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자이너 관점의 장소 이미지 의미와 형성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68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소 이미지를 디자이너의 관점으로 이해하고, 관련 영역의 디자이너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범위는 장소 이미지의 의미와 형성에 대하여 이론과 개념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특정 장소 이미지에 대한 형성요인 조사는 배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먼저 ‘장소’와 ‘이미지’에 관해 각각 문헌연구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장소 이미지를 디자인적 관점에서 고찰 및 분석하였다. 또한, 장소 이미지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 현황을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관련 경력 10년 이상의 디자인 실무자 9인을 심층 인터뷰하고 그 의견을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내용 및 결과로 첫째, 장소연구 중 장소 이미지를 주축으로 하는 연구의 비율은 낮은 편이지만, 점차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장소 이미지를 디자인 관점에서 해석하면, 간접 접촉을 통해 누적된 이미지인 공유 멘탈모델(mental model), 직접체험 시의 이미지인 감각 · 지각 · 인지, 경험 후의 통합된 이미지인 개인적 의미형성의 차원으로 논의할 수 있었다. 셋째, 전문가 인터뷰 결과 면접자들은 장소를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서로 합의가 이루어진 곳으로 간주했지만, 장소 이미지는 체험자의 관점과 경험이 주축이며 형성되는 데 경험 · 공간 · 인간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장소 이미지 관련 프로젝트에서 디자이너에게는 커뮤니케이션 능력, 기술지식, 시장분석, 사회 이슈에 대응하는 역량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장소 이미지를 디자이너의 관점으로 이해하고, 관련 영역의 디자이너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범위는 장소 이미지의 의미와 형성에 대...

      본 연구는 장소 이미지를 디자이너의 관점으로 이해하고, 관련 영역의 디자이너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범위는 장소 이미지의 의미와 형성에 대하여 이론과 개념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특정 장소 이미지에 대한 형성요인 조사는 배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먼저 ‘장소’와 ‘이미지’에 관해 각각 문헌연구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장소 이미지를 디자인적 관점에서 고찰 및 분석하였다. 또한, 장소 이미지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 현황을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관련 경력 10년 이상의 디자인 실무자 9인을 심층 인터뷰하고 그 의견을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내용 및 결과로 첫째, 장소연구 중 장소 이미지를 주축으로 하는 연구의 비율은 낮은 편이지만, 점차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장소 이미지를 디자인 관점에서 해석하면, 간접 접촉을 통해 누적된 이미지인 공유 멘탈모델(mental model), 직접체험 시의 이미지인 감각 · 지각 · 인지, 경험 후의 통합된 이미지인 개인적 의미형성의 차원으로 논의할 수 있었다. 셋째, 전문가 인터뷰 결과 면접자들은 장소를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서로 합의가 이루어진 곳으로 간주했지만, 장소 이미지는 체험자의 관점과 경험이 주축이며 형성되는 데 경험 · 공간 · 인간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장소 이미지 관련 프로젝트에서 디자이너에게는 커뮤니케이션 능력, 기술지식, 시장분석, 사회 이슈에 대응하는 역량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eaning and formation of place image from designers’ perspective and to explore what the required competencies for designers in related areas.
      The scope of this study is research about the meaning and formation of place images, and has ruled out image formation factors of specific places.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research about ‘place’ and ‘image’, analyzed place image from designers’ perspective. Also, we conducted a status analysis of thesis and dissertations on places image. Finally, individual interview with nine professional designers was conducted for further analysis and conclusion.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thesis which focus on places and images was rather low compared to the number of such studies, but has shown a gradual increase. Second, the images of plac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a shared mental model which means accumulated images, emotional response images based on sensor, perception and cognition, and an emotional experience image where people attach personal meaning to places. Third, the results of experts interview revealed their perception that places are naturally formed spaces where a consensus is made among people. On the other hand, they suggested that the places images are mainly affected by the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of individuals who experience the places and hence experience, space, and humans are key factors to form the images of places. In addition, there were views that designers who work on projects related to the images of places need to have communication skills, technical knowledge, and the ability to analyze markets and respond to social issu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eaning and formation of place image from designers’ perspective and to explore what the required competencies for designers in related areas. The scope of this study is research about the meaning and f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eaning and formation of place image from designers’ perspective and to explore what the required competencies for designers in related areas.
      The scope of this study is research about the meaning and formation of place images, and has ruled out image formation factors of specific places.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research about ‘place’ and ‘image’, analyzed place image from designers’ perspective. Also, we conducted a status analysis of thesis and dissertations on places image. Finally, individual interview with nine professional designers was conducted for further analysis and conclusion.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thesis which focus on places and images was rather low compared to the number of such studies, but has shown a gradual increase. Second, the images of plac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a shared mental model which means accumulated images, emotional response images based on sensor, perception and cognition, and an emotional experience image where people attach personal meaning to places. Third, the results of experts interview revealed their perception that places are naturally formed spaces where a consensus is made among people. On the other hand, they suggested that the places images are mainly affected by the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of individuals who experience the places and hence experience, space, and humans are key factors to form the images of places. In addition, there were views that designers who work on projects related to the images of places need to have communication skills, technical knowledge, and the ability to analyze markets and respond to social issu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장소와 이미지 고찰
      • Ⅲ. 장소 이미지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장소와 이미지 고찰
      • Ⅲ. 장소 이미지
      • Ⅳ. 디자인과 장소 이미지
      • Ⅴ. 결론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윤구, "청계천에 대한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 장소이미지 분석 - 내 · 외국인 방문객을 대상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5 (25): 67-90, 2013

