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미술치료 질적 연구 동향 분석(2013~2024) = Trends Analysis of Domestic Art Therapy Qualitative Research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2013-2024)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835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지난 12년간 미술치료 질적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2024년 4월까지 KCI 등재 학술지에 발표된 미술치료 질적 연구 434편에서 498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Excel 365와 NetMiner 4.5를 활용해 미술치료 질적 연구의 연도별 연구 방법별 게재 현황, 출현 빈도 분석, 중심성 분석,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3년과 2014년에는질적 연구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나, 2015년부터 점차 증가하였고, 2019년 이후 급격하게증가하였다. 사용된 연구 방법론은 사례연구(33.4%), 내러티브(25.58%), 현상학(22.1%) 등의 순이다. 둘째, 키워드 출현 빈도는 경험 1,170회(11.95%), 미술치료사 731회(7.46%), 아동 278회(2.84%), 집단 미술치료 236회(2.41%), 삶 234회(2.39%) 순이었다. 중심성 분석 결과, 연결 중심성은 경험, 미술치료사, 미술, 집단미술치료 순이었고 매개 중심성은 경험, 미술, 미술치료사, 집단미술치료, 아동 순이었다. 셋째, 연구 주제 관련 키워드 ‘삶’, ‘우울’, ‘불안’ 3개를 선정하여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키워드 간 유기적 연결과 각각의 키워드의 하위핵심 주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질적 연구의 동향과지식구조를 파악하고, 미술치료의 근거 기반 치료로서의 효과성 입증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과객관적 근거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지난 12년간 미술치료 질적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2024년 4월까지 KCI 등재 학술지에 발표된 미술치료 질적 연...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지난 12년간 미술치료 질적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2024년 4월까지 KCI 등재 학술지에 발표된 미술치료 질적 연구 434편에서 498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Excel 365와 NetMiner 4.5를 활용해 미술치료 질적 연구의 연도별 연구 방법별 게재 현황, 출현 빈도 분석, 중심성 분석,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3년과 2014년에는질적 연구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나, 2015년부터 점차 증가하였고, 2019년 이후 급격하게증가하였다. 사용된 연구 방법론은 사례연구(33.4%), 내러티브(25.58%), 현상학(22.1%) 등의 순이다. 둘째, 키워드 출현 빈도는 경험 1,170회(11.95%), 미술치료사 731회(7.46%), 아동 278회(2.84%), 집단 미술치료 236회(2.41%), 삶 234회(2.39%) 순이었다. 중심성 분석 결과, 연결 중심성은 경험, 미술치료사, 미술, 집단미술치료 순이었고 매개 중심성은 경험, 미술, 미술치료사, 집단미술치료, 아동 순이었다. 셋째, 연구 주제 관련 키워드 ‘삶’, ‘우울’, ‘불안’ 3개를 선정하여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키워드 간 유기적 연결과 각각의 키워드의 하위핵심 주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질적 연구의 동향과지식구조를 파악하고, 미술치료의 근거 기반 치료로서의 효과성 입증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과객관적 근거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rends in qualitative art therapy studies over the past 12 year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To accomplish this, 498 keywords from 434 qualitative art therapy studies