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윤석, "텔레비전 토크쇼 프로그램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시청효과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2 황하성, "텔레비전 시청만족도 형성에 관한 재고찰시청동기, 의사인간관계(para?social interaction),실재감(presence)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1 (21): 342-382, 2007
3 김정기, "텔레비전 등장인물과 청소년 시청자의 의사(擬似)인간관계" 한국방송학회 19 (19): 255-285, 2005
4 이사, "중국인의 한국드라마 시청동기와 시청만족도가 한국 호감도 및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32 (32): 209-226, 2017
5 박응기, "좋아하는 텔레비전 등장인물들의 특성에 대한 시청자들의 반응: 의사사회와 동일화 현상을 통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47 (47): 166-190, 2003
6 조명희, "요리관련 TV프로그램이 메뉴선택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6
7 이은영, "요리관련 TV프로그램 인식이 조리사직업에 대한 인식 및 미래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21 (21): 75-95, 2018
8 맹흔우, "요리 방송 프로그램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9 김미경, "외식업체 PPL에 대한 광고태도가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체인레스토랑 고객을 대상으로" 한국외식경영학회 17 (17): 353-374, 2014
10 박상민, "외식기업의 공유가치창출 활동이 기업이미지, 기업신뢰도,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21 (21): 53-75, 2018
11 배준호, "외식기업의 간접광고(PPL)가 관여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2 (12): 5-16, 2013
12 김정기, "어린이 시청자의 도구적 시청과 관습적 시청경험연구" 한국방송학회 16 (16): 168-206, 2002
13 박성연, "매장 내 체험적 경험이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23 (23): 69-93, 2005
14 박형신, "맛집 열풍의 감정동학과 사회동학" 한국이론사회학회 (18) : 283-314, 2011
15 조준상,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연구 : 의사사회 상호작용 요인, 플로우 그리고 시청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556-590, 2013
16 양승훈, "관광지 스타마케팅 도입에 관한 연구 : 스타의 관광지 지지모형구측을 중심으로" 19 (19): 49-69, 2007
17 김선희, "고급 초콜릿 구매의도에 관한 소비자 행동: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외식경영학회 21 (21): 97-120, 2018
18 류웅재, "‘쿡방’의 정치경제학: 주체의 자기의 관점에서" 160-173, 2015
19 나은경, "‘먹는 방송’과 ‘요리하는 방송’ 음식 미디어에 대한 커뮤니케이션학적 탐색: 텔레비전 먹방/쿡방 유행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뉴미디어 이용 요인" 사회과학연구소 28 (28): 183-215, 2015
20 머니투데이, "YG PLUS, 외식사업 성장 날개 "이달 일본 진출“"
21 Levy, M. R., "Watching TV news as para-social interaction" 23 : 69-80, 1979
22 Adema, P., "Vicarious Consumption: Food, Television and Ambiguity of Modernity" 113-124, 2000
23 Kozinets, R. V., "Utopia enterprise : Articulating the meanings of Star Trek’s culture of consumption" 28 : 67-88, 2001
24 Manero, C. B., "Understanding the consumption of television programming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satisfaction and audience behavior" 5 (5): 142-156, 2013
25 Manero, C. B., "Understanding the consumption of television programming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satisfaction and audience behavior" 5 (5): 142-156, 2013
26 Ajzen, I.,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Prentice-Hall 1980
27 Lane, S. R., "The influence of celebrity chefs on a student population" 117 (117): 614-628, 2015
28 Russell, C. A., "The consumption of television programming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nnectedness scale" 31 (31): 150-161, 2004
29 Ketchum, C., "The Essence of Cooking Show : How the food network constructs consumer fantasies" 29 (29): 217-234, 2005
30 Jenkins, H. Ⅲ, "Television: The critical view"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31 Grant, A. E., "Television shopping : A media system dependency perspective" 18 (18): 773-798, 1991
32 Parashar. S., "Television connectedness : A comparative study of television programs" 4 (4): 1737-1746, 2015
33 이상봉, "TV홈쇼핑 채널의 이용과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34 박신자, "TV음식프로그램의 포맷구성과 콘텐츠의 의미생성: KBS-TV <한국인의 밥상>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 36 : 69-104, 2013
35 김기영, "TV음식프로그램 시청동기가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31 (31): 107-122, 2017
36 권상희, "TV 프로그램 장르별 의사사회상호작용 차원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23 (23): 51-101, 2009
37 이경미, "TV 패션모델 오디션 프로그램 수용자의 시청동기가 시청태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온스타일의 <도전! 수퍼모델 코리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대학원 2015
38 홍유진, "TV 음식 프로그램 시청동기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5
39 정태섭, "TV 요리 프로그램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9 (19): 379-386, 2019
40 이보라, "TV 요리 프로그램 정보가 지각된 유용성과 요리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21 (21): 169-192, 2018
41 홍자경, "TV 요리 프로그램 시청동기와 의사사회 상호작용 인식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42 안세경, "TV 시청 동기가 식문화 프로그램 시청 선호도 및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식문화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9 (29): 259-269, 2014
43 Chen, S, Y., "TV drama, fashion, and consumers" 4 (4): 481-494, 2011
44 De Solier, I., "TV dinners : Culnary television, education and distinction" 19 (19): 465-481, 2005
45 Wann, D. L., "Sport Fans: The Psychology and Social Impact of Spectators" Routledge 2001
46 Reysen, S., "Secular Versus Religious Fans : are they Different? : An Empirical Examination" 12 (12): 2006
47 Lim, C. M., "Older consumers’ TV home shopping : Loneliness, Parasocial Interaction, and perceived convenience" 28 (28): 763-780, 2011
48 Horton, D., "Mass Communcation and Para-social Interaction : Observations on intimacy at a distance" 19 (19): 215-229, 1956
49 Rubin, A. M., "Loneliness, Parasocial Interaction, and local television new viewing" 12 (12): 155-180, 1985
50 Hollows, J., "Gender and consumpyion: Domestic cultures and the commercialisation of everyday life" 33-48, 2007
51 Gantz, W., "Fanship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and newer media" India University 2014
52 Alvermann, D. E., "Fandom and critical media literacy" 43 (43): 436-446, 2000
53 조미희, "Effects of Korean TV Cooking Show Connectedness on the Viewers’ Food Consumption Behavior -Connectedness with TV Cooking Shows-" 한국외식경영학회 20 (20): 315-335, 2017
54 Sood, S., "Dimensins of parasocial interaction by letter-writers to a popular entertainment-education soap opera in India" 44 (44): 386-414, 2000
55 Rubin, R. B., "Development of Parasocial Interaction Relationship" 31 (31): 279-292, 1987
56 The Korea Times, "Cooking, eating, chef: keywords that dominated 2015"
57 Rubin, A. M., "Audience activity and soap opera involvement a uses and effects investigation" 14 (14): 246-268, 1987
58 Levy, M. R., "Audience activity and gratification : A conceptual clarification and exploration" 11 : 51-78, 1984
59 Perse, E. M., "Attribution in social and para-social relationships" 16 (16): 59-77, 1989
60 Ajzen, I., "Attitudes, personality, and behavior" Dorsey Press 1988
61 Fishbein, M.,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1975
62 Malene, D. M., "Accessorizing with Food: Cooking Show and Cultural Values" School of Comunication American University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