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aims to uncover how the mobility of propaganda plays is actualized and constructed within the colonial reality by focusing on the performance and production of “travelling theatre corps” and “paper theatre,” which were the represent...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uncover how the mobility of propaganda plays is actualized and constructed within the colonial reality by focusing on the performance and production of “travelling theatre corps” and “paper theatre,” which were the represent...
This paper aims to uncover how the mobility of propaganda plays is actualized and constructed within the colonial reality by focusing on the performance and production of “travelling theatre corps” and “paper theatre,” which were the representative “travelling” theatres during the lat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se two types of propaganda plays were both predicated on “travel” or “mobility,” but staged with different size, theatrical devices and performance strategies. They were the “travelling” stages for the empire which went on until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Travelling theatre was planned according to the imperial policy handed down from the center, but the actual performance was given at farming, mountain, and fishing communities in remote regions. This temporal and spatial gap made it almost impossible to capture the reality of its performance. Based on a new source of primary material, this paper will first reconstruct the reality in which the travelling theatre was staged. Also, by tracing the process in which paper theatre was employed as a propaganda media by the authorities of Japanese empire from the script selection, set design and actual performance, this paper will add to the conversation on paper theatre, which may not have been a frequent research topic so far. In doing so, it could be confirmed that both the travelling theatre and paper theatre were particular genre of performance that contributed to delivering the ideological signification of the empire in the late colonial period.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선,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음악정책 2 - 국민개창운동을 중심으로 -" 일본연구소 (45) : 7-26, 2010
2 공임순, "전시체제기 징병취지 ‘야담만담부대’의 활동상과 프로파간다화의 역학 -‘황군’ 연성과 ‘황민’ 연성 사이, ‘말하는 교화미디어’로서의 야담ㆍ만담가들-" 한국근대문학회 (26) : 417-453, 2012
3 이대화, "전시체제기 식민지 조선의 선전매체, 종이연극(紙芝居)" 한국사회사학회 (108) : 119-154, 2015
4 홍선영, "전시기 이동연극과 ‘국민문화’운동 ―일본이동연극연맹(1941.6~1945.8)을 중심으로―"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389-409, 2010
5 이화진, "전시기 오락 담론과 이동연극" 상허학회 23 : 83-114, 2008
6 공임순, "재미있고 유익하게, ‘건전한’ 취미독물 야담의 프로파간다화" 민족문학사학회 (34) : 336-364, 2007
7 이덕기, "일제하 전시체제기 이동연극 연구 - 이동연극 제1대와 극단 현대극장을 중심으로" 한국극예술학회 (30) : 185-218, 2009
8 이화진, "일제 말기 이동극단 활동의 전개 양상과 그 한계" 한국학연구소 (30) : 163-193, 2013
9 최성희, "일제 강점기 아일랜드 번역극의 탈식민성: 『월출』과 『옥문』을 중심으로"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46) : 365-398, 2018
10 김호연, "일제 강점 후기 연극 제도의 변화 양상과 그 의미 - 이동극단, 위문대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30) : 37-60, 2011
1 이지선,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음악정책 2 - 국민개창운동을 중심으로 -" 일본연구소 (45) : 7-26, 2010
2 공임순, "전시체제기 징병취지 ‘야담만담부대’의 활동상과 프로파간다화의 역학 -‘황군’ 연성과 ‘황민’ 연성 사이, ‘말하는 교화미디어’로서의 야담ㆍ만담가들-" 한국근대문학회 (26) : 417-453, 2012
3 이대화, "전시체제기 식민지 조선의 선전매체, 종이연극(紙芝居)" 한국사회사학회 (108) : 119-154, 2015
4 홍선영, "전시기 이동연극과 ‘국민문화’운동 ―일본이동연극연맹(1941.6~1945.8)을 중심으로―"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389-409, 2010
5 이화진, "전시기 오락 담론과 이동연극" 상허학회 23 : 83-114, 2008
6 공임순, "재미있고 유익하게, ‘건전한’ 취미독물 야담의 프로파간다화" 민족문학사학회 (34) : 336-364, 2007
7 이덕기, "일제하 전시체제기 이동연극 연구 - 이동연극 제1대와 극단 현대극장을 중심으로" 한국극예술학회 (30) : 185-218, 2009
8 이화진, "일제 말기 이동극단 활동의 전개 양상과 그 한계" 한국학연구소 (30) : 163-193, 2013
9 최성희, "일제 강점기 아일랜드 번역극의 탈식민성: 『월출』과 『옥문』을 중심으로"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46) : 365-398, 2018
10 김호연, "일제 강점 후기 연극 제도의 변화 양상과 그 의미 - 이동극단, 위문대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30) : 37-60, 2011
11 권희주, "식민지조선의 ‘가미시바이’ - 시각미디어를 이용한 정보선전을 중심으로 -" 한국일본학회 (105) : 373-394, 2015
12 김재석, "국민연극 시기 [조선연극문화협회]연구" 한국문학언어학회 (40) : 107-132, 2004
13 권희주, "교육 가미시바이(紙芝居)와 아동의 사상교육 - 일본소국민문화협회를 중심으로 -" 외국학연구소 (33) : 271-284, 2015
14 문경연, "『文化朝鮮』(1939~1944)의 미디어 전략과 제국의 디스플레이- 조선의 연극·영화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46) : 313-346, 2014
15 Kisaku Ito, "Ten Fundamental Principles of Travelling Theatre" Kenbunsha 1943
16 "Samcholli"
17 Akio, Saki, "Paper Theatre" Art Academy P 1943
18 Kiyomi, Otake, "Modern Korea-Japan Children’s Culture and Literature, 1895-1945" Chongun 2005
19 Che-an Mun, "Memory of August 15" Hangil P 2005
20 "Maeil sinbo"
21 "Kyongsong ilbo"
22 Kon-ho Song, "Korean History Before and After Liberation" Hangil P 2002
23 "Korean Administration"
24 문경연, "Korea/Culture as the Chosen Photographic Object: Focusing on Culture Joseon" 한국학중앙연구원 55 (55): 60-87, 2015
25 Paek-chon Lee, "Hearing from the Veteran Artist: Hwang Mun-pyong, the livingwitness to Korean Popular Music History, ARKO art and culture" Art Council Korea 2000
26 "Education of Choson"
27 "Culture Choson"
28 "Choson"
29 Sadakichi, Osawa, "A Guide to Paper Theatre: Imperial Subject’s Public Service Series 10" 皇民奉公會中央本部 1942
성, 주권권력, 호모 사케르: 섄리의 <다우트>와 매카시의 <스포트라이트>의 비교
John Clare and Embodied Aesthetic Engagement With Wild Plants
The Power of Image in the American Abolitionism: Getting a Black Reality through the White Prejudice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6 | 0.56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45 | 1.007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