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중년 성인의 자기성찰이 은퇴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명확성과 진로적응성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각 경로에서 성차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0~...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153402
2022
-
338
KCI등재
학술저널
671-690(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중년 성인의 자기성찰이 은퇴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명확성과 진로적응성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각 경로에서 성차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0~...
이 연구는 중년 성인의 자기성찰이 은퇴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명확성과 진로적응성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각 경로에서 성차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0~60대 성인 272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52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자료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살피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 가계 월 소득을 제외한 성별, 연령, 학력 수준 등에서 은퇴불안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자기성찰은 은퇴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자기개념명확성, 진로적응성을 통해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개념명확성과 진로적응성은 자기성찰과 은퇴불안의 관계를 이중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집단 분석 결과, 각 경로에서 남녀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을 앞두고있는 현시점에서 은퇴를 예상하는 중년 성인의 진로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career adaptability in the effect of self-reflection on retirement anxiety in middle-aged adults and to check whether there is a gender difference in each p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career adaptability in the effect of self-reflection on retirement anxiety in middle-aged adults and to check whether there is a gender difference in each path.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72 adults in their 40s and 60s, and 252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dat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tirement anxiety in gender, age and level of education excluding household monthly income. Second, Self-reflection did not directly affect retirement anxiety, but it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through self-concept clarity and career adaptability. Third, it was found that self-concept clarity and career adaptability double-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flection and retirement anxiety. Fourth,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in each path.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roposals for direction of intervention in career counseling for middle-aged adults who expect retirement,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of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
베이비붐 세대의 죽음불안이 우울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