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에서 인성의 중요성과 인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반면에, 인성이 무엇인지에 대한 인식과 그 용례에 있어서의 차이는 인성교육의 방향 탐색에 관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16251
2020
-
373
KCI등재
학술저널
1021-1038(1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사회에서 인성의 중요성과 인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반면에, 인성이 무엇인지에 대한 인식과 그 용례에 있어서의 차이는 인성교육의 방향 탐색에 관한 ...
우리 사회에서 인성의 중요성과 인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반면에, 인성이 무엇인지에 대한 인식과 그 용례에 있어서의 차이는 인성교육의 방향 탐색에 관한 한 ‘규범적 관점’과 ‘심리적 관점’에 해당하는 이견을 발생시킨다. 특히, 학교교육에서 이러한 이견이 현존하고 있다는 사실은 다문화 사회에서 인성교육의 현주소를 논의의 거점으로 하여 인성의 개념적 성격과 인성교육의 활동적 성격을 어떻게 파악하고 방법적 원리를 모색해야 하는가에 관한 중요한 이론적 탐색을 요청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사회에서의 초등 인성교육 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인성과 인성교육에 관한 규범적 관점과 심리적 관점을 고찰하고, 인성 함양을 위한 ‘방법적 원리’를 교사의 역할과 자세에 초점을 두어 밝히고 있다. 다문화 사회에 살고 있는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초등학교의 인성교육은 무엇보다도 인성 함양의 본질적 특징을 아우를 수 있는 방법적 원리-보편성, 지향성, 형상화, 연계성의 원리-에 대한 수용과 그에 입각하여 인성 활동을 구현하는 일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there is a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character and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in our society,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usage of character generate disagreements in search of the perspectives and the directions for character e...
While there is a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character and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in our society,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usage of character generate disagreements in search of the perspectives and the directions for character education.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is difference exists in school education calls for theoretical explorations of characteristics of character and its methodological principles by taking the current status of character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as a base for discuss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explore an approach to the primary level character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normative perspective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character and its education, and methodological principles for cultivating character by focusing on the role and attitude of teachers, are examined. School education, which is necessary for us now living in multicultural society, is the acceptance of methodological principles that can encompas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cultivating character, such as the principles of universality, orientation, figuration, connectivity, and the activities that can apply the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한구,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방향.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현상과 과제" 5 : 2007
2 이재호, "인성의 의미와 인성교육의 방향에 대한 소고"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375-390, 2014
3 이영문, "인성교육을 위한 우리나라 학교 다문화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0) : 265-286, 2012
4 이정렬, "새로운 도덕과 공통교육과정의 내용체계설정 원리와 내용 요소 탐색" 1-37, 2020
5 이재호, "비고츠키 발달이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0
6 이재호, "도덕수업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인성교육 살리기" 인간사랑 2011
7 윤영돈, "도덕교과에서 다문화 교육의 윤리학적 정초" 한국윤리교육학회 (21) : 1-26, 2010
8 은지용, "다문화적 인성 발달 이론에 기반한 다문화 학습 모형 탐색"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107-139, 2009
9 장인실,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학지사 2012
10 이영문, "다문화교육과 다문화 도덕교육의 개념 분석과 도덕교육에의 시사점"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44) : 99-120, 2014
1 유한구,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방향.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현상과 과제" 5 : 2007
2 이재호, "인성의 의미와 인성교육의 방향에 대한 소고"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375-390, 2014
3 이영문, "인성교육을 위한 우리나라 학교 다문화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0) : 265-286, 2012
4 이정렬, "새로운 도덕과 공통교육과정의 내용체계설정 원리와 내용 요소 탐색" 1-37, 2020
5 이재호, "비고츠키 발달이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0
6 이재호, "도덕수업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인성교육 살리기" 인간사랑 2011
7 윤영돈, "도덕교과에서 다문화 교육의 윤리학적 정초" 한국윤리교육학회 (21) : 1-26, 2010
8 은지용, "다문화적 인성 발달 이론에 기반한 다문화 학습 모형 탐색"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107-139, 2009
9 장인실,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학지사 2012
10 이영문, "다문화교육과 다문화 도덕교육의 개념 분석과 도덕교육에의 시사점"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44) : 99-120, 2014
11 장흔성, "다문화가정 자녀의 인성교육 방안" 517-526, 2013
12 조용환, "다문화 사회의 이해" 동녘 226-261, 2012
13 추병완, "다문화 도덕교육 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8 : 295-330, 2008
14 Whitehead, A. N., "The aims of education and other essays" The free press 1967
15 Hartshorne, H., "Studies in the nature of character. Vol. I~Ⅲ" Macmillan 1930
16 교육부, "7차 도덕과 교육과정"
침묵식 교수법을 활용한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 대상 모음 발음 교정 연구
학업무기력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매개효과와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의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진로미결정 대학생들의 내적 인식 탐색 : 포토보이스 적용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