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음주와 사망 및 암발생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ssociation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mortality and cancer incidences : Kangwah cohort stu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1334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5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1985년에 조사된 강화코호트의 대상자를 추적관찰하여 음주와 사망 및 암발생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남자의 음주율은 65.1%, 여자의 음주율은 10.1%였다. 남자에서 매일 소주 1 병이상(72g/day)을 마시는 고음주군의 분율은 비음주군을 포함한 남자전체의 11.5%였다.
      남자에서 비음주군을 기준으로 음주군의 사망위험을 살펴보면 사망의 모든원인으로 사망할 위험은 유의하게 높았고(RR=1.12) 고음주군에서도 유의하게 사망위험이 높았다(RR=1.35). 고음주군으로 갈수록 식도암 사망위험이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고음주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low drinking group RR=1.44, moderate drinking group RR=2.76, heavy drinking group, RR=5.77). 췌장암 사망위험은 유의하게 높았으며(RR=8.54) 소화기계암 사망위험도 유의하게 높았으며(RR=1.45) 음주군의 폐암사망위험은 유의하게 낮았다(RR=0.47). 고음주군에서 순환기계질환 사망위험이 높아졌으며(RR=1.52) 특히 뇌혈관질환 사망위험이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RR=1.66).
      남자에서 비음주군을 기준으로 음주군의 암발생위험을 살펴보면 전체암발생 위험은 차이가 없었으며(RR=1.00) 식도암에서 고음주군으로 갈수록 발생위험이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경계유의성을 보였으며(RR=3.76) 췌장암 발생위험은 높았으며 경계유의성을 보였다(RR=7.42). 음주군의 소화기계암 발생위험은 높았고 경계유의성을 보였으며(RR=1.29) 고음주군에서 발생위험이 높았으며 경계유의성을 보였다(RR=1.50). 음주군에서 폐암 발생위험은 유의하게 낮았다(RR=0.56).
      여자에서는 음주와 사망 및 암발생과 관련성이 없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5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1985년에 조사된 강화코호트의 대상자를 추적관찰하여 음주와 사망 및 암발생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남자의 음주율은 65.1%, 여자의 음...

      이 연구에서는 5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1985년에 조사된 강화코호트의 대상자를 추적관찰하여 음주와 사망 및 암발생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남자의 음주율은 65.1%, 여자의 음주율은 10.1%였다. 남자에서 매일 소주 1 병이상(72g/day)을 마시는 고음주군의 분율은 비음주군을 포함한 남자전체의 11.5%였다.
      남자에서 비음주군을 기준으로 음주군의 사망위험을 살펴보면 사망의 모든원인으로 사망할 위험은 유의하게 높았고(RR=1.12) 고음주군에서도 유의하게 사망위험이 높았다(RR=1.35). 고음주군으로 갈수록 식도암 사망위험이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고음주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low drinking group RR=1.44, moderate drinking group RR=2.76, heavy drinking group, RR=5.77). 췌장암 사망위험은 유의하게 높았으며(RR=8.54) 소화기계암 사망위험도 유의하게 높았으며(RR=1.45) 음주군의 폐암사망위험은 유의하게 낮았다(RR=0.47). 고음주군에서 순환기계질환 사망위험이 높아졌으며(RR=1.52) 특히 뇌혈관질환 사망위험이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RR=1.66).
      남자에서 비음주군을 기준으로 음주군의 암발생위험을 살펴보면 전체암발생 위험은 차이가 없었으며(RR=1.00) 식도암에서 고음주군으로 갈수록 발생위험이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경계유의성을 보였으며(RR=3.76) 췌장암 발생위험은 높았으며 경계유의성을 보였다(RR=7.42). 음주군의 소화기계암 발생위험은 높았고 경계유의성을 보였으며(RR=1.29) 고음주군에서 발생위험이 높았으며 경계유의성을 보였다(RR=1.50). 음주군에서 폐암 발생위험은 유의하게 낮았다(RR=0.56).
