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장애아동 음운중심 읽기지도 연구방법 및 결과 분석 = An Analytic Review of the Research Methods and Result of Phonics-centered Reading Instruction for Korean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 Ne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7261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1996년부터 2006년까지 특수교육 요구아동 관련 국내 논문 및 학술지 중 음운중심 읽기지도에 관한 실험연구들을 바탕으로 연구대상, 도구, 프로그램, 처치, 연구설계, 자료...

      이 연구의 목적은 1996년부터 2006년까지 특수교육 요구아동 관련 국내 논문 및 학술지 중 음운중심 읽기지도에 관한 실험연구들을 바탕으로 연구대상, 도구, 프로그램, 처치, 연구설계, 자료처리 및 결과를 분석하여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결과 선정된 30편의 논문 가운데 연구대상은 읽기장애 아동이 43.90%로 가장 많았으며, 읽기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국내의 선행연구를 수정한 도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또 중재 프로그램은 음운인식 훈련과 단어재인 훈련이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처치는 16-20주, 시간은 31-40분, 총 처치회기 수는 31회기 이상이 가장 많았다. 연구 설계는 음운중심 읽기지도 프로그램 중재 후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43.33%로 나타났다. 자료처리는 추리통계가 52.50%로 가장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음운중심 읽기지도 연구결과의 서술적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동향에 대해 논의를 하고자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c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 on that experimental studies have been deal with phonics-centered reading instruc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 need which published at domestic research and 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c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 on that experimental studies have been deal with phonics-centered reading instruc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 need which published at domestic research and an academic journal from 1996 to 2006. what were analysis the experimental subjects, experimental instruments, programs, interventions, experimental design, data analysis, research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43.90% participants in 30 papers selected wer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 experimental instrument which modified on preceding domestic research were mostly used. Also mostly the programs based on phonological awareness, word-recognition training were used, the intervention duration were 16-20 weeks, the total sessions were over 31 sessions, not mostly. the 43.33% interventions were the phonics-centered reading instruction, the 52.50% data analysis were inference statics. Future study trends would be discussed about that based on research conclusion, descriptive research analysis about phonics-centered reading instruc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성두, "회기불일치 모델과 국가규정 저성취 모델에 의한 학습장애 진단 일관성 비교" 841-854, 2006

      2 김미경, "한글 읽기장애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과 명명속도 결손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2 (12): 241-254, 2003

      3 황도순, "한국 장애아동 언어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1 (11): 164-188, 2006

      4 이원령, "학습장애아동의 읽기와 음운인식에 대한 연구" 42 (42): 171-190, 2003

      5 김동일, "학습장애 진단 및 평가에 대한 논의: 진단 및 평가 모형 적용가능성의 제고" 61-65, 2005

      6 정대영, "학습장애 아동을 위한 읽기 교수 기법 탐색" 17 (17): 19-51, 2001

      7 이옥인, "특수교육 요구아동의 총체적 언어교육 연구방법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237-254, 2006

      8 윤미희, "총체적 언어교육법이 읽기학습부진아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4

      9 정익권, "총체적 언어교육 접근법이 학습장애아동의 읽기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7 : 2003

      10 김미실, "총체적 언어교수방법이 정신지체아의 읽기, 쓰기와 자기지향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1997

      1 홍성두, "회기불일치 모델과 국가규정 저성취 모델에 의한 학습장애 진단 일관성 비교" 841-854, 2006

      2 김미경, "한글 읽기장애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과 명명속도 결손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2 (12): 241-254, 2003

      3 황도순, "한국 장애아동 언어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1 (11): 164-188, 2006

      4 이원령, "학습장애아동의 읽기와 음운인식에 대한 연구" 42 (42): 171-190, 2003

      5 김동일, "학습장애 진단 및 평가에 대한 논의: 진단 및 평가 모형 적용가능성의 제고" 61-65, 2005

      6 정대영, "학습장애 아동을 위한 읽기 교수 기법 탐색" 17 (17): 19-51, 2001

      7 이옥인, "특수교육 요구아동의 총체적 언어교육 연구방법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237-254, 2006

      8 윤미희, "총체적 언어교육법이 읽기학습부진아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4

      9 정익권, "총체적 언어교육 접근법이 학습장애아동의 읽기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7 : 2003

      10 김미실, "총체적 언어교수방법이 정신지체아의 읽기, 쓰기와 자기지향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1997

      11 노선옥, "청각적 단어 제공 음운인식 프로그램이 읽기장애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 42 : 183-189, 2003

      12 이은정, "주기를 이용한 음운패턴 훈련법이 심한 음운장애 아동의 오류음운과정 및 문장 수준의 말명료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소 29 (29): 139-156, 1999

      13 신지현, "조음 및 음운장애 유아와 일반유아의 음운인식 능력비교"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14 이차숙, "제6차 유치원 언어교육과정 내용체계 분석 연구" 2000

      15 강갑술, "정신지체아의 읽기지도프로그램 적용효과(Ⅱ)" 20 (20): 87-101, 1998

      16 강갑술, "정신지체아의 읽기지도프로그램 적용효과(Ⅰ)" 20 (20): 105-124, 1997

      17 강옥려, "정신지체아동의 읽기교수법에 관한 비교 연구; 의미중심적인 방법과 음운분석적인 방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9

