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통약자를 위한 휠체어 장착 시외버스의 돌발상황 대응 차이: 해석 수준 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Emergency Response of Wheelchair Mounted Bus for Disabled Persons Based on the Construal Level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401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wheelchair mounted intercity bus is required to ensure the mobility rights of the disabled. It is important to have safety manual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weak in traffic for wheelchair mounted intercity buses.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for the safety manual. Inter-city bus drivers are familiar with the route compared to passengers. Accordingly, the driver is more likely to perceive the route nearer than the passenger. According to the construal level theory, one pays attention to feasibility as psychological distances get shorter, and one pays attention to desirability as psychological distances get longer. Accordingly, the driver is more likely to notice the details than the key purpose of the safety manual than the passenger is. This study compares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driver and passenger safety manual and analyzes the key points in the safety manual that the driver is likely to miss compared to the passenger.
      번역하기

      A wheelchair mounted intercity bus is required to ensure the mobility rights of the disabled. It is important to have safety manual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weak in traffic for wheelchair mounted intercity buses.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

      A wheelchair mounted intercity bus is required to ensure the mobility rights of the disabled. It is important to have safety manual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weak in traffic for wheelchair mounted intercity buses.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for the safety manual. Inter-city bus drivers are familiar with the route compared to passengers. Accordingly, the driver is more likely to perceive the route nearer than the passenger. According to the construal level theory, one pays attention to feasibility as psychological distances get shorter, and one pays attention to desirability as psychological distances get longer. Accordingly, the driver is more likely to notice the details than the key purpose of the safety manual than the passenger is. This study compares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driver and passenger safety manual and analyzes the key points in the safety manual that the driver is likely to miss compared to the passeng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장애인의 이동 권리를 보장하려면 휠체어 장착 시외버스가 필요하다. 안전 매뉴얼은 휠체어 장착 시외버스에 탑승하는 교통약자의 경험에 근거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조사결과, 운전자와 승객 사이에 안전 매뉴얼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시외버스 운전자들은 승객들에 비해 그 노선에 익숙하다. 따라서 운전자가 승객보다 동일한 거리를 더 가까운 경로로 인식할 가능성이 높다. 해석 수준 이론에 따르면 심리적 거리가 짧아지면 현실성에 주목하고, 심리적 거리가 멀수록 당위성에 주목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승객보다 안전 매뉴얼의 핵심 목적보다 세부 사항 위주로 떠올릴 가능성이 높다. 돌발상황 시 운전자는 세부적인 대응에 주목한 반면, 승객은 핵심적인 대응을 떠올리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운전자와 승객 간 안전 매뉴얼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고, 운전자가 승객에 비해 놓칠 가능성이 있는 안전 매뉴얼의 핵심 사항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번역하기

      장애인의 이동 권리를 보장하려면 휠체어 장착 시외버스가 필요하다. 안전 매뉴얼은 휠체어 장착 시외버스에 탑승하는 교통약자의 경험에 근거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조사결과, 운전자와 ...

      장애인의 이동 권리를 보장하려면 휠체어 장착 시외버스가 필요하다. 안전 매뉴얼은 휠체어 장착 시외버스에 탑승하는 교통약자의 경험에 근거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조사결과, 운전자와 승객 사이에 안전 매뉴얼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시외버스 운전자들은 승객들에 비해 그 노선에 익숙하다. 따라서 운전자가 승객보다 동일한 거리를 더 가까운 경로로 인식할 가능성이 높다. 해석 수준 이론에 따르면 심리적 거리가 짧아지면 현실성에 주목하고, 심리적 거리가 멀수록 당위성에 주목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승객보다 안전 매뉴얼의 핵심 목적보다 세부 사항 위주로 떠올릴 가능성이 높다. 돌발상황 시 운전자는 세부적인 대응에 주목한 반면, 승객은 핵심적인 대응을 떠올리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운전자와 승객 간 안전 매뉴얼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고, 운전자가 승객에 비해 놓칠 가능성이 있는 안전 매뉴얼의 핵심 사항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화재조사연구회, "화재로부터 배운다: 차량화재사례집" 동경법령출판 96-97, 2005

