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서학의 학문적 특성과 비서학 연구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Secretarial Studies and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Secretarial Sc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339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비서학회 창립 및 비서학논총 발간 20년 역사를 회고하며 비서학의 학문적 특성과 비서학 연구에 대한 고찰의 필요에 따라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비서학의 학문적 특성을 살펴보면, 학...

      한국비서학회 창립 및 비서학논총 발간 20년 역사를 회고하며 비서학의 학문적 특성과 비서학 연구에 대한 고찰의 필요에 따라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비서학의 학문적 특성을 살펴보면, 학문분야로 비교적 짧은 기간에 학제간적인 연구 특성과 응용사회과학으로서 현장 실무와 밀접한 연관관계를 갖고 발전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비서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장애요인이 되기도 하나, 동시에 시대적 요구와 사회적 요구에 맞춰서 패러다임을 변화하는 학문의 특성으로는 장점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서학의 근간이 되는 심리학, 조직행동, 교육학, 관리, 정보관리, 커뮤니케이션 등의 다양한 영역을 지식체별로 살펴보았고, 20년 동안 비서학이 산출한 연구결과를 이 지식체에 대입하여 기술하였다. 이 지식체를 통해서 비서학 연구가 수행되어온 것은 사실이지만, 다양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서 비서학에서도 나름의 독특한 이론을 정립하는 과정 중에 있고, 비서학의 대표 이론을 발굴하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도출된 제안점은 ‘비서’와 ‘비서학’에 대한 연구자들간의 합의된 정의(定義, definition)가 필요하다는 것과 비서학의 이론적 결과가 현장에서 실무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향후 지식의 확산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reflected by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20 year histo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ider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secretarial studies and its academic outcomes. The study identified secretarial studies as having a relatively ...

      As reflected by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20 year histo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ider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secretarial studies and its academic outcomes. The study identified secretarial studies as having a relatively short life history, interdisciplinary, and strong tie with practice as an applied science. These characteristics partially contribute as a hindrance for Secretarial Science to establish its academic identity. However, at the same time, they could be leveraged to develop secretarial studies by changing its paradigm to meet societal needs. This study also revealed six bodies of knowledge of secretarial studies―psychology, organizational behavior, edu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and cases of applying their theories to secretarial studies. Although the bodies of knowledge have been the basis of Secretarial Science studies, secretarial studies i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unique theories via various empirical research, and scholars should continue to make an effort to develop representative theories in secretarial studies. In sum, this study suggested to draw agreed definitions of ’secretary’ and ’Secretarial Science’ among scholars and make more of an effort to disseminate knowledge and theories to the practi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 Ⅱ. 비서학의 학문적 특성
      • Ⅲ. 비서학의 지식체와 비서학 이론
      • Ⅳ. 결론 및 제안
      • 국문초록
      • Ⅰ.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 Ⅱ. 비서학의 학문적 특성
      • Ⅲ. 비서학의 지식체와 비서학 이론
      • Ⅳ. 결론 및 제안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