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스포츠 교육학 : 초등교사의 전문수준에 따른 체육교과내용지식과 수업지식의 차이분석 =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P.E.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tise Levels in Physical Education Teach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499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수준에 따른 체육교과내용지식과 수업지식의 차이를 해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4명의 초등학교 교사(초임교사 2명, 경력교사 2명)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인 사례 연구를 적용하였으며, 다양한 기법(심층면담, 수업촬영, 문헌조사)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의 진실성은 구성원간 검토, 동료간 협의, 그리고 다각도 분석법에 의해 확인하였다. 초등교사의 전문수준에 따른 체육교과내용지식과 수업지식의 차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연구 대상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체육 교과내용지식은 ‘양적’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질적 이해’의 측면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즉, 교사들은 초임교사이건 경력교사이건간에 체육교과내용을 ‘운동기능의 종합’이라는 일차원적인 방법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체육의 교육내용인 그 운동내에 포함되어 있는‘기능’의 측면만을 일차원적으로 이해하고 있었다.2) 연구대상 교사들이 갖고있는 ‘간이배구’에 대한 수업지식도 각 하위요소간에 일관된 관점(응용과학적 교수관)이 반영되어 있었으며, 초임교사이건 경력교사이건간에 교과내용을 ‘운동기능의 종합’이라는 일차원적 방식으로 이해함으로써, ‘기능 숙달의 효율성’ 중심의 수업지식을 갖게 되었다고 파악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수준에 따른 체육교과내용지식과 수업지식의 차이를 해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4명의 초등학교 교사(...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수준에 따른 체육교과내용지식과 수업지식의 차이를 해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4명의 초등학교 교사(초임교사 2명, 경력교사 2명)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인 사례 연구를 적용하였으며, 다양한 기법(심층면담, 수업촬영, 문헌조사)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의 진실성은 구성원간 검토, 동료간 협의, 그리고 다각도 분석법에 의해 확인하였다. 초등교사의 전문수준에 따른 체육교과내용지식과 수업지식의 차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연구 대상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체육 교과내용지식은 ‘양적’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질적 이해’의 측면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즉, 교사들은 초임교사이건 경력교사이건간에 체육교과내용을 ‘운동기능의 종합’이라는 일차원적인 방법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체육의 교육내용인 그 운동내에 포함되어 있는‘기능’의 측면만을 일차원적으로 이해하고 있었다.2) 연구대상 교사들이 갖고있는 ‘간이배구’에 대한 수업지식도 각 하위요소간에 일관된 관점(응용과학적 교수관)이 반영되어 있었으며, 초임교사이건 경력교사이건간에 교과내용을 ‘운동기능의 종합’이라는 일차원적 방식으로 이해함으로써, ‘기능 숙달의 효율성’ 중심의 수업지식을 갖게 되었다고 파악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P.E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ge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tise levels in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fter the differences of P,E subject matter knowledge were examined, the four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objectives, knowledge of teaching strategies, knowlege of students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curriculum) were specifically examined Four elementary teachers (two novice teachers, two experienced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observed case study design was employ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in-depth interviews, video-taping, and document analyses. Data ware analyzed by using inductive categorical system and the trustworthiness of data was confirmed through member check, peer debriefing, and triangulation.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Regardless of the differences with teaching expertise levels, the teachers interviewed in this study did not have a deep understanding on P.E subject matter knowledge. Their P.E subject matter knowledge was technical in nature. Regardless of their expertise levels, teachers perceived the content of physical education as skill-end sport-specific.2) Regardless of the differences with teaching expertise levels, the nature of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ere reflected an applied science view consistenty. Especially, an applied science view seemed to be related the four components of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egually. Also, the specific ways in which these four components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ould interect each othe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P.E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ge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tise levels in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fter the differences of P,E subject mat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P.E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ge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tise levels in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fter the differences of P,E subject matter knowledge were examined, the four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objectives, knowledge of teaching strategies, knowlege of students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curriculum) were specifically examined Four elementary teachers (two novice teachers, two experienced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observed case study design was employ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in-depth interviews, video-taping, and document analyses. Data ware analyzed by using inductive categorical system and the trustworthiness of data was confirmed through member check, peer debriefing, and triangulation.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Regardless of the differences with teaching expertise levels, the teachers interviewed in this study did not have a deep understanding on P.E subject matter knowledge. Their P.E subject matter knowledge was technical in nature. Regardless of their expertise levels, teachers perceived the content of physical education as skill-end sport-specific.2) Regardless of the differences with teaching expertise levels, the nature of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ere reflected an applied science view consistenty. Especially, an applied science view seemed to be related the four components of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egually. Also, the specific ways in which these four components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ould interect each othe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