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지각을 통한 미술관 공간 분석 = A Study on museum space in M. Merleau-Ponty's Phenomenological perce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904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공간에서 체험을 통해 형성되는 감각과 소통의 장소를 만드는 것에 주목하고, 특히 미술관은 단순히 전시를 관람할 뿐만 아니라 미술관 자체도 하나의 예술품으로 보면서 그 공간에서의 체험이 중요시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 공간을 인지하는 주체로 인간의 신체를 주목한 프랑스 철학자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공간지각에 대해 살펴보고, 현상학적 지각체험을 통해 다양한 공간 표현 요소-신체의 움직임을 통한 상호관계적 지각, 경험과 기억에 의한 지각, 시간성을 통한 지각 방식-들의 특성들을 분석하고, 미술관을 통해 관랍객들이 그 움직임을 통해 공간을 체험하고 기억하는 지각작용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미술관 자체가 작품들과 함께 경험과 지각의 요소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공간에서 체험을 통해 형성되는 감각과 소통의 장소를 만드는 것에 주목하고, 특히 미술관은 단순히 전시를 관람할 뿐만 아니라 미술관 자체도 하나의 예술품으로 보면서 그 공간에서의 체...

      공간에서 체험을 통해 형성되는 감각과 소통의 장소를 만드는 것에 주목하고, 특히 미술관은 단순히 전시를 관람할 뿐만 아니라 미술관 자체도 하나의 예술품으로 보면서 그 공간에서의 체험이 중요시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 공간을 인지하는 주체로 인간의 신체를 주목한 프랑스 철학자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공간지각에 대해 살펴보고, 현상학적 지각체험을 통해 다양한 공간 표현 요소-신체의 움직임을 통한 상호관계적 지각, 경험과 기억에 의한 지각, 시간성을 통한 지각 방식-들의 특성들을 분석하고, 미술관을 통해 관랍객들이 그 움직임을 통해 공간을 체험하고 기억하는 지각작용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미술관 자체가 작품들과 함께 경험과 지각의 요소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pay attention to making spaces of sense and communication through experience. Especially, museum was hold only the exhibition, but now museum is regarded as a work of art. So, museum space is recognized as important space in experience space. So, this paper is a research about Phenomenogical approach of M. Merleau-Ponty, France philosopher, means human being as main subjects perceive space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expression of phenomenological body perception - such as migration of moving lines, abstraction of memories and experiences, perception according to time, I examine the perception of experiencing and perceting the spaces through the movement. I will have new possibilities of museum as an experience and a perception.
      번역하기

      I pay attention to making spaces of sense and communication through experience. Especially, museum was hold only the exhibition, but now museum is regarded as a work of art. So, museum space is recognized as important space in experience space. So, th...

      I pay attention to making spaces of sense and communication through experience. Especially, museum was hold only the exhibition, but now museum is regarded as a work of art. So, museum space is recognized as important space in experience space. So, this paper is a research about Phenomenogical approach of M. Merleau-Ponty, France philosopher, means human being as main subjects perceive space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expression of phenomenological body perception - such as migration of moving lines, abstraction of memories and experiences, perception according to time, I examine the perception of experiencing and perceting the spaces through the movement. I will have new possibilities of museum as an experience and a percep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욱, "필로 아키텍처" 향연 2009

      2 M. Merleau-Ponty,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3 조광제, "몸의 세계 세계의 몸" 이학사 2004

      4 권영걸, "공간디자인 16강" 국제 2001

      5 M. Merleau-Ponty, "Visible and Invisible Visible" Northwestern Univ. Press 1969

      1 박영욱, "필로 아키텍처" 향연 2009

      2 M. Merleau-Ponty,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3 조광제, "몸의 세계 세계의 몸" 이학사 2004

      4 권영걸, "공간디자인 16강" 국제 2001

      5 M. Merleau-Ponty, "Visible and Invisible Visible" Northwestern Univ. Press 196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