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텍스트언어학적 비평과 처방을 통한 이공계 논문 바로 쓰기 = Text linguistics diagnosis and treatment of science and engineering pap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755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introductions of science and engineering articles from a text linguistics perspective and found solutions to the problem,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he introduction of the analysis target paper using the seven textuality discriminant elements defined by Beaugrande and Dressler (1981); cohesion, coherence, intentionality, acceptability, informativity, situationality, and intertextuality. We found that cohesion was often missing as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text.
      Second, the abovementioned seven elements determine how text is alike and enhances textuality. Therefore, we must overcome and avoid the errors we examined earlier to enhance the textuality of science and engineering papers. Authors are familiar with and use the Korean grammar principles to compose high-quality articles based on text linguistics principles.
      Before authoring papers, researchers in science and engineering should attend writing seminars hosted by university writing centers or conferences to develop good writing skills. At the academic level, strengthening the “paper contribution regulation” is also necessary. Besides, it makes sure that correction is essential from a correctional institution before submitting a paper.
      Third, the information to be included in the introduction of the science and engineering articles, such as purpose and necessity of research, prior research review, and research topics, are predetermined to an extent. Thus, it would be a good idea to develop and distribute a guideline for introduction writing to educate researchers.
      Fourth, undergraduate students below a particular grade may be required to take writing classes after taking the “writing proficiency test” at the time of admission.
      Finally, the textuality of the paper needs to be analyzed and reviewed throughout the paper. However, among the articles studied, one paper was quite voluminous and varied in composition from chapter to chapter, making it laborious to deal with all at once. Later, we will observe the materials and methods, discussions, and conclusions of science and engineering papers from a text linguistics perspective and provide suggestions to enhance the textuality of the entire paper.
      번역하기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introductions of science and engineering articles from a text linguistics perspective and found solutions to the problem,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he introduction of the analysis target paper using the s...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introductions of science and engineering articles from a text linguistics perspective and found solutions to the problem,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he introduction of the analysis target paper using the seven textuality discriminant elements defined by Beaugrande and Dressler (1981); cohesion, coherence, intentionality, acceptability, informativity, situationality, and intertextuality. We found that cohesion was often missing as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text.
      Second, the abovementioned seven elements determine how text is alike and enhances textuality. Therefore, we must overcome and avoid the errors we examined earlier to enhance the textuality of science and engineering papers. Authors are familiar with and use the Korean grammar principles to compose high-quality articles based on text linguistics principles.
      Before authoring papers, researchers in science and engineering should attend writing seminars hosted by university writing centers or conferences to develop good writing skills. At the academic level, strengthening the “paper contribution regulation” is also necessary. Besides, it makes sure that correction is essential from a correctional institution before submitting a paper.
      Third, the information to be included in the introduction of the science and engineering articles, such as purpose and necessity of research, prior research review, and research topics, are predetermined to an extent. Thus, it would be a good idea to develop and distribute a guideline for introduction writing to educate researchers.
      Fourth, undergraduate students below a particular grade may be required to take writing classes after taking the “writing proficiency test” at the time of admission.
      Finally, the textuality of the paper needs to be analyzed and reviewed throughout the paper. However, among the articles studied, one paper was quite voluminous and varied in composition from chapter to chapter, making it laborious to deal with all at once. Later, we will observe the materials and methods, discussions, and conclusions of science and engineering papers from a text linguistics perspective and provide suggestions to enhance the textuality of the entire pap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이공계 논문의 서론부를 텍스트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문제점에대한 해결책을 찾아보았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분석대상 논문의 서론부를 보그란데&드레슬러(1981)에 제시되어 있는7가지 텍스트성 판별 요소로 분석해 본 결과 전반적으로 문제가 있었고,특히 응집성(cohesion)의 경우에는 텍스트의 의미를 파악하기 힘들 정도로 잘못되어 있는 경우가많았다.
      둘째,이공계 논문의 텍스트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앞서 자세히 살펴본 오류들을 극복하고 그런 오류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이를 위해서는 논문 작성자들이 한국어 문법의 원리를 알고 이를 바탕으로 적격한 글을 쓰되,텍스트언어학적 원리에입각하여 수준 높은 글을 쓰는 것이다.
      이미 학업을 마친 이공계 전문 연구자들은 각 대학의 글쓰기센터나 학회에서 주최하는 글쓰기 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텍스트성이 높은 글을 쓸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하며,학회 차원에서는 ‘논문 투고규정’을 강화하여 텍스트가 제대로 작성이 되지 않으면 안 되도록 할 필요가 있고,논문을 투고하기 전에 교정 전문기관에서 교정을 필수적으로 받아오게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셋째,이공계 분야 논문의 서론부에 들어가야 하는 내용,즉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선행연구 검토,본 논문의 연구내용 항목,연구의 주제 등은 어느 정도 정해져 있기 때문에 서론부를 구성하는 내용과 방법을 메뉴얼로 만들어서 연구자들에게 보급하고교육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넷째,학부과정에 있는 학생들에게는 입학시에 ‘글쓰기 능력 시험’을 실시한 후에일정한 성적 이하를 받은 학생들은 글쓰기 강좌를 의무적으로 수강하게 하는 것도 한방법이 될 수 있다.
      번역하기

