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응급간호기록의 전자의무기록 적용 및 평가 = Evaluation of emergency nursing record applied to electronic medical recor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0024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의료분야는 교환되는 정보의 양이 방대하여 이에 대한 효율적 관리를 위해 전자의무기록이 원격진료의 핵심수단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응급간호기록을 전자의무기록으로 개발·적용하여 응급간호업무의 효율을 높이고, 전자의무기록의 효과를 평가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전자의무기록 적용은 EMR(Electronic Medical record)개발팀 구성, 데이터베이스 설계,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사전 교육, 시범적용, 프로그램 수정 및 보완의 단계를 거쳐 개발되어 적용하였으며, 평가는 간호사의 간호정보조사지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점시점은 전자의무기록 이전 즉, 수기작성 시와 전자의무기록 적용 1달 후, 적용 2달 후, 적용 3달 후이며, 전자의무기록 적용 2달 후와 5달 후에 설문지를 통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0.0을 이용하였으며 통계기법은 연속형 변수는 t-test와 ANOVA test를 사용하였고, 비연속형 변수의 분석은 Chi squre test와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개 응급의료센터에서 전자의무기록으로 개발하여 적용한 응급간호기록은 간호정보조사지, 수행기록지, 간호일지이다.
      둘째, 간호정보조사지를 작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수기 기록 시에는 환자 1인당 평균 222±71초가 측정되었고 전자의무기록 적용 3달 후에는 173±65초로 측정되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단축되었다.
      셋째, 환자의 중증도에 따른 간호정보조사지 작성에 소요된 시간을 측정한 결과, 환자의 중증구역에서 수기로 작성할 경우에 231±63초이었고, 전자의무기록 적용 3달후에는 200±66초로 단축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경증진료구역에서 진료한 환자의 경우 수기기록시간은 201±85초였으나, 전자의무기록 적용 3달후에는 133±44초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단축되었다.
      넷째, 진료결과에 따른 간호정보조사지의 작성에 소요된 시간을 측정한 결과, 입원환자군에서 수기로 작성하는 경우에는 234±65초이었고, 전자의무기록 적용 3달 후에는 184±73초로 측정되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시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귀가환자군에서는 수기 기록 작성과 전자의무기록 작성시 소요시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간호사 대상의 사용자 만족도 조사에서 ‘전자의무기록이 수기 기록 보다 편리한가?’ 라는 질문에, 전자의무기록 적용 2달 후에는 53.8%가 편리하다고 응답하였고 5달 후에는 74.4%로 증가하였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여섯째, ‘전자의무기록과 수기 기록 작성을 비교할 때 어느 것이 빠른가?’ 하는 질문에는 전자의무기록이 수기작성보다 빠르다고 답한 간호사가, 전자의무기록 적용 2달 후에는 7명(18.0%), 적용 5달 후에는 10명(25.6%)으로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일곱째,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이용하겠느냐?’라는 질문에 대해 전자의무기록 적용 2달 후에는 53.9%가 전자의무기록을 계속 이용하겠다고 응답하였으며 적용 5달 후에는 61.5%로 증가하였으나 적용기간별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전자의무기록을 중단하겠다는 응답은 시행 2달 후에 5명(12.8%)이었다가, 시행 5달 후에는 1명(2.6%)으로 감소하여 전자의무기록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았을 때 전자의무기록으로 간호정보조사지의 작성시, 시간이 단축되었음이 확인되었고 간호사는 전자의무기록 시행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자의무기록의 편리성, 신속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향후에도 계속적으로 사용하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 전자의무기록을 의료계 전체에 확대 적용이 필요하며 타의료기관의 의료진과 의무기록의 공유를 위해 표준화된 의학 용어 및 코드개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번역하기

      의료분야는 교환되는 정보의 양이 방대하여 이에 대한 효율적 관리를 위해 전자의무기록이 원격진료의 핵심수단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응급간호기록을 전자의무기록으로 개발·적...

      의료분야는 교환되는 정보의 양이 방대하여 이에 대한 효율적 관리를 위해 전자의무기록이 원격진료의 핵심수단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응급간호기록을 전자의무기록으로 개발·적용하여 응급간호업무의 효율을 높이고, 전자의무기록의 효과를 평가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전자의무기록 적용은 EMR(Electronic Medical record)개발팀 구성, 데이터베이스 설계,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사전 교육, 시범적용, 프로그램 수정 및 보완의 단계를 거쳐 개발되어 적용하였으며, 평가는 간호사의 간호정보조사지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점시점은 전자의무기록 이전 즉, 수기작성 시와 전자의무기록 적용 1달 후, 적용 2달 후, 적용 3달 후이며, 전자의무기록 적용 2달 후와 5달 후에 설문지를 통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0.0을 이용하였으며 통계기법은 연속형 변수는 t-test와 ANOVA test를 사용하였고, 비연속형 변수의 분석은 Chi squre test와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개 응급의료센터에서 전자의무기록으로 개발하여 적용한 응급간호기록은 간호정보조사지, 수행기록지, 간호일지이다.
