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아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부모의 언어표현과 대처 방식 = Verbal Expressions of the Parents Causing Stress to the Kindergarten and Nursing Room Teachers and Reacting Ways Thereof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2067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ess of kindergarten and nursing room teachers from the verbal expressions of the parents, and the reacting ways for such stress. In addition, it was to examine and explore the reacting methods for more desirable measures in interactions between stressed out teachers and parents, and to adopt appropriate methods to the actual education sit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tal 21 teachers in 8 kindergarten and nursing rooms as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site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that was to directly participate in the actual education site, to collect and analyze the materials through interviews, and to interpret the meanings. A non-structural interview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that was to set issues and problems of which only the interviewer wished to hear from the interviewee, and to conduct interviews without predetermined concrete questions, procedures or interview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the 2nd of October and 18th of October, on 21 teachers of the kindergarten and nursing rooms, by the non-structural interview, on the parents verbal expressions causing stress to the teachers and the teachers reacting ways thereupon.
      The interview dates and time were determined for teachers convenience, and twenty minutes to one hour was spent per teacher. For the material analysis, a researcher made transcription from the recorded tapes, materials made during the interviews were integrated with the transcriptions, preliminary criteria was determined, the material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criteria, and appropriateness of the classified materials was inspected repeatedly. The recording method of the interview with the teachers was to write down word by word in principle.
      The results of the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to explore the verbal expressions of parents causing stress were classified into four issues as follows: first, safety issue occurring in the institutions and responsibilities thereof, second, interference issue by the parents against the curriculum of the institutions, third, differences in opinion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n the behaviors of the children within the institutions, and fourth, impolite verbal and behavioral conducts of the parents against the teachers.
      The reacting ways of the teachers against the stress were classified into the parent-centered reacting way and the teacher-centered reacting way.
      The parent-centered reacting way included, first, explanation of situations, second, taking measures to solve problems, third, studying the insufficient points and area, fourth, admission of the mistakes and apology, and fifth, accepting the demands of the parents.
      The teacher-centered reacting way included, first, abandon the conversations, second, endurance, third, attitude changes against the parents or children, fourth, seek consultations with the colleagues and predecessor teachers, and fifth, contemplation on ones teaching ability and take up on another occup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kindergarten and nursing room teachers had enormous stress from the verbal expressions of the parents, and had reacting ways of their own.
      This study was significant, for it inspected the stress caused by the verbal expressions of the parents on the kindergarten and nursing room teachers and it provided the frame for future research on various influences of the parents against the teachers, in a more specialized way.
      Furthermore, the reacting ways against the stress were directly heard from the teachers themselves, hence enabling the basic material presentation for the desirable measures against the stress from the par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ess of kindergarten and nursing room teachers from the verbal expressions of the parents, and the reacting ways for such stress. In addition, it was to examine and explore the reacting methods for more 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ess of kindergarten and nursing room teachers from the verbal expressions of the parents, and the reacting ways for such stress. In addition, it was to examine and explore the reacting methods for more desirable measures in interactions between stressed out teachers and parents, and to adopt appropriate methods to the actual education sit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tal 21 teachers in 8 kindergarten and nursing rooms as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site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that was to directly participate in the actual education site, to collect and analyze the materials through interviews, and to interpret the meanings. A non-structural interview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that was to set issues and problems of which only the interviewer wished to hear from the interviewee, and to conduct interviews without predetermined concrete questions, procedures or interview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the 2nd of October and 18th of October, on 21 teachers of the kindergarten and nursing rooms, by the non-structural interview, on the parents verbal expressions causing stress to the teachers and the teachers reacting ways thereupon.
      The interview dates and time were determined for teachers convenience, and twenty minutes to one hour was spent per teacher. For the material analysis, a researcher made transcription from the recorded tapes, materials made during the interviews were integrated with the transcriptions, preliminary criteria was determined, the material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criteria, and appropriateness of the classified materials was inspected repeatedly. The recording method of the interview with the teachers was to write down word by word in principle.
      The results of the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to explore the verbal expressions of parents causing stress were classified into four issues as follows: first, safety issue occurring in the institutions and responsibilities thereof, second, interference issue by the parents against the curriculum of the institutions, third, differences in opinion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n the behaviors of the children within the institutions, and fourth, impolite verbal and behavioral conducts of the parents against the teachers.
      The reacting ways of the teachers against the stress were classified into the parent-centered reacting way and the teacher-centered reacting way.
      The parent-centered reacting way included, first, explanation of situations, second, taking measures to solve problems, third, studying the insufficient points and area, fourth, admission of the mistakes and apology, and fifth, accepting the demands of the parents.