      여자에서는 음주와 사망 및 암발생과 관련성이 없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alcohol comsumption and mortality and cancer incidence in the Kangwha cohort. From March 1985 through December 1999, 2,696 males and 3,595 females aged 55 or over as of 1985 were followed up for their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We calculate the mortality risk ratios and the cancer incidence risk ratios by level of alcohol consumption.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used to adjust age at entry, smoking, medical security status, hypertension and body mass index.
      Among males, compared to abstainer, drinker had higher mortality in all cause (risk ratio:RR=1.12), pancreas cancer (RR=8.54), digestive organ cancer (RR=1.45) and lower mortality in lung cancer (RR=0.47). Heavy drinker had higher mortality in all cause (RR=1.35), esophageal cancer (RR=5.77), circulatory system (RR=1.52) and cerebrovascular disease (RR=1.66).
      Heavy drinker had higher cancer incidence in esophagus (RR=3.76), pancreas (RR=7.42), digestive organ (RR=1.50) and lower cancer incidence in lung (RR=0.56).
      Among fema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lcohol comsumption and mortality or cancer incid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lcohol drinking has harmful effect on esophageal cancer and digestive organ cancer incidences and protective effect on lung cancer incidence among males. This finding needs to be confirmed in further studies.
      번역하기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alcohol comsumption and mortality and cancer incidence in the Kangwha cohort. From March 1985 through December 1999, 2,696 males and 3,595 females aged 55 or over as of 1985 were followed up for their...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alcohol comsumption and mortality and cancer incidence in the Kangwha cohort. From March 1985 through December 1999, 2,696 males and 3,595 females aged 55 or over as of 1985 were followed up for their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We calculate the mortality risk ratios and the cancer incidence risk ratios by level of alcohol consumption.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used to adjust age at entry, smoking, medical security status, hypertension and body mass index.
      Among males, compared to abstainer, drinker had higher mortality in all cause (risk ratio:RR=1.12), pancreas cancer (RR=8.54), digestive organ cancer (RR=1.45) and lower mortality in lung cancer (RR=0.47). Heavy drinker had higher mortality in all cause (RR=1.35), esophageal cancer (RR=5.77), circulatory system (RR=1.52) and cerebrovascular disease (RR=1.66).
      Heavy drinker had higher cancer incidence in esophagus (RR=3.76), pancreas (RR=7.42), digestive organ (RR=1.50) and lower cancer incidence in lung (RR=0.56).
      Among fema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lcohol comsumption and mortality or cancer incid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lcohol drinking has harmful effect on esophageal cancer and digestive organ cancer incidences and protective effect on lung cancer incidence among males. This finding needs to be confirmed in further stud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표차례 = ⅱ
      • 부록차례 = ⅲ
      • 국문요약 = ⅳ
      • I. 서론 = 1
      • 목차
      • 표차례 = ⅱ
      • 부록차례 = ⅲ
      • 국문요약 = ⅳ
      • I. 서론 = 1
      • 1. 연구배경 = 1
      • 2. 연구목적 = 4
      • II. 연구방법 = 5
      • 1. 연구지역 및 대상 = 5
      • 2. 자료수집 = 6
      • 3. 자료처리 및 분석 = 13
      • III. 연구결과 = 16
      •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 16
      • 2. 음주유무에 따른 사망과의 관계 = 19
      • 가. 사망률 = 19
      • 나. 표준화사망비 = 23
      • 다. 사망의 생존분석 = 29
      • 라. 음주유무에 따른 사망의 위험비 = 32
      • 마. 음주빈도에 따른 사망의 위험비 = 37
      • 3. 음주유무에 따른 암발생과의 관계 = 45
      • 가. 암발생률 = 45
      • 나. 암의 표준화발생비 = 48
      • 다. 사망의 생존분석 = 52
      • 라. 음주유무에 따른 암발생의 위험비 = 54
      • 마. 음주빈도에 따른 암발생의 위험비 = 58
      • III. 고찰 = 64
      • 1. 연구방법에 대한 고찰 = 64
      • 2.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 69
      • IV. 결론 및 요약 = 83
      • V. 참고문헌 = 85
      • Appendix = 93
      • Abstract = 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