      둘째, 간호정보조사지를 작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수기 기록 시에는 환자 1인당 평균 222±71초가 측정되었고 전자의무기록 적용 3달 후에는 173±65초로 측정되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단축되었다.
      셋째, 환자의 중증도에 따른 간호정보조사지 작성에 소요된 시간을 측정한 결과, 환자의 중증구역에서 수기로 작성할 경우에 231±63초이었고, 전자의무기록 적용 3달후에는 200±66초로 단축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경증진료구역에서 진료한 환자의 경우 수기기록시간은 201±85초였으나, 전자의무기록 적용 3달후에는 133±44초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단축되었다.
      넷째, 진료결과에 따른 간호정보조사지의 작성에 소요된 시간을 측정한 결과, 입원환자군에서 수기로 작성하는 경우에는 234±65초이었고, 전자의무기록 적용 3달 후에는 184±73초로 측정되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시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귀가환자군에서는 수기 기록 작성과 전자의무기록 작성시 소요시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간호사 대상의 사용자 만족도 조사에서 ‘전자의무기록이 수기 기록 보다 편리한가?’ 라는 질문에, 전자의무기록 적용 2달 후에는 53.8%가 편리하다고 응답하였고 5달 후에는 74.4%로 증가하였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여섯째, ‘전자의무기록과 수기 기록 작성을 비교할 때 어느 것이 빠른가?’ 하는 질문에는 전자의무기록이 수기작성보다 빠르다고 답한 간호사가, 전자의무기록 적용 2달 후에는 7명(18.0%), 적용 5달 후에는 10명(25.6%)으로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일곱째,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이용하겠느냐?’라는 질문에 대해 전자의무기록 적용 2달 후에는 53.9%가 전자의무기록을 계속 이용하겠다고 응답하였으며 적용 5달 후에는 61.5%로 증가하였으나 적용기간별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전자의무기록을 중단하겠다는 응답은 시행 2달 후에 5명(12.8%)이었다가, 시행 5달 후에는 1명(2.6%)으로 감소하여 전자의무기록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았을 때 전자의무기록으로 간호정보조사지의 작성시, 시간이 단축되었음이 확인되었고 간호사는 전자의무기록 시행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자의무기록의 편리성, 신속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향후에도 계속적으로 사용하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 전자의무기록을 의료계 전체에 확대 적용이 필요하며 타의료기관의 의료진과 의무기록의 공유를 위해 표준화된 의학 용어 및 코드개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is emerging as a key instrument of telemedicine with effective management of vast informational exchange in the medical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mote effectiveness of emergency nursing works with application of emergency nursing records to electronic medical recording system and to evaluate their effectiveness.
      EMR was developed through organization of the team member, plannig of the database, planning and development of, pre-education, application of an example, correction and supplement, application step and their effectiveness was evaluated by consuming time on nursing information sheet. The point of time measurement was before the EMR, that means hand writing medical record, 1 month, 2 months, 3 months later each after EMR application, Satisfaction rate of users was analyzed by a questionnaire 2month, 5month later each after EMR application.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10.0, statistic methods were t-test, ANOVA test for consecutive variables and Chi squre test, Fisher's exact test for non-consecutive variab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s of the Emergency nursing records applied to electronic medical recording system were nursing information sheet, nursing intervention sheet, nursing note.
      Second, consuming time for nursing information sheet was shorten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rom average 222±71sec/patient before EMR application to average 173±65sec/patient 3 months later after EMR application.
      Third, in mild serious patients group, consuming time for nursing intervention sheet by patient's severity was shorten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rom average 201±85sec/patient before EMR application to average 137±44sec/patient 3 months later after EMR application.
      Fourth, in admitted patients group, consuming time for nursing intervention sheet by patient's outcome was shorten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rom average 234±65sec/patient before EMR application to average 184±73 sec/patient 3 months later after EMR application. But in discharged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ing time before and after EMR application
      Fifth, in user satisfaction survey, the question of 'is EMR using more convenient than hand writing?' showed positive answers with 53.8% 2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and 5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positive answers were increased with 74.4%.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time interval was found
      Sixth, in question of 'which is more faster between EMR and hand writing?', EMR answers had 7 people(18.0%) 2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10 people(25.6%) 5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time interval.