      18 남은하, "읽기지체아동의 음독오류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9

      19 김미경, "읽기장애 아동의 음운처리 능력과 읽기능력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20 김미경, "읽기장애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과 읽기 유창성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9 (19): 381-400, 2003

      21 김미경, "읽기장애 아동의 단어재인 설명변인 연구" 42 (42): 93-109, 2003

      22 백경래, "읽기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음운처리과정 비교를 통한 음운장애검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1998

      23 이혜숙, "읽기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음운처리과정 및 읽기재인간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24 노명완, "읽기의 개념과 읽기 지도의 문제점" 3 : 5-44, 1990

      25 안성우, "읽기 장애 아동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PREP와 음운 인식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한국언어치료학회 14 (14): 105-125, 2005

      26 황보명, "음운자각중재가 음운장애아동의 음운자각도 및 음운산출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7 (7): 134-151, 2002

      27 이원령, "음운인식훈련이 읽기장애아동의 음운인식·명명속도·읽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12 (12): 61-80, 2003

      28 이원령, "음운인식훈련을 통한 읽기장애아동의 음운인식 변화와 읽기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9 (19): 401-424, 2003

      29 백은아, "음운인식중애가 언어장애유아의 음운인식과 초기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30 김영우, "음운인식 훈련이 읽기 장애 아동의 문자 해독에 미치는 영향" 41 (41): 115-137, 2002

      31 정휘순, "음운인식 훈련을 통한 정신지체 아동의 읽기 개선"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5

      32 김정애, "음운인식 훈련 프로그램이 읽기장애아의 음운인식․단어재인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33 송지연, "음운인식 과제훈련이 초등학교 저학년 읽기장애 학생의 단어인지 능력 및 오류유형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34 최성규, "음운의 소리합치기 방법을 통한 정신지체아동의 읽기 지도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13 (13): 111-131, 2004

      35 김수경, "음운 자각 및 음운 단기기억이 한글 읽기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0

      36 진점인, "음소인식 훈련 프로그램이 읽기장애 아동의 단어 읽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2 (22): 145-171, 2006

      37 이차숙, "유아의 음운인식과 읽기능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37 (37): 389-406, 1999

      38 이차숙, "유아언어교육의 이론적 탐구" 학지사 2004

      39 여광응, "발음중심과 의미중심 지도방법이 정신지체아, 학습지진아 및 비장애아의 초기 단어읽기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언어치료학회 11 (11): 191-204, 2002

      40 김동철, "문자지도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1993

      41 이은주, "무의미 음절 따라말하기를 통한 단순조음음운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음운기억 수행능력 비교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 (8): 127-145, 2003

      42 김정숙, "담화 능력 배양을 위한 읽기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7 : 1996

      43 김화수,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재인과 읽기이해 관련 특성 변인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44 서유경, "단순 언어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작업기억 및 음운 인식 특성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7 (7): 217-235, 2005

      45 Lapp, D., "Where's the phonics? Making the case for integrated code instruction" 50 (50): 96-98, 1997

      46 Kavale, K. A., "What definition of learning disability say and don't say" 33 : 239-256, 2000

      47 Schneider, W., "Training Phonological Skills and Letter Knowledge in Children at Risk for Dyslexia : A Comparison of Three Kindergarten Intervention Programs" 92 (92): 84-295, 2000

      48 wells, G., "The meaning makers" Heinemann 1986

      49 Honig, B., "Teaching our children to read: The role of skills in a comprehensive reading program" Corwin Press, Inc 1996

      50 Kameenui, E.J., "Shakespeare and beginning reading: The readiness is all" 27 (27): 77-81, 1996

      51 Ackerman, P. T., "Phonological processes, confrontation naming, and immediate memory in dyslexia" 26 : 597-609, 1993

      52 Gillon, G., "Phonological awareness: From research to practice" Guilford Press 2004

      53 Bus, A., "Phonological awareness and early reading : A meta-analysis of experimental training studies" 91 : 403-411, 1999

      54 Chard, D. J., "Phonological awareness : Instructional and assessment guidelines" 34 (34): 261-270, 1999

      55 Ehri, L. C., "Phonemic awareness instruction helps children learn to read : Evidence from the National Reading Panel's meta-analysis" 36 : 250-287, 2001

      56 장대식, "PREP의 연속적처리훈련이 초등학교 읽기장애 아동의 단어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1 (21): 111-130, 2005

      57 Kronbichler, M., "Dyslexia : Verbal impairment in the absence of magnocellular impairments" 13 : 617-620, 2002

      58 Ball, E., "Does Phonemic awareness training in kindergarten make a difference in early word recognition and development of spelling" 26 : 49-66, 1991

      59 Nettrouer, S., "Do temporal processing deficits cause phonological processing problems?" 42 : 925-942, 1999

      60 Felton, R. H., "Cognitive deficits in reading disability and attention deficit disorder" 22 : 3-13, 1989

      61 Bradley, L., "Categorizing sounds and learning to read : a causal connection" 30 : 419-421, 1983

      62 Juel, C., "Beginning reading, In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Vol. 2" Longman 759-788, 1991

      63 Bowey, J. A., "A reading level design study of phonological skill underlying 4th grade children's word reading difficulties" 63 : 999-1011, 1992

      64 Jeynes, W. H., "A meta-analysis of studies examining the effect of whole language instruction on the literacy of low-SES students" 101 (101): 21-33,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