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ㅚ>ㅢ 변화 및 ㅚ>ㅐ 변화를 검토함으로써 하향이중모음 /ㅚ/의 변화가 국어 음운사에서 어떠한 위상과 의의를 차지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통시적 변화 과정에서 비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70269
여은지 (전북대학교)
2024
Korean
ㅚ>ㅢ ; ㅚ>ㅐ ; 하향이중모음 ; 비원순모음화 ; 모음 하강 ; 모음 체계 ; oj>ɯj ; oj>aj ; falling diphthong ; unrounding ; vowel falling ; vowel system
KCI등재
학술저널
35-63(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ㅚ>ㅢ 변화 및 ㅚ>ㅐ 변화를 검토함으로써 하향이중모음 /ㅚ/의 변화가 국어 음운사에서 어떠한 위상과 의의를 차지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통시적 변화 과정에서 비교...
본 연구에서는 ㅚ>ㅢ 변화 및 ㅚ>ㅐ 변화를 검토함으로써 하향이중모음 /ㅚ/의 변화가 국어 음운사에서 어떠한 위상과 의의를 차지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통시적 변화 과정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유지한 /ㅟ/와 달리 /ㅚ/는 역동적으로 변화해 왔다.
2.1.에서는 ㅚ>ㅢ 변화를 검토하였다. ㅟ>ㅢ는 17세기 비어두 음절에서 비원순모음화의 양상을 강하게 띤 반면 ㅚ>ㅢ는 음운 조건이 분명하지 않다. 16세기 말부터 시작되어 17-18세기에 걸쳐 비어두 음절에서 나타난다. ㅚ가 ㅢ로 직접 변화한 것이 아니라 ㅚ>ㆎ>ㅢ의 단계를 거친 것으로 확인된다. 2.2.에서는 ㅚ>ㅐ 변화를 검토하였다. ㅚ>ㅐ는 17세기 말 비어두 음절에서 발생하였다는 점에서 ㅚ>ㆎ의 변화와 그 성격이 유사하다. 비어두 음절에서 ㅚ>ㆎ>ㅐ, ㅚ>ㆎ>(ㅢ)>ㅔ, ㅚ>ㅐ로 갈라져 진행된 이 변화는 ㅗ의 저설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3장에서는 ㅚ>ㅢ 변화와 ㅚ>ㅐ 변화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두 변화는 ㅓ의 후설화 및 ㆍ의 변화로 인해 국어 모음 체계가 재편되는 과정에서 /ㅗ/가 체계상 불안해진 결과 발생하였다. /ㅗ/의 조음 영역이 확장되면서 산발적으로 발생한 변화이다. ㅚ>ㆎ>ㅢ 변화는 비어두 음절을 중심으로, 원순모음화와 관계없이 발생하였다. 비원순모음화 또는 이화의 조건을 찾을 수 없는 ㅚ>ㆎ의 변화는 모음 하강으로 정의된다. ㅚ>ㆎ의 변화는 ㆎ>ㅢ의 변화와 ㆎ>ㅐ의 변화로 갈라져 발달하였다. 당시 비어두의 ‘ㆎ’가 [ɯj]와 [ɔj] 두 가지로 실현되었다고 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nge of oj>ɯj and change of oj>aj in a way of demonstrating how the change of falling diphthong /oj/ find its status and implication in the phonemic history of Korean language. In the process of dia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nge of oj>ɯj and change of oj>aj in a way of demonstrating how the change of falling diphthong /oj/ find its status and implication in the phonemic history of Korean language. In the process of diachronic change, unlike /uj/ that sustains the static appearance, /oj/ has changed in dynamic ways.
Under 2.1., the change of oj>ɯj is reviewed. While uj>ɯj displays the strong tendency of unrounding vowel in the 17th century non-initial syllable, the oj>ɯj does not have clear phoneme conditions. Beginning from the end of the 16th century, it is shown in the non-initial syllable through the 17-18th century. oj does not change into ɯj, but is goes through the phase of oj>ɔj>ɯj. Under 2.2., the change of oj>aj is reviewed. oj>aj was generated from the end of the 17th century non-initial syllable that the change and its characteristics of oj>ɔj are similar. In the non-initial syllable, it is split into oj>ɔj>aj, oj>ɔj>(ɯj)>e, oj>aj to process the change, which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lowering of /o/.
In Chapter 3, the relations between the change of oj>ɯj and change of oj>aj is described. These two changes is resulted in unstable system of /o/ in the process of revising the vowel system of Korean language with the backward of /ə/ and change of /ɔ/. With the expansion of the unpitched sound domain of /o/, this change is sporadically generated. The change of oj>ɔj>ɯj if focused around the non-initial syllable to be generated regardless of the rounding vowel. The change of oj>ɔj unable to find the conditions for unrounding vowel or dissimilation is defined as the vowel falling. The change of oj>ɔj is split into the change of ɔj>ɯj and change of ɔj>aj to advance. At the time, it is considered that the ‘ㆎ’ non-initial is realized in two folds of [ɯj] and [ɔj].
일제강점기 전북 지역 한글보급운동의 실태 및 특징 연구 -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구병모 소설의 환상 공간과 새로운 성장 - 『위저드 베이커리』와 『방주로 오세요』를 중심으로
한·중 장소 표현(locative expressions)에서 관찰되는 어휘상(lexical aspect)의 작용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