      Seventh, in question of 'would you like to keep use EMR continuously', the positive answers were increased from 53.9% 2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to 61.5% 5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time interval was found. Also the negative answers were decreased by the time from 5 people(12.8%) 2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to 1 person (2.6%) 5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From above results, by applying emergency nursing information sheet to EMR system, consuming time on emergency nursing information sheet was shortened and user satisfaction was also increased in convenience, rapidity by the time, eventually users showed positive attitude to EMR application and their continuous use. So it would need to apply entire medical record to Electronic medical recording system and we need to put more efforts into development of standard medical term and code to share information with other medical staffs.
      번역하기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is emerging as a key instrument of telemedicine with effective management of vast informational exchange in the medical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mote effectiveness of emergency nursing works with application ...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is emerging as a key instrument of telemedicine with effective management of vast informational exchange in the medical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mote effectiveness of emergency nursing works with application of emergency nursing records to electronic medical recording system and to evaluate their effectiveness.
      EMR was developed through organization of the team member, plannig of the database, planning and development of, pre-education, application of an example, correction and supplement, application step and their effectiveness was evaluated by consuming time on nursing information sheet. The point of time measurement was before the EMR, that means hand writing medical record, 1 month, 2 months, 3 months later each after EMR application, Satisfaction rate of users was analyzed by a questionnaire 2month, 5month later each after EMR application.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10.0, statistic methods were t-test, ANOVA test for consecutive variables and Chi squre test, Fisher's exact test for non-consecutive variab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s of the Emergency nursing records applied to electronic medical recording system were nursing information sheet, nursing intervention sheet, nursing note.
      Second, consuming time for nursing information sheet was shorten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rom average 222±71sec/patient before EMR application to average 173±65sec/patient 3 months later after EMR application.
      Third, in mild serious patients group, consuming time for nursing intervention sheet by patient's severity was shorten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rom average 201±85sec/patient before EMR application to average 137±44sec/patient 3 months later after EMR application.
      Fourth, in admitted patients group, consuming time for nursing intervention sheet by patient's outcome was shorten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rom average 234±65sec/patient before EMR application to average 184±73 sec/patient 3 months later after EMR application. But in discharged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ing time before and after EMR application
      Fifth, in user satisfaction survey, the question of 'is EMR using more convenient than hand writing?' showed positive answers with 53.8% 2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and 5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positive answers were increased with 74.4%.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time interval was found
      Sixth, in question of 'which is more faster between EMR and hand writing?', EMR answers had 7 people(18.0%) 2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10 people(25.6%) 5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time interval.
      Seventh, in question of 'would you like to keep use EMR continuously', the positive answers were increased from 53.9% 2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to 61.5% 5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time interval was found. Also the negative answers were decreased by the time from 5 people(12.8%) 2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to 1 person (2.6%) 5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From above results, by applying emergency nursing information sheet to EMR system, consuming time on emergency nursing information sheet was shortened and user satisfaction was also increased in convenience, rapidity by the time, eventually users showed positive attitude to EMR application and their continuous use. So it would need to apply entire medical record to Electronic medical recording system and we need to put more efforts into development of standard medical term and code to share information with other medical staff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ⅲ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3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ⅲ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3
      • 3. 용어의 정의 = 3
      • Ⅱ. 문헌고찰 = 5
      • 1. 응급실 정보시스템 = 5
      • 2. 응급간호기록 = 6
      • 3. 전자의무기록 = 7
      • 4. 전자간호기록 = 9
      • Ⅲ. 연구방법 = 12
      • 1. 연구설계 = 12
      • 2. 전자의무기록 개발과 적용 = 12
      • 3. 연구대상 = 13
      • 4. 연구도구 = 13
      • 5. 자료 수집 기간 및 방법 = 14
      • 6. 자료분석 방법 = 15
      • 7. 연구의 제한점 = 15
      • Ⅳ. 연구결과 = 16
      • 1. 전자의무기록 적용 결과 = 16
      • 2. 전자의무기록 적용 전후 기록에 소요된 시간 = 17
      • 3. 전자의무기록에 대한 만족도 조사 = 19
      • Ⅴ. 논의 = 22
      • 1. 응급간호기록의 전자의무기록 적용 = 22
      • 2. 전자의무기록 개발 프로그램의 평가 = 22
      • Ⅵ. 결론 및 제언 = 25
      • 참고문헌 = 28
      • 부록 = 31
      • ABSTRACT = 3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