      2 이주호, "장소이미지, 체험가치, 그리고 재방문의도 관계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3 이정모, "인지심리학" 학지사 1999

      4 성균관대학교 응용심리 연구소, "인간의 마음과 행동" 박영사 2009

      5 김미영, "이미지의 이론적 개념 및 구조: 의류학의 관점에서" 31 (31): 1997

      6 레지스 드브레, "이미지의 삶과 죽음: 서구적 시선의 역사" 시각과 언어 1995

      7 하상복, "이미지, 상징⋅재현⋅운동의 얼굴"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7

      8 조선령, "이미지 장치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9 유평근, "이미지" 살림출판사 2002

      10 김현강, "이미지"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5

      1 이윤구, "청계천에 대한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 장소이미지 분석 - 내 · 외국인 방문객을 대상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5 (25): 67-90, 2013

      2 이주호, "장소이미지, 체험가치, 그리고 재방문의도 관계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3 이정모, "인지심리학" 학지사 1999

      4 성균관대학교 응용심리 연구소, "인간의 마음과 행동" 박영사 2009

      5 김미영, "이미지의 이론적 개념 및 구조: 의류학의 관점에서" 31 (31): 1997

      6 레지스 드브레, "이미지의 삶과 죽음: 서구적 시선의 역사" 시각과 언어 1995

      7 하상복, "이미지, 상징⋅재현⋅운동의 얼굴"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7

      8 조선령, "이미지 장치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9 유평근, "이미지" 살림출판사 2002

      10 김현강, "이미지"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5

      11 김유경, "안홀트의 장소브랜딩(Places)"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2015

      12 나구모 하루요시, "시각표현" 도서출판국제 1999

      13 김주연, "스페이스 브랜딩" ㈜스리체어스 2020

      14 김희진, "문화지역의 상업화 과정과 장소성 인식변화: 삼청동과 신사동의 가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2015

      15 나건, "디자인 인간공학 101" 컬쳐코드 2017

      16 김미영, "도시공원의 장소체험과 이미지형성에 관한 연구 : 재생공원 사례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4

      17 이선정, "노마디즘 관점으로의 장소 재해석 연구" 서울대학교 2018

      18 유재웅, "국가이미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19 권영걸, "공간디자인의 언어" 날마다 2011

      20 페터 춤토르, "건축을 생각하다" 나무생각 2013

      21 최낙언, "감각⋅착각⋅환각" 예문당 2014

      22 "the-high-line"

      23 "https://www.visualthesaurus.com"

      24 "https://www.sisajournal.com"

      25 "https://www.samsung.com"

      26 "https://www.pps.org"

      27 "https://www.meatpacking-district.com/places"

      28 "https://www.lexico.com"

      29 "https://www.korean.go.kr"

      30 "https://www.hankyung.com"

      31 "https://www.guggenheim-bilbao.eus"

      32 "https://library.krihs.re.kr"

      33 "https://dictionary.cambridge.org"

      34 "http://www.riss.kr"

      35 앙리 베르그송, "[단행본]물질과 기억" 아카넷 2005

      36 Jenkins O. H, "Understanding and Measuring Tourist Destination Image" 1 : 1999

      37 Tuan Y. F., "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77

      38 Merschdorf H., "Revisiting the Role of Place in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7 : 2018

      39 Lelph E., "Place and Placelessness" Pion 1976

      40 Mitchell W.J.T., "Iconology: Image, Text, Ideolog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41 Bruner E. M., "Great Expectation: Imagination and Anticipation in Tourism" Berghahn Books 2011

      42 Norman D. A., "Emotional Design: Why We Love (or Hate) Everyday Things" Basic Books 2004

      43 Kotler P., "A Framework for Marketing Image Management" (Winter) : 1991

      44 장동련, "(홍대앞에서 런던까지) 장소의 재탄생" 디자인하우스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73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