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역사와 함께 성장해온 장신구는 단순히 몸을 아름답게 치장하기 위해서 뿐 아니라 자신의 사회적 지위와 신분을 나타내기 위해서 또는 간절한 염원이나 신앙을 담은 도구로 사용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966685
2013
-
학술저널
206-218(1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인류의 역사와 함께 성장해온 장신구는 단순히 몸을 아름답게 치장하기 위해서 뿐 아니라 자신의 사회적 지위와 신분을 나타내기 위해서 또는 간절한 염원이나 신앙을 담은 도구로 사용되...
인류의 역사와 함께 성장해온 장신구는 단순히 몸을 아름답게 치장하기 위해서 뿐 아니라 자신의 사회적 지위와 신분을 나타내기 위해서 또는 간절한 염원이나 신앙을 담은 도구로 사용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장신구에는 그 민족의 미의식과 생활관, 문화, 사회성이 내재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선사시대, 삼국시대를 지나면서 우리 선조들은 화려하면서도 다양한 종류의 장신구들을 제작ㆍ착용하였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노리개, 떨잠, 비녀 등의 장신구가 발전하였고 금ㆍ은 등의 금속류와 함께 옥, 산호, 호박 등의 보패류를 사용하여 장신구를 제작하였다. 궁중 왕실에서부터 평민에게까지 전 계층의 여인네들이 즐겨 착용했던 전통 장신구는 외국의 복식ㆍ장식문화의 유입과 함께 큰 변화를 겪게 된다. 즉, 일상에서 늘 착용하던 장신구에서 박물관 전시물, TV사극 속 소품 그리고 장인들의 재연품으로 그 의미가 바뀌게 되었다. 또한 맹목적인 서구형 장신구의 제작과 사용은 우리 고유의 독창성이 담긴 전통 장신구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현대 장신구의 특징은 독특한 재료와 제작기법을 사용하여 제작자와 착용자간의 소통과 착용자의 개성과 미적 감각을 보여주는 수단으로 인식되어 하나의 예술분야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장신구 중 노리개를 응용하여 개성과 감성을 중시하는 현대적 장신구로의 변용 가능성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노리개는 여성의 가슴을 장식한다는 점에서 현대 여성들이 즐겨 착용하는 브로치, 목걸이와 그 용도가 유사하여 현대적 변용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노리개에 사용된 보석을 살펴봄으로써 그 속에 담긴 의미와 조형성을 현대 장신구에 접목시켜 장신구 제작 시 보석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진, "회화적 표현을 응용한 현대 장신구 연구 : 알루미늄 디지털 프린팅과 꼴라쥬의 혼합기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2 金世煥, "한국 노리개의 조형적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4
3 김희정, "포스트모던 디자인 특성을 주제로 한 에스닉 주얼리 개발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노리개 형태를 중심으로"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2
4 최우현, "천국의 한 조각 비취"
5 김봉희,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의 현대적 변용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7
6 정진영, "조선시대 보패류의 사용과 금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7 김미옥, "조선시대 노리개를 응용한 현대 장신구 디자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8 한민석, "조선시대 궁중 장신구에 관한 연구" 동방대학원 대학교 2010
9 차명순, "전통매듭과 현대의 만남" 출판사 느림 2002
10 이경자, "전통 한복의 멋, 노리개"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5-, 2005
1 이경진, "회화적 표현을 응용한 현대 장신구 연구 : 알루미늄 디지털 프린팅과 꼴라쥬의 혼합기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2 金世煥, "한국 노리개의 조형적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4
3 김희정, "포스트모던 디자인 특성을 주제로 한 에스닉 주얼리 개발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노리개 형태를 중심으로"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2
4 최우현, "천국의 한 조각 비취"
5 김봉희,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의 현대적 변용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7
6 정진영, "조선시대 보패류의 사용과 금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7 김미옥, "조선시대 노리개를 응용한 현대 장신구 디자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8 한민석, "조선시대 궁중 장신구에 관한 연구" 동방대학원 대학교 2010
9 차명순, "전통매듭과 현대의 만남" 출판사 느림 2002
10 이경자, "전통 한복의 멋, 노리개"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5-, 2005
11 고승근, "삼국시대 장신구에 나타난 보석형태와 조형성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2006
12 조기선, "보석‐보석의 가치평가Ⅱ" 도서출판 미스바 2009
13 박준서, "바다의 꽃 산호"
14 백명기, "국내소비자 선호 유색보석 BEST 12"
15 홍기표, "고려도경" 황소자리출판사 258-, 2005
TV 홈쇼핑에서의 다이아몬드 상품속성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수복강녕의 전통문양과 형태를 이용한 주얼리 디자인 개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6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3-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2차) | |
2012-06-2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Gems and Jewelry -> Journal of the Korean Gems and Jewelry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 ![]() |
2011-01-0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귀금속보석학회 -> 한국귀금속보석학회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