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羅州 伏岩里 出土 百濟木簡의 判讀과 用途 分析 -7세기 초 백제의 지방지배와 관련하여- = The local ruling system of Yeongsan River basin in 7th. century ; an Analysis on the Wooden Tablets of Bogam-ri, Najoo-s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862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ooden tablets of Bogam-ri site are relics of Baekje made out about 610A.D. Being produced in local society, let many scholars research this wooden tablets. It's time to review the results of my research. Tablet no.2 has a few vague letters, but i...

      The wooden tablets of Bogam-ri site are relics of Baekje made out about 610A.D. Being produced in local society, let many scholars research this wooden tablets. It's time to review the results of my research.
      Tablet no.2 has a few vague letters, but it is clear that it has the letter ‘丁’,‘中’, ‘小’ and ‘兄’, ‘婦’, ‘妹’. That must be a important material which can give clue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of Household Register in Baekje society. Because the name of relatives and the age rank were written on that. Tablet no.5 has contents that the people, the cow, and the land to cultivate of a household. Baekje Household Register was composed of that many factors.
      Tablet no.3, no.4, no.10, and no.12 are important. The administration-system and the way of labor mobilization can be studied through those. The people of ‘半那’ and ‘軍那’ under the control of ‘豆肹城’ were mobilized and worked.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examine those tablet. To understand its contents and usage, it is necessary to clear how it was used in document administration in local socie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복암리 목간은 백제의 중앙 도성이 아닌 지방사회에서 발굴된 최초의 사례이며, 목간의 묵서에도 종래의 문헌자료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백제의 戶파악방식, 농업경영(量田 및 단위생산량), ...

      복암리 목간은 백제의 중앙 도성이 아닌 지방사회에서 발굴된 최초의 사례이며, 목간의 묵서에도 종래의 문헌자료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백제의 戶파악방식, 농업경영(量田 및 단위생산량), 그리고 ‘郡-城’의 행정체계에 관한 매우 획기적인내용들이 기록되어 있어, 그 의의가 자못 크다. 복암리 목간에 대한 본고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암리 <목간11>에 기록된 ‘庚午年’은 610년으로 추정되며, 내용상 호구파악이나 군-성의 행정 관련 문서목간들이 대부분이어서, 복암리 목간은 7세기 초에 백제 지방관부가 작성한 목간으로 이해된다.
      둘째, 복암리 목간을 통해 백제의 ‘戶籍’과 기층사회의 존재양태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었다. <목간2>와 <목간5>를 통해 백제 戶籍의 서식도 어느 정도 복원이 가능하게 되었다. 백제의 戶는 복합세대로 구성되었고, 세대별로 독립기술되었다. 그 각각에 中口, 小口 등 그 예하 子女가 남녀 구별 없이 나이순으로 기술되었다고 추정된다. 이는 현존하는 西魏의 大統 13년(A.D.547) 戶籍이나 日本의 西海道戶籍(A.D.702)과 서식이 매우 유사하다. 결국 西魏 계열의 서해도호적기재양식은 7세기말 망명한 백제계 지식인들에 의해 고대일본에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된다.
      셋째, 복암리 목간을 통해 백제의 郡-城 지방행정체계를 검토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었다. <목간4>의 ‘郡佐’나 <목간10>의 ‘郡得分’처럼, 복암리 목간에는 백제의 ‘군-성’ 행정과 관련된 목간이 여러 개 확인된다. 또 ‘軍那’가 기록된 荷札과‘半那人’들의 역역편성 관련 문서목간 등이 확인되고 있어, 목간이 출토된 복암리 지역, 즉 豆肹城이 7세기 초 당시 군나, 반나 등을 예하에 거느린 郡置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복암리 목간을 전후한 시기 영산강 유역 지역권력의 변화과정을 추론하면 다음과 같다.
      영산강 유역은 반남고분군으로 상징되듯이 전통적으로 ‘半那’가 지역권력의 정점에 있었다. 백제는 6세기 이후 영산강유역으로 세력을 뻗치면서, 반나의 기존 세력을 약화시킬 목적으로 현재 다시면 복암리 일대인 ‘豆肹’ 지역의 세력을 후원하였다. 복암리고분군은 이를 상징한다. 이후 백제의 중앙집권제 하에서 豆肹城은 郡으로써 영산강 유역의 半那, 軍那, 布賢(發羅) 등의 각 城을 관할하였다. 이러한 郡-城의 행정관계는 唐이 帶方州를 설치하였던 도독부 시절에도 지속되었다.
      한편 신라는 백제를 멸망시키고 영산강 유역의 기존 권력구조를 약화시키기 위해, 백제 때 눌려 지냈던 반나 지역을 군으로 승격하고, 두힐은 현으로 강등하여 발라군의 예하로 편성하였다. 이때 두힐이 기존에 관할하던 군나도 분리하여 무안군으로 소속시켰다. 이를 통해 백제 때 두힐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영산강 유역의 지역권력구조는 신라에 의해 완벽히해체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竹內理三, "寧樂遺文(上)" 東京堂 1943