      지금까지 이공계 논문의 서론부를 텍스트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문제점에대한 해결책을 찾아보았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분석대상 논문의 서론부를 보그란데&...

      지금까지 이공계 논문의 서론부를 텍스트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문제점에대한 해결책을 찾아보았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분석대상 논문의 서론부를 보그란데&드레슬러(1981)에 제시되어 있는7가지 텍스트성 판별 요소로 분석해 본 결과 전반적으로 문제가 있었고,특히 응집성(cohesion)의 경우에는 텍스트의 의미를 파악하기 힘들 정도로 잘못되어 있는 경우가많았다.
      둘째,이공계 논문의 텍스트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앞서 자세히 살펴본 오류들을 극복하고 그런 오류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이를 위해서는 논문 작성자들이 한국어 문법의 원리를 알고 이를 바탕으로 적격한 글을 쓰되,텍스트언어학적 원리에입각하여 수준 높은 글을 쓰는 것이다.
      이미 학업을 마친 이공계 전문 연구자들은 각 대학의 글쓰기센터나 학회에서 주최하는 글쓰기 세미나 등에 참여하여 텍스트성이 높은 글을 쓸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하며,학회 차원에서는 ‘논문 투고규정’을 강화하여 텍스트가 제대로 작성이 되지 않으면 안 되도록 할 필요가 있고,논문을 투고하기 전에 교정 전문기관에서 교정을 필수적으로 받아오게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셋째,이공계 분야 논문의 서론부에 들어가야 하는 내용,즉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선행연구 검토,본 논문의 연구내용 항목,연구의 주제 등은 어느 정도 정해져 있기 때문에 서론부를 구성하는 내용과 방법을 메뉴얼로 만들어서 연구자들에게 보급하고교육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넷째,학부과정에 있는 학생들에게는 입학시에 ‘글쓰기 능력 시험’을 실시한 후에일정한 성적 이하를 받은 학생들은 글쓰기 강좌를 의무적으로 수강하게 하는 것도 한방법이 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지룡, "학교문법과 문법교육" 박이정 2020