      The teacher-centered reacting way included, first, abandon the conversations, second, endurance, third, attitude changes against the parents or children, fourth, seek consultations with the colleagues and predecessor teachers, and fifth, contemplation on ones teaching ability and take up on another occup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kindergarten and nursing room teachers had enormous stress from the verbal expressions of the parents, and had reacting ways of their own.
      This study was significant, for it inspected the stress caused by the verbal expressions of the parents on the kindergarten and nursing room teachers and it provided the frame for future research on various influences of the parents against the teachers, in a more specialized way.
      Furthermore, the reacting ways against the stress were directly heard from the teachers themselves, hence enabling the basic material presentation for the desirable measures against the stress from the par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부모의 언어표현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는 무엇이며, 이러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대처방식을 알아봄으로써 스트레스를 받은 교사가 부모와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 대처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 현장에 적용하도록 하는 것에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부모의 언어표현은 무엇인가?
      2. 유아교사는 스트레스를 주는 부모의 언어표현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있는 유아교육 기관인 유치원과 어린이집 8곳, 총 21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구자가 직접 현장에 들어가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그 의미를 해석하는 현장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면접방법은 면접자가 피 면접자로부터 듣고 싶은 화제나 문제점만을 정해놓고, 구체적인 질문내용이나 절차 또는 면담의 방법 등은 정하지 않고 면접하는 비구조적인 면접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10월 2일부터 18일까지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21명을 대상으로 비구조적 면접방법으로 진행되었고, 이를 통해 유아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부모의 언어표현에는 무엇이 있으며, 그 대처 방식은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면담일정과 면담시간은 교사의 편의를 고려하여 결정하였고, 1인당 20분에서 1시간가량 소요되었다. 면담은 각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빈 교실이나 사무실에서 진행되었으며, 면담 내용은 사전 허락을 얻어 처음부터 끝까지 녹음 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녹음된 자료를 통해 연구자가 녹음테이프를 전사하여 전사본을 만들었으며, 면접 시 작성된 자료를 전사본과 함께 통합하였다. 연구자는 통합된 자료의 수차례 정독을 통해 예비범주를 만든 뒤 범주에 따라 자료를 분류하였고, 분류된 자료의 적합성을 반복하여 검토하면서 자료를 분석하였다. 교사와의 면담을 기록하는 방법은 되도록 말 그대로를 옮기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본 연구자가 유아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부모의 언어표현은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와의 개별면담을 실시한 결과 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부모의 언어는 4가지로 분류되었다. 이 4가지를 살펴보면, 1) 기관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와 책임소재의 문제, 2) 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부모의 간섭문제, 3) 기관 내 유아행동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의견차이 문제, 4) 교사에 대한 부모의 예의 없는 언행문제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스트레스의 종류에 대한 교사의 대처 방식은 부모 중심적 대처 방식과 교사 중심적 대처 방식으로 나누었다.
      부모 중심적 대처 방식으로는 ① 상황 설명, ② 문제해결을 위해 대책 마련, ③ 부족한 부분에 대한 공부, ④ 실수를 인정하고 사과, ⑤ 부모의 요구를 수용한다 등이 있다.
      교사 중심적 대처 방식으로는 ① 대화를 포기한다, ② 참는다, ③ 부모 및 유아를 대하는 태도의 변화, ④ 동료 및 선임교사에게 조언 구하기, ⑤ 교사의 자질과 이직에 대해 고려한다 등이 있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는 부모의 언어표현에 의해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교사 나름대로의 대처 방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사가 부모의 언어표현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보다 전문적으로 부모가 교사에게 미치는 여러 가지 영향에 대해 연구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스트레스에 대한 교사의 대처 방식을 직접 교사로부터 들음으로써 부모가 주는 스트레스에 대해 어떻게 하면 바람직하게 대처할 수 있을지를 연구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부모의 언어표현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는 무엇이며, 이러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대처방...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부모의 언어표현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는 무엇이며, 이러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대처방식을 알아봄으로써 스트레스를 받은 교사가 부모와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 대처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 현장에 적용하도록 하는 것에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부모의 언어표현은 무엇인가?
