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전문직은 국가의 요구와 학교 현장의 요구를 두루 이해하고 교육정책의 기획, 제도 정비, 보급 및 확산 등의 전 과정에 개입한다. 따라서 인공지능 교육정책사업을 주도하는 교육전문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26418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71-611(4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교육전문직은 국가의 요구와 학교 현장의 요구를 두루 이해하고 교육정책의 기획, 제도 정비, 보급 및 확산 등의 전 과정에 개입한다. 따라서 인공지능 교육정책사업을 주도하는 교육전문직...
교육전문직은 국가의 요구와 학교 현장의 요구를 두루 이해하고 교육정책의 기획, 제도 정비, 보급 및 확산 등의 전 과정에 개입한다. 따라서 인공지능 교육정책사업을 주도하는 교육전문직의 인식은 향후 인공지능 교육정책의 성패와 높은 연관성이 있다. 이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도교육청 및 부속 기관에서 인공지능 교육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교육전문직 8인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다루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면담은 개방형 질문의 방법과 절차를 참고하여 진행되었으며, 면담결과는 귀납적 방법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교육전문직은 인공지능 융합교육 필요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학생의 미래역량 성장과 교수자의 교수학습 지도 및 업무 수행 효율성 증대를 주요 목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교육전문직은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불분명한 교육적 정의, 교육청 간 과도한 경쟁에 따른 성과위주 교육정책 추진, 교사 간 인식 및 역량 격차 등을 인공지능 융합교육 방해요인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교육전문직은 인공지능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해 교육과정 속 인공지능 융합 강화, 데이터 활용 여건 마련 및 장기적 관점의 접근 시도, 교사 전반적 태도 및 분위기 개선, 교사 수준별 전문성 강화 방안 마련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인공지능 융합교육 활성화 과정에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관련 정책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ducational supervisors understand both the needs of the country and of school sites. Since they are involved in the planning of education policies, the perceptions of education supervisors who lead the AI education policy project are highly relevant ...
Educational supervisors understand both the needs of the country and of school sites. Since they are involved in the planning of education policies, the perceptions of education supervisors who lead the AI education policy project are highly relevant to its future success.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eight education supervisors working on AI education in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departments, as well as in affiliated organizations on AI convergence education. Educational supervisors positively perceived the necessity of AI convergence education and recognized its main purpose in the growth of students’ future capabilities, the improvement of teachers’ instruction, and work performance efficiency. Additionally, educational supervisors perceived unclear educational definitions of AI education, the accelerating of performance-based education policies due to excessive competition among educational authorities, and gaps in awareness and competence among teachers as obstacles to AI convergence education. Lastly, educational supervisors perceived that, in order to activate AI converge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nvergence of AI in the curriculum, create conditions for utilizing data and attempt to take a long-term perspective, improve the overall attitude and atmosphere of teachers, and prepare solutions to strengthen professionalism at each level of teachers.
SNA 대시보드에 대한 학습자 사용 행동과 인식 탐색: 상호작용성(Interactivity)과 데이터 시각화 리터러시
Vygotsky 이론에 기반한 이중자극 제시 유무와 중립성 수준이 ‘과학적 개념’을 활용한 자발적 고등사고와 과제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게임 기반 학습에서의 자기 조절 학습 행동 분석: 순서화된 네트워크 분석(Ordered Network Analysis)의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