      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3 정시호, "텍스트학" 민음사 1995

      4 이은희, "텍스트언어학과 국어교육" 서울대출판부 2000

      5 이석규, "텍스트 분석의 실제" 역락 2003

      6 김용도, "텍스트 결속이론" 부산외대출판부 1996

      7 주세형, "장르,텍스트,문법:쓰기 교육을 위한 문법" 박이정 2007

      8 고영근,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분석" 집문당 2003

      9 옥현진, "외국 대학 작문교육 실태 조사 연구" 대학작문학회 (창간) : 93-109, 2010

      10 원만희, "왜 범교과적 글쓰기인가?" 철학문화연구소 82 : 161-173, 2009

      1 임지룡, "학교문법과 문법교육" 박이정 2020

      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3 정시호, "텍스트학" 민음사 1995

      4 이은희, "텍스트언어학과 국어교육" 서울대출판부 2000

      5 이석규, "텍스트 분석의 실제" 역락 2003

      6 김용도, "텍스트 결속이론" 부산외대출판부 1996

      7 주세형, "장르,텍스트,문법:쓰기 교육을 위한 문법" 박이정 2007

      8 고영근,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분석" 집문당 2003

      9 옥현진, "외국 대학 작문교육 실태 조사 연구" 대학작문학회 (창간) : 93-109, 2010

      10 원만희, "왜 범교과적 글쓰기인가?" 철학문화연구소 82 : 161-173, 2009

      11 김도남, "상호텍스트성과 텍스트 이해 교육" 박이정 2003

      12 노명완, "대학작문:현 실태,개념적 특성,그리고 미래적 지향" 대학작문학회 (창간) : 1-40, 2009

      13 나은미, "대학생들의 문장 쓰기 실태와 지도" 한성어문학회 27 : 235-270, 2008

      14 김태옥, "담화·텍스트언어학 입문" 양영각 1991

      15 원진숙, "글쓰기의 문제해결 전략" 동문선 1998

      16 지현배, "글쓰기 효능감을 고려한 첨삭지도 전략" 대학작문학회 2 : 157-181, 2011

      17 김봉순, "국어교육과 텍스트구조" 서울대출판부 2002

      18 김성수, "과학 글쓰기 핸드북" (주)사이언스북스 2006

      19 김종록, "과학 글쓰기 전략" 박이정 2011

      20 황미향, "한국에서의 텍스트 의미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45 : 307-334, 2018

      21 황미향, "한국어 텍스트의 계층구조와 결속표지의 기능 연구: 읽기 능력 측정과 읽기 교재 구성 방안 모색"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9

      22 이희정, "한국대학에서의 이공계계열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민족문화학회 (31) : 561-594, 2009

      23 배식한, "전공연계글쓰기(WAC)의 국내 적용을 위한 전제 조건 : 미국 WAC 프로그램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591-626, 2012

      24 원만희, "전공연계 글쓰기(WAC)를 위한 교육 기획" 한국수사학회 (13) : 191-219, 2010

      25 김종록, "자연과학계 논문의 문장 표현에 대한 연구" 한국어문학회 (122) : 1-39, 2013

      26 김종록, "자연과학계 논문 텍스트의 연결성 분석" 한국어문학회 (124) : 1-37, 2014

      27 김종록, "자연과학계 논문 문장의 사용 실태와 그 개선 방안" 한국어문학회 (111) : 115-162, 2011

      28 황성근, "이공계 글의 특징과 글쓰기 교육 방향 모색" 한국사고와표현학회 3 (3): 99-130, 2010

      29 박선양, "이공계 글쓰기 교육의 효과적 교수방안 연구 ― 전북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국어문학회 49 (49): 175-198, 2010

      30 안상희, "범교과적 글쓰기(WAC)를 통한 대학 글쓰기 교육" 한국작문학회 (24) : 113-134, 2015

      31 배식한, "문제 기반의 비판적 사고 WAC 수업 모형"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341-372, 2013

      32 김혜영, "대학 글쓰기에 나타난 연결성 문제 - 카이스트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1) : 109-140, 2012

      33 정희모, "대학 글쓰기 교육과 연구 과제" 대학작문학회 2 : 7-29, 2011

      34 신선경, "과학기술자를 위한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 한국작문학회 (7) : 35-58, 2008

      35 황성근, "과학글쓰기의 학제적 접근을 위한 고찰 ―학술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399-427, 2013

      36 Townesend, M. A, "Writing Intensive Courses and WAC, WAC for the new Millennium Strategies for Continuing Writing-Across-the Curriculum Programs" NCTE 2001

      37 Mcleod, Susan H,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in a Time of Change, WAC for the new Millennium Strategies for Continuing Writing-Across-the Curriculum Programs" NCTE 2001

      38 Christopher Thaiss, "Theory in WAC: where have we been, where are we going? WAC for the new Millennium" 29 : 9-325, 2001

      39 James G. Paradis, "The MIT Guide to Science and Engineering Communication" The MIT Press 2002

      40 Thomas N. Huckin, "Technical Writing and Professional Communication For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McGraw-Hill, Inc 1991

      41 Beaugrande R. A, "Introduction to Text Linguistics" Longman 1981

      42 Halliday M.A.K, "Cohesion in English" Longman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학회 -> 한국 리터러시 학회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Literacy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 -> 리터러시 연구
      외국어명 : Korea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 -> The Korean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2-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