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소비자의 면세점 명품 브랜드 구매동기에 관한 연구 : 소비자 특성의 조절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630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소비자들이 명품을 구매했을 때 왜 면세점 경로를 더 선호하는가? 어떤 소비자 유형의 면세점 명품 구매의도가 더 강한가? 본 연구에서는 왜 면세점에서 명품 구매가 특히 잘 일어나는지 그리고 어떤 소비자 유형에서 특히 잘 일어나는지를 밝히고자 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총 195명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비자의 긍정적인 감정이 면세점에서 명품브랜드 구매에 정(+)의 영향을 미치기 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소비자의 손실회피 특성이 면세점에서 명품브랜드 구매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2은 지지되었다(p<.05).그리고 비자의 긍정적인 감정이 면세점에서 명품브랜드 구매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 기존사용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이다(p=.054). 본 연구는 면세점에서 명품 구매하는 사람들의 구매동기와 소비자 유형을 분석할 결과를 통해 면세점에서 명품 브랜드 유통전략을 잘 이뤄질 수 있는 마케팅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소비자들이 명품을 구매했을 때 왜 면세점 경로를 더 선호하는가? 어떤 소비자 유형의 면세점 명품 구매의도가 더 강한가? 본 연구에서는 왜 면세점에서 명품 구매가 특히 잘 일어나는지 그...

      소비자들이 명품을 구매했을 때 왜 면세점 경로를 더 선호하는가? 어떤 소비자 유형의 면세점 명품 구매의도가 더 강한가? 본 연구에서는 왜 면세점에서 명품 구매가 특히 잘 일어나는지 그리고 어떤 소비자 유형에서 특히 잘 일어나는지를 밝히고자 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총 195명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비자의 긍정적인 감정이 면세점에서 명품브랜드 구매에 정(+)의 영향을 미치기 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소비자의 손실회피 특성이 면세점에서 명품브랜드 구매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2은 지지되었다(p<.05).그리고 비자의 긍정적인 감정이 면세점에서 명품브랜드 구매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 기존사용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이다(p=.054). 본 연구는 면세점에서 명품 구매하는 사람들의 구매동기와 소비자 유형을 분석할 결과를 통해 면세점에서 명품 브랜드 유통전략을 잘 이뤄질 수 있는 마케팅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y do consumers prefer duty-free routes when they purchase luxury goods? Which consumer types of duty-free shops are more willing to purchase luxury go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y luxury goods are especially popular in duty-free shops and which types of consumers are particularly popular. A total of 195 consumers were survey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ositive feelings of visa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of luxury brands at duty-free shops and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Hypothesis 2 was supported as consumers' loss avoidance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affected the purchase of luxury brands at duty-free shops (p<.05).In addition, the positive feelings of the visa affect the purchase of luxury brands at duty-free shops (p=054). This study aims to provide marketing implications that can help the distribution strategy of luxury brands in duty-free shops by analyzing the buying motives and consumer types of luxury goods buyers.
      번역하기

      Why do consumers prefer duty-free routes when they purchase luxury goods? Which consumer types of duty-free shops are more willing to purchase luxury go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y luxury goods are especially popular in duty-free ...

      Why do consumers prefer duty-free routes when they purchase luxury goods? Which consumer types of duty-free shops are more willing to purchase luxury go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y luxury goods are especially popular in duty-free shops and which types of consumers are particularly popular. A total of 195 consumers were survey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ositive feelings of visa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of luxury brands at duty-free shops and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Hypothesis 2 was supported as consumers' loss avoidance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affected the purchase of luxury brands at duty-free shops (p<.05).In addition, the positive feelings of the visa affect the purchase of luxury brands at duty-free shops (p=054). This study aims to provide marketing implications that can help the distribution strategy of luxury brands in duty-free shops by analyzing the buying motives and consumer types of luxury goods buy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2장 이론적 배경과 가설 6
      • 제1절 명품브랜드의 백화점, 온라인 쇼핑물, 면세점 유통경로 특성 6
      • 2.1.1 백화점 6
      • 제1장 서론 1
      • 제2장 이론적 배경과 가설 6
      • 제1절 명품브랜드의 백화점, 온라인 쇼핑물, 면세점 유통경로 특성 6
      • 2.1.1 백화점 6
      • 2.1.2 온라인 쇼핑물 7
      • 2.1.3 면세점 8
      • 제2절 면세점에서 소비자의 구매동기에 대한 가설 설정 12
      • 2.2.1 긍정적인 감정(Positive Emotions) 12
      • 2.2.2 손실회피 의도(Loss Aversion Intention) 14
      • 제3절 면세점에서 명품브랜드 구매소비자 유형의 조절효과 16
      • 2.3.1 신규고객과 재 구매고객 17
      • 2.3.2 계획구매형 고객과 충동구매형 고객 19
      • 제3장 연구방법 21
      • 제1절 측정도구와 자료수집 21
      • 제2절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 23
      • 제3절 가설 검증의 결과 26
      •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28
      • 제1절 요약과 시사점 28
      • 제2절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 32
      • 참고문헌 33
      • 국내문헌 33
      • 국외문헌 39
      • ABSTRACT 41
      • 부 록 4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