      2 김성범, "羅州 伏岩里 遺蹟 出土 木簡의 判讀과 意味" 진단학회 109 (109): 29-83, 2010

      3 홍승우, "한국 고대 율령의 성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 권오영, "영산강유역의 옹관고분과 전방후원분, In 백제 역사와 문화" 충남역사문화연구원 2008

      5 노중국, "백제정치사연구" 일조각 2010

      6 윤선태, "목간이 들려주는 백제 이야기" 주류성 2007

      7 김혜정, "나주 복암리유적 목간의 출토 맥락과 유적의 해석, In 6~7세기 영산강유역과 백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0

      8 윤선태, "나주 복암리 출토 백제목간의 용도, In 6~7세기 영산강유역과 백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0

      9 金昌錫, "나주 복암리 목간의 작성시기와 帶方州의 성격, In 6~7세기 영산강유역과 백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0

      10 천관우, "고조선사ㆍ삼한사연구" 일조각 1989

      1 竹內理三, "寧樂遺文(上)" 東京堂 1943

      2 김성범, "羅州 伏岩里 遺蹟 出土 木簡의 判讀과 意味" 진단학회 109 (109): 29-83, 2010

      3 홍승우, "한국 고대 율령의 성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 권오영, "영산강유역의 옹관고분과 전방후원분, In 백제 역사와 문화" 충남역사문화연구원 2008

      5 노중국, "백제정치사연구" 일조각 2010

      6 윤선태, "목간이 들려주는 백제 이야기" 주류성 2007

      7 김혜정, "나주 복암리유적 목간의 출토 맥락과 유적의 해석, In 6~7세기 영산강유역과 백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0

      8 윤선태, "나주 복암리 출토 백제목간의 용도, In 6~7세기 영산강유역과 백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0

      9 金昌錫, "나주 복암리 목간의 작성시기와 帶方州의 성격, In 6~7세기 영산강유역과 백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0

      10 천관우, "고조선사ㆍ삼한사연구" 일조각 1989

      11 이우태, "고대 度量衡制의 발달"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6 : 2002

      12 "高麗史"

      13 李成市, "韓國古代社會におけ弟羅州伏岩里木簡の位置, In 6~7세기 영산강유역과 백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0

      14 平川南, "郡符木簡, In 古代地方木簡の硏究" 吉川弘文館 2003

      15 "舊唐書"

      16 金昌錫, "羅州 伏岩里 출토 木簡 연구의 쟁점과 과제"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45 : 2011

      17 金聖範, "羅州 伏岩里 유적 출토 백제목간과 기타 문자 관련 유물" 한국목간학회 3 : 2009

      18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羅州 伏岩里 遺蹟Ⅰ-1~3차 발굴조사보고서" 2010

      19 金聖範, "羅州 伏岩里 木簡의 判讀과 釋讀" 한국목간학회 5 : 2010

      20 渡辺晃宏, "日本古代の都城木簡と羅州木簡, In 6~7세기 영산강유역과 백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0

      21 平川南, "日本古代の地方木簡と羅州木簡, In 6~7세기 영산강유역과 백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0

      22 水口幹記, "戶主の地位の繼承, In 美濃國戶籍の總合的硏究" 東京堂出版 2003

      23 "大唐平百濟國碑"

      24 池田溫, "中國古代籍帳硏究-槪觀ㆍ錄文" 東京大學出版會 1979

      25 "三國史記"

      26 金昌錫, "7세기 초 영산강 유역의 戶口와 農作-나주 복암리 목간의 분석" 백제학회 6 :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7 1.84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