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무장지대(DMZ) 문화유적 현황과 보전방안 = Status and Preservation of Cultural Relics in the Demilitarized Zon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까지 알려진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 : DMZ) 내의 문화재는 14종 35개소이지만 앞으로 더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그중에서도 지하에 묻혀있는 철원도성(鐵原都城)과 김화 병자호란 전골...

      현재까지 알려진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 : DMZ) 내의 문화재는 14종 35개소이지만 앞으로 더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그중에서도 지하에 묻혀있는 철원도성(鐵原都城)과 김화 병자호란 전골총(戰骨塚)은 남과 북이 공동조사를 실시하여 그 실체를 밝히는 것이 보존방향의 첫걸음일 것이다. 특히 철원도성의 공동조사는 남북이 오랫동안 동일한 역사와 문화전통을 지녀온 같은 민족임을 일깨워줄 뿐만 아니라 비무장지대를 평화의 무대로 전환시키는 상징적 의미를 부여할 것이다. 김화의 전골총도 청(淸)의 침입에 대항하여 싸운 평안도 근왕군(謹王軍)의 전몰자 집단무덤인 만큼 남북의 공동조사를 통하여 그 위치와 규모 등을 확인하여 국가지정문화재로 관리해야 할 것이다.
      또한 비무장지대는 이데올로기의 대립으로 인한 국제적 전쟁인 한국전쟁의 유산이라는 점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의 요건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100여종의 멸종위기종 및 천연기념물 외에도 6,000여종의 온대림을 갖고 있어 세계자연유산의 자격도 갖추고 있으므로 비무장지대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과 세계자연유산의 자격을 동시에 갖추고 있는 세계복합문화유산으로 등재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외에도 비무장지대는 한국전 당시의 수많은 고지, 땅굴, 진지 등이 그대로 남아있을 뿐만 아니라 휴전협정으로 생긴 감시초소(GP), 군사분계선, 남북한 한계선 철조망, 판문점 등이 남아있어 그 일부구간과 전쟁시설을 선별하여 근대 문화재로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끝으로 도라산의 봉수지는 복원하여 남과 북이 평양-개성-도라산-서울을 잇는 전통시대의 통신시설을 필요시 재연하여 남북간의 원활한 소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계기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다가올 종전으로 인한 비무장지대의 난개발에 대비하기 위하여 정부 및 문화재 전문가들은 비무장지대의 문화재 파악과 보전에 힘써야 할 것이며 무분별한 조사나 지뢰제거 등의 문제도 일관성 있게 통제를 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are 35 cultural properties of fourteen kinds in the Demilitarized Zone known so far, but this number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Among them, Cheolwon-Doseong and Jeongol-Chong of Gimhwa should be the first step toward conservation eff...

      There are 35 cultural properties of fourteen kinds in the Demilitarized Zone known so far, but this number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Among them, Cheolwon-Doseong and Jeongol-Chong of Gimhwa should be the first step toward conservation efforts by conducting a joint investigation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In particular, the joint investigation of Cheolwon-Doseong will not only remind the North and South that they are the same people who have had common history and cultural traditions for a long time, but will also give symbolic meaning to convert the demilitarized zone into a stage for peace.
      Since Jeongol-Chong is a mass grave of the fallen soldiers of Pyeongan Province who fought against the invasion of the Qing of China, it should be managed as a national designated cultural asset through joint investigation.
      In addition, the Demilitarized Zone should become a World Heritage Site because of its importance to the legacy of the Korean War, an international war caused by an ideological confrontation. Furthermore, it has more
      than 6,000 kinds of temperate forests in addition to 100 species of endangered species and natural monuments. The DMZ is very qualified to be a World Natural Heritage Site, and should be included as a World Complex Cultural
      Heritage Site that qualifies as a World Heritage and World Natural Heritage Site. In the Demilitarized Zone, we can also find numerous highlands, tunnels and posts used during the Korean War, as well as surveillance posts, a military demarcation line, barbed wire fences, and Panmunjom, which were created by the armistice agreement. it would be desirable to select some of its sections and war facilities and to register them as modern cultural heritage assets. Finally,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Dorasan Signal Fire Site, which was the communication facility of a traditional era which connected the South (Dorasan) and North (Gaesong). This would symbolize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In order to prepare for the reckless development of the Demilitarized Zone due to the upcoming cease-fire, the government and cultural asset experts will have to work hard to identify and preserve the cultural properties of the Demilitarized Zone, and they will also have to maintain consistent control over matters such as indiscriminate investigation and mine cleara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평강·철원 5만분의 1 군사지도"

      2 "청구도"

      3 철원문화원, "철원의 성곽과 봉수" 백산문화 2006

      4 (재)국방문화재연구원, "철원 김화 전골총 정비사업지 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2014

      5 (재)국방문화재연구원, "철원 김화 백전대첩 전적지 종합정비 기본계획" 여명사 2015

      6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

      7 "조선고적도보"

      8 "장단지"

      9 "여지도서"

      10 "신증동국여지승람"

      1 "평강·철원 5만분의 1 군사지도"

      2 "청구도"

      3 철원문화원, "철원의 성곽과 봉수" 백산문화 2006

      4 (재)국방문화재연구원, "철원 김화 전골총 정비사업지 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2014

      5 (재)국방문화재연구원, "철원 김화 백전대첩 전적지 종합정비 기본계획" 여명사 2015

      6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

      7 "조선고적도보"

      8 "장단지"

      9 "여지도서"

      10 "신증동국여지승람"

      11 조도순, "비무장지대의 생태적 가치와 국제자연보호지역"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

      12 "문화유적총람" 1977

      13 "대동지지"

      14 "대동여지도"

      15 "근세 5만분의 1 지형도"

      16 이재, "궁예와 철원 일대의 성곽" 2003

      17 이재, "궁예도성의 구조와 현 실태" 경기대학교 2001

      18 유병하, "궁예도성과 견훤도성" 국립전주박물관 2015

      19 육군지도창, "군사지도(축척 : 1/10)"

      20 "고려사"

      21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강원도 철원군 군사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1996

      22 "鐵原郡誌 上"

      23 육군사관학교, "鐵原 城山城 지표조사 보고서" 경희정보(주) 2000

      24 이재, "‘태봉국의 역사 재조명’ 학술회의 자료집"

      25 (재)국방문화재연구원, "‘철원 김화 백전대첩을 아는가’ 학술회의 자료집"

      26 남북역사학자협의회, "‘철원 DMZ 궁예도성 남북 공동발굴 추진정책’ 세미나 발표 자료집"

      27 철원군, "‘남북 공동의 문화유산 - DMZ 태봉 철원도성’ 학술회의 자료집"

      28 (재)국방문화재연구원, "‘김화 백전대첩 승리의 비밀을 풀다’ 학술회의 자료집"

      29 남북역사학자협의회, "‘DMZ의 평화적 이용과 남북 역사문화 교류’ 학술회의 자료집"

      30 제종길, "DMZ 자연유산 남북 공동협력의 의의와 과제"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

      31 환경부, "DMZ 일원의 생물 다양성 종합보고서" 국립생태원 2016

      32 "2018년철원 일대의 구글 지도"

      33 이기석, "2016년 지리교육과 콜로키움 모노그라프 2" 서울대학교 2016

      34 문화재청, "2008 군부대 문화재 조사보고서" 정일사 2008

      35 "1951년 철원 일대의 항공사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