      2. 유아교사는 스트레스를 주는 부모의 언어표현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있는 유아교육 기관인 유치원과 어린이집 8곳, 총 21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구자가 직접 현장에 들어가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그 의미를 해석하는 현장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면접방법은 면접자가 피 면접자로부터 듣고 싶은 화제나 문제점만을 정해놓고, 구체적인 질문내용이나 절차 또는 면담의 방법 등은 정하지 않고 면접하는 비구조적인 면접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10월 2일부터 18일까지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21명을 대상으로 비구조적 면접방법으로 진행되었고, 이를 통해 유아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부모의 언어표현에는 무엇이 있으며, 그 대처 방식은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면담일정과 면담시간은 교사의 편의를 고려하여 결정하였고, 1인당 20분에서 1시간가량 소요되었다. 면담은 각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빈 교실이나 사무실에서 진행되었으며, 면담 내용은 사전 허락을 얻어 처음부터 끝까지 녹음 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녹음된 자료를 통해 연구자가 녹음테이프를 전사하여 전사본을 만들었으며, 면접 시 작성된 자료를 전사본과 함께 통합하였다. 연구자는 통합된 자료의 수차례 정독을 통해 예비범주를 만든 뒤 범주에 따라 자료를 분류하였고, 분류된 자료의 적합성을 반복하여 검토하면서 자료를 분석하였다. 교사와의 면담을 기록하는 방법은 되도록 말 그대로를 옮기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본 연구자가 유아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부모의 언어표현은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와의 개별면담을 실시한 결과 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부모의 언어는 4가지로 분류되었다. 이 4가지를 살펴보면, 1) 기관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와 책임소재의 문제, 2) 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부모의 간섭문제, 3) 기관 내 유아행동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의견차이 문제, 4) 교사에 대한 부모의 예의 없는 언행문제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스트레스의 종류에 대한 교사의 대처 방식은 부모 중심적 대처 방식과 교사 중심적 대처 방식으로 나누었다.
      부모 중심적 대처 방식으로는 ① 상황 설명, ② 문제해결을 위해 대책 마련, ③ 부족한 부분에 대한 공부, ④ 실수를 인정하고 사과, ⑤ 부모의 요구를 수용한다 등이 있다.
      교사 중심적 대처 방식으로는 ① 대화를 포기한다, ② 참는다, ③ 부모 및 유아를 대하는 태도의 변화, ④ 동료 및 선임교사에게 조언 구하기, ⑤ 교사의 자질과 이직에 대해 고려한다 등이 있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는 부모의 언어표현에 의해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교사 나름대로의 대처 방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사가 부모의 언어표현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보다 전문적으로 부모가 교사에게 미치는 여러 가지 영향에 대해 연구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스트레스에 대한 교사의 대처 방식을 직접 교사로부터 들음으로써 부모가 주는 스트레스에 대해 어떻게 하면 바람직하게 대처할 수 있을지를 연구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논문개요 = ⅳ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3
      • 목차
      • 논문개요 = ⅳ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3
      • Ⅱ. 이론적 배경 = 4
      • 1. 스트레스의 개념 = 4
      • 2.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 5
      • 1) 직무 스트레스의 개념 = 5
      • 2) 직무 스트레스의 유발요인 = 6
      • 3. 스트레스의 대처방법 = 8
      • 1) 스트레스 대처 방법의 개념 = 8
      • 2) 스트레스 대처 방법의 기능 = 10
      • 3) 스트레스 대처 방법의 유형 = 11
      • 4. 선행연구 = 12
      •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6
      • 1. 연구대상 = 16
      • 2. 연구방법 = 16
      • 3. 연구 절차 및 분석 = 17
      • 1) 예비조사 = 17
      • 2) 본 조사 = 18
      • 3) 자료 분석 = 18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19
      • 1. 유아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부모의 언어표현 = 19
      • 1) 기관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와 책임소재의 문제 = 19
      • 2) 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부모의 간섭문제 = 22
      • 3) 기관 내 유아행동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의견차이 문제 = 30
      • 4) 교사에 대한 부모의 예의 없는 언행문제 = 34
      • 2. 스트레스에 대한 교사의 대처 방식 = 43
      • 1) 부모 중심적 대처 방식 = 46
      • (1) 상황 설명 = 46
      • (2) 문제해결을 위해 대책 마련 = 51
      • (3) 부족한 부분에 대한 공부 = 52
      • (4) 실수를 인정하고 사과 = 53
      • (5) 부모의 요구를 수용 = 55
      • 2) 교사 중심적 대처 방식 = 59
      • (1) 대화를 포기한다 = 59
      • (2) 참는다 = 61
      • (3) 부모 및 유아를 대하는 태도의 변화 = 62
      • (4) 동료 및 선임교사에게 조언 구하기 = 64
      • (5) 교사의 자질과 이직에 대해 고려 = 65
      • Ⅴ. 결론 및 제언 = 67
      • 참고문헌 = 71
      • Abstract = 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