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점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ADHD 아동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시에 거주하는 ADHD 아동 어머니 14명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83507
2024
Korean
Clay media ; Group art therapy ; Mother of ADHD child ; Self-esteem ; Parenting stress ; 점토매체 ; 집단미술치료 ; ADHD 아동 어머니 ; 자아존중감 ; 양육스트레스
KCI등재
학술저널
67-102(3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점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ADHD 아동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시에 거주하는 ADHD 아동 어머니 14명이...
본 연구는 점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ADHD 아동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시에 거주하는 ADHD 아동 어머니 14명이며, 실험집단 7명과 통제집단 7명을 무선 배치하여 2023년 9월 4일부터 12월 18일까지 주 1회, 매회기 90분씩 총 12회기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자아존중감, 양육스트레스 척도와 K-HTP, PITR 그림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점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의 회기 및 단계별 결과를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점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점토매체를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실험집단의 양육스트레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셋째, 질적 분석 결과, 집단원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자기이해와 수용, 자기표현의촉진으로 자아존중감과 양육스트레스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점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ADHD 아동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ADHD 아동어머니의 심리적, 정서적 지원의 필요성과 점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의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group art therapy using clay media had any effect on self-esteem and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ADHD children. 14 mothers of ADHD children residing in J Cit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group art therapy using clay media had any effect on self-esteem and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ADHD children. 14 mothers of ADHD children residing in J Cit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n=7, respectively). Group art therapy was given in a total of 12 sessions—90 minutes per session—on a weekly basis from September 4 to December 18, 2023. The self-esteem and parenting stress scales and the drawing tests of K-HTP and PITR were used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results of each session and stage in group art therapy using clay media.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group art therapy using clay media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elf-esteem in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group art therapy using i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parenting stres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the qualitative analysis showed that it made positive changes in self-esteem and parenting stress by facilitatin self-understanding, self-acceptance, and self-expression through the process of inter-member positive interaction. These results have demonstrated that art therapy using clay media positively affect the improvement in self-esteem and the decrease in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ADHD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nfirmed the need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for mothers of ADHD children and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using clay media
미술치료 관점에서 본 화가 이중섭의 생애사 연구 : 최열의 평전을 기반으로
음악치료사의 공감피로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미술치료 질적 연구 동향 분석(2013~2024)
민화의 미술치료적 의미 고찰- 매체와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