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방 공간 데이터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개선 방안에 관한 실증 연구: 입지 분석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pen Spatial Data for Effective Spatial Analysis Applications: Focused on the Case of Location Evaluation Proc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374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variety of spatial data is provided through open services such as data portals. However, availability is limited due to lack of standardization and data redundancy. Users who need to integrate open spatial data from various sources are burdened with...

      A variety of spatial data is provided through open services such as data portals. However, availability is limited due to lack of standardization and data redundancy. Users who need to integrate open spatial data from various sources are burdened with various additional tasks such as sorting and preprocessing of data.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problems of using open spatial data through a case study to evaluate location of new industrial complexes,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effective use of open spatial data. In order to construct the evaluation index for the location evaluation of the new industrial complex, various additional works were required in the open spatial data search, sorting and preprocessing stages, and different producers provided the duplicate data for the same subject. In the preprocessing stage of spatial data, various problems such as accuracy and precision mismatch, object geometry mismatch, geocoding error, coordinate system mismatch, and merging problem have been found. Based on the case analysis, this study derives the improvement plan for effective use of open spatial data as follows. First, the basis for efficient spatial analysis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data standardization. Second, to prevent redundant data,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ole between data producers. Thir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user-oriented platform that acts as a mediator between user and open spatial data servi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다양한 공간 데이터가 데이터 포털 등의 개방형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고 있지만, 표준화 미비와 데이터 중복성 등의이유로 인해 활용성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양한 출처의 개방 공간...

      다양한 공간 데이터가 데이터 포털 등의 개방형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고 있지만, 표준화 미비와 데이터 중복성 등의이유로 인해 활용성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양한 출처의 개방 공간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는 사용자는 자료의 선별과 전처리 등 다양한 추가 작업의 부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단지 입지분석에 개방 공간데이터를 활용하는 사례 분석을 통해서 개방 공간데이터 사용 과정의 문제점을 정리하고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래형 산업단지 입지분석을 위한 평가지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개방 공간데이터 검색, 선별 및 전처리 단계에서 다양한 추가 작업이 요구되었고, 동일 주제에 대해서도 상이한 생산 기관들이 중복된 데이터를 제공하여 데이터를 선별하는 작업이 필요하였다. 공간 데이터의 전처리 단계에서는 정확도 및 정밀도 불일치, 객체 지오메트리 불일치, 지오코딩 오류, 좌표계 불일치, 병합 문제 등의 다양한 문제가 발견되었다. 사례 분석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방 공간데이터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데이터의 표준화를 통해 효율적 공간 분석을 위한기반을 강화하여야 한다. 둘째, 중복 데이터 방지를 위해 데이터 생산 주체간의 역할 정립이 필요하다. 셋째, 공간 데이터 개방 서비스와 사용자간 중개 역할을 하는 사용자 중심의 플랫폼 도입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춘수, "지적(地籍)분야 공공데이터의 이용 활성화 방안" 한국지적학회 32 (32): 13-35, 2016

      2 김광섭,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모바일 실행환경 기반 공공데이터와 공간데이터 시각화" 대한공간정보학회 23 (23): 9-17, 2015

      3 송영선, "스마트 관광을 위한 개방 공간정보 현황분석"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0 (30): 205-219, 2018

      4 이보미, "국가지리정보 품질관리 대상 및 방법론 제시" 국토지리학회 51 (51): 135-148, 2017

      5 강영옥, "구글 API를 활용한 공공데이터의 지리적 시각화 연구" 한국지도학회 14 (14): 1-15, 2014

      6 황성수, "공공정보 개방 활용을 통한 행정정보와 공간정보의 융합 모색에 관한 연구: 참여지도(community mapping) 모델링 제안" 한국정책과학학회 19 (19): 189-206, 2015

      7 나성호,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아파트 매매 가격 결정 모형의 예측 능력 비교 : 서울 강남구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 21 (21): 3-12, 2019

      8 윤상오,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공공데이터 포털의 국가중점데이터 개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33 (33): 219-247, 2019

      9 김구,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에 관한 평가적 고찰: 공공데이터포털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소 31 (31): 57-82, 2017

      10 방승열, "공공개방데이터 품질진단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IT정책경영학회 7 (7): 23-31, 2015

      1 박춘수, "지적(地籍)분야 공공데이터의 이용 활성화 방안" 한국지적학회 32 (32): 13-35, 2016

      2 김광섭,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모바일 실행환경 기반 공공데이터와 공간데이터 시각화" 대한공간정보학회 23 (23): 9-17, 2015

      3 송영선, "스마트 관광을 위한 개방 공간정보 현황분석"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0 (30): 205-219, 2018

      4 이보미, "국가지리정보 품질관리 대상 및 방법론 제시" 국토지리학회 51 (51): 135-148, 2017

      5 강영옥, "구글 API를 활용한 공공데이터의 지리적 시각화 연구" 한국지도학회 14 (14): 1-15, 2014

      6 황성수, "공공정보 개방 활용을 통한 행정정보와 공간정보의 융합 모색에 관한 연구: 참여지도(community mapping) 모델링 제안" 한국정책과학학회 19 (19): 189-206, 2015

      7 나성호,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아파트 매매 가격 결정 모형의 예측 능력 비교 : 서울 강남구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 21 (21): 3-12, 2019

      8 윤상오,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공공데이터 포털의 국가중점데이터 개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33 (33): 219-247, 2019

      9 김구,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에 관한 평가적 고찰: 공공데이터포털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소 31 (31): 57-82, 2017

      10 방승열, "공공개방데이터 품질진단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IT정책경영학회 7 (7): 23-31, 2015

      11 박고은, "공공개방데이터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135-146, 2015

      12 Johnson, P. A., "The Cost of Geospatial Open Data" 21 : 434-445, 2017

      13 Johnson, P. A., "Reflecting on the success of open data : How municipal government evaluates their ipen data programs" 5 (5): 1-12, 2016

      14 OECD, "Open government data report: Enhancing policy maturity for sustainable impact" 2018

      15 Newman, D., "How to plan, participate and prosper in the data economy" Gartner 2011

      16 IDC, "Data age 2025: The evolution of data to life-critical" An IDC white paper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5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