      2 송기욱, "특별교통수단 효율성 제고를 위한 준특별교통수단적정비율 산정 연구 - 동남권(부산·울산·경남)사례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0 (50): 143-155, 2015

      3 김태호, "지하철 교통약자 이동시설별 설치기준 비교연구" 6 (6): 81-97, 2009

      4 조영길, "중증장애인의 저상버스 이용 실태 및 요구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97-312, 2014

      5 고관우, "장애인의 특별교통수단 만족도가 장애수용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1963-1970, 2014

      6 이중섭, "장애인의 이동권 : 버스승강장 명칭을 병기하고 안내방송을 실시하라" 6 (6): 37-38, 2003

      7 심소정, "장애인 특별교통수단 기능 및 표준모델(안)에 관한 연구" 1223-1231, 2009

      8 김인숙, "장애인 등의 버스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265-291, 2012

      9 금기정, "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편의시설의 정비" 9 (9): 71-76, 1999

      10 한국소비자원, "자동차 화재실태와 발화원인 조사 결과" 1999

      1 화재조사연구회, "화재로부터 배운다: 차량화재사례집" 동경법령출판 96-97, 2005

      2 송기욱, "특별교통수단 효율성 제고를 위한 준특별교통수단적정비율 산정 연구 - 동남권(부산·울산·경남)사례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0 (50): 143-155, 2015

      3 김태호, "지하철 교통약자 이동시설별 설치기준 비교연구" 6 (6): 81-97, 2009

      4 조영길, "중증장애인의 저상버스 이용 실태 및 요구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97-312, 2014

      5 고관우, "장애인의 특별교통수단 만족도가 장애수용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1963-1970, 2014

      6 이중섭, "장애인의 이동권 : 버스승강장 명칭을 병기하고 안내방송을 실시하라" 6 (6): 37-38, 2003

      7 심소정, "장애인 특별교통수단 기능 및 표준모델(안)에 관한 연구" 1223-1231, 2009

      8 김인숙, "장애인 등의 버스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265-291, 2012

      9 금기정, "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편의시설의 정비" 9 (9): 71-76, 1999

      10 한국소비자원, "자동차 화재실태와 발화원인 조사 결과" 1999

      11 김민준, "운전자의 위험운전 행동 분석을 통한 시내버스 안전운전 지원 서비스 기회 도출" 대한산업공학회 41 (41): 499-510, 2015

      12 김기원, "시각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을 위한 버스 및 버스정류장 디자인 개선방안" 56-57, 2016

      13 박성환,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만족도 결정요인 연구 : 천안지역 저상버스, 장애인 콜택시 이용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14 박경욱, "교통약자를 고려한 환승센터 내부시설 평가 및 배치에 관한 연구" 60 (60): 485-490, 2009

      15 장유림, "광역통행에도 교통약자를 배려하자" 2 (2): 1-21, 2016

      16 한국도로공사 도로안전개선기획단, "고속도로 재난관리 매뉴얼"

      17 건설교통부, "고속도로 돌발상황관리시스템 최종보고서" 2003

      18 백승걸, "고속도로 돌발상황관리 매뉴얼 작성지침 개발" 4 (4): 61-72, 2005

      19 박충훈, "경기도 특별교통수단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 1-77, 2015

      20 Trope, Y., "Temporal Construal and Time-Dependent Changes in Preference" 79 (79): 876-889, 2000

      21 Förster, J., "Temporal Construal Effects on Abstract and Concrete Thinking : Consequences for Insight and Creative Cognition" 87 (87): 177-189, 2004

      22 Trope, Y., "Temporal Construal" 110 (110): 403-321, 2003

      23 Fujita, Kentaro, "Spatial Distance and Mental Construal of Social Events" 17 (17): 278-282, 2006

      24 Liviatan, I., "Interpersonal Similarity as a Social Distance Dimension : Implications for Perception of Others’ Actions" 44 : 1256-1269,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view -> 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3-1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통정보학회지 -> 유통경영학회지
      외국어명 :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Information Review ->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view
      KCI등재
      2010-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유통정보학회 -> 한국유통경영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92 1.25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