 '목소리' :한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영화들에서의 사운드와 이미지의 관계" 영상예술학회 (13) : 113-141, 2008

      10 조형, "지구화와 여성 시민권" 이화여대 출판부 2002

      11 린다 맥도웰, "젠더, 정체성, 장소" 한울아카데미 2010

      12 조지 오웰, "위건 부두로 가는 길" 한겨레출판 2010

      13 권성현, "우리의 소박한 꿈을 응원해 줘" 후마니타스 2008

      14 이혜란, "우리들은 정의파다, 105분"

      15 외박 제작팀, "외박, 동침 그리고 변심-홈에버 여성노동자들의 510일 파업기록"

      16 김미례, "외박, 73분"

      17 강이수, "여성과 일-한국 여성 노동의 이해" 동녘 2000

      18 바바라 크리드, "여성과 괴물" 여이연 2007

      19 지혜, "얼굴들, 50분"

      20 박유희, "신자유주의시대 한국영화에 나타난 여성노동자 재현의 지형" 한국여성문학학회 (38) : 99-136, 2016

      21 김동원, "송환 148분"

      22 박혜영, "산업시대의 여성: 그 많던 여공들은 모두 어디로 갔는가?" 여성학연구소 8 (8): 87-123, 2015

      23 손희정, "사적 고백으로 직조된 공적 역사의 기록-여성영상집단 움 <우리들은 정의파다>-" 법과사회이론학회 (30) : 345-354, 2006

      24 조르주 디디 위베르만, "반딧불의 잔존" 길 2012

      25 돈 미첼, "문화정치 문화전쟁-비판적 문화지리학" 살림 2000

      26 임인애, "노조식당 너희 거 아니야. 우리가 투쟁으로 만든 거야. 최종희 노조식당 운영위원장 인터뷰"

      27 조순경, "노동과 페미니즘"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0

      28 캐럴 페이트만, "남과 여, 은폐된 성적 계약" 이후 2001

      29 조윤경, "가족 프로젝트-아버지의 집, 52분"

      30 조진희, "「평행선」과 「소금」을 중심으로 살펴본 여성 노동자 다큐멘터리" 아시아여성연구원 44 (44): 298-328, 2005

      31 배상미, "‘여성노동자’라는 새로운 범주설정의 필요성: 다큐멘터리 영화 <외박>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원 31 (31): 93-116, 2014

      32 김현경, "‘(여성)노동자’ 김진숙에 대한 여성주의적 독해" 한국여성연구소 12 (12): 1-29, 2012

      33 김영옥, "Understanding the Candlelight Demonstration and Women’s Political Subjectivity through the Perspective of Changing Publicity" 유네스코한국위원회 50 (50): 38-70, 2010

      34 Nancy Fraser, "Rethinking the Public Sphere : A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Actually Existing Democracy" Duke University Press 25/26 : 1990

      35 Kristeva, Julia, "Power of Horror : an essay on abjec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2

      36 Nichols, Bill, "Introduction to Documentary" Indian University Press 2001

      37 조진희, "<열대야>-노동자 다큐멘터리의 가부장제" 한국영상문화학회 10 : 2005

      38 김태일, "4월 9일, 125분"

      39 박소현, "2000년대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에서의 ‘나’-텍스트에 나타나는 주체성 문제를 중심으로"

      40 유경순, "1980년대, 변혁의 시간 전환의 기록 II" 봄날의박씨

      41 발터 벤야민, "1900년경 베를린의 유년시절" 길 2007

      42 전희경, "'젠더-나이체제'와 여성의 나이 : 시간의 서사성을 통해 본 나이경험의 정치적 함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3-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anghur Hakbo-The Jou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Lear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KCI등재
      2020-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Lea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 Sanghur Hakbo: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4 1.14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1 2.23 0.9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