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의 연계 확보를 위한 핵심역량의 선정 및 조직 방안 탐색 = Exploring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re competencies to secure the link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curriculum competenci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 간의 연계 개선에 중점을 둔 핵심역량의 선정 및 조직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교육과정 국제비교를 통해 각 나라의 핵심역량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 간의 연계 개선에 중점을 둔 핵심역량의 선정 및 조직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교육과정 국제비교를 통해 각 나라의 핵심역량 선정 및 조직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고, 장학사 및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향후 교육과정에서 반영되어야 할 핵심역량을 도출하였으며, 이론 및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핵심역량의 조직 방안으로서 핵심역량 범주화(안)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 간의 연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 핵심역량이 교과 역량 개발에 주는 함의가 명료해야 하고 핵심역량의 수가 적정화되어야 한다. 이는 핵심역량을 범주화하여 세 가지 항목 정도로 제시하여 각 핵심역량의 범주가 교과 역량 개발에 유의미한 방향성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차기 교육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핵심역량 범주(안)으로 ‘탐구하는 학습자’, ‘참여 협력하는 공동체인’, ‘성찰 발전하는 생활인’을 도출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핵심역량 범주화가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교과 역량을 성취기준으로 구체화하는 방식, 교육과정 문서에서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이라는 용어 자체의 적용 여부, 핵심역량 범주와 추구하는 인간상의 위상 및 역할 등에 대한 후속 연구와 폭넓은 대상자의 의견을 수렴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select and organize core competencies with an emphasis on improving the linkage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subject competencies. Method: First, the core competencies of each country were sel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select and organize core competencies with an emphasis on improving the linkage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subject competencies. Method: First, the core competencies of each country were selected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the curriculum. Second, the core competencies that should be reflected in the future curriculum were derived by conducting a survey on the supervisors and teachers. Thir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oretical and field experts to develop a plan for organizing core competencies and categorizing core competencies as examples of their application. Results: In order to secure a link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subject competencies, the implications of each core competency in developing subject competencies must be clear and the number of core competencies must be optimized. This can be embodied in such a way that each category of core competencies provides significant direction in the development of subject competencies by categorizing core competencies and presenting them as three items. In this study, the core competency categories that can be applied in the next curriculum were developed as exploring learners , participating and cooperating persons of communities , and reflecting and developing living persons . Conclusion: In order for the categorization of core competencies developed in this study to be effective, the following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First, the method of specifying subject competency as an achievement standard, second, whether the terms core competency and subject competency are applied in the curriculum document itself, third, the core competency category and the status and role of the human being pursued, fourth, gathering opinions from a wider audi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탐색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제언
      • Ⅰ. 서론 Ⅱ. 이론적 탐색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호주 교육과정 검색 페이지(초등학교 5학년 수학과 성취기준 사례 검색)"

      2 "캐나다 B. C. 주 핵심역량"

      3 "캐나다 B. C. 주 수학과 역량"

      4 "캐나다 B. C. 주 수학과 역량"

      5 조인영,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2 (22): 69-92, 2018

      6 교육부,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7 교육부, "체육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1]"

      8 문부과학성, "중학교학습지도요령" 문부과학성 2017

      9 교육부,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2]"

      10 교육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1 "호주 교육과정 검색 페이지(초등학교 5학년 수학과 성취기준 사례 검색)"

      2 "캐나다 B. C. 주 핵심역량"

      3 "캐나다 B. C. 주 수학과 역량"

      4 "캐나다 B. C. 주 수학과 역량"

      5 조인영,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2 (22): 69-92, 2018

      6 교육부,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7 교육부, "체육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1]"

      8 문부과학성, "중학교학습지도요령" 문부과학성 2017

      9 교육부,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2]"

      10 교육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11 김종윤, "성취기준 질 제고를 위한 국제 비교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12 박창언, "법령과 국가 정책에 의한 범 교과 학습 주제와 요구 시수의 문제 및 교육과정의 과제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71-93, 2014

      13 이상은, "미래지향적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OECD 역량교육의 틀 변화 동향 분석: ‘Education 2030’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139-164, 2019

      14 김국현, "도덕과 교육과정상의 윤리적 역량 재구조화" 한국윤리학회 1 (1): 89-116, 2017

      15 교육부, "국민과 함께하는 미래형 교육과정 추진 계획(안)"

      16 이승미, "교육 자치 강화에 따른 국가 수준의 초 중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17 이광우, "교과 교육과정 개발방향 설정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18 OECD,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19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 Executive summary" OECD 2005

      20 Senatsverwaltung fur Bildung, Jugend und Familie, "Teil C. Mathematik - Jahrgangsstufen 1-10"

      21 연합뉴스, "OECD포럼 '인천선언' 발표…"국민 삶의 질 높여 경제 선순환""

      22 이미경, "OECD Education 2030 교육과정 내용 맵핑 참여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23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National core curriculum for basic education 2014" Next Print Oy 2016

      24 Hessisches Kultusministerium, "Bildungsstandards und Inhaltsfelder – MATHEMATIK(Primarstufe)"

      25 "ACARA(c). 호주의 핵심역량"

      26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 (28): 563-575, 1975

      27 이광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 관련 이슈 고찰: 인간상, 교육 목표, 교과 역량과의 관계"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67-94, 2017

      28 이승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핵심역량의 적용 실태 및 개선 방향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33 (33): 1-31, 2020

      29 이광우, "2015 개정 교과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Ⅱ : 국가교육과정 각론조정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30 이승미,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역량 및 기능 체계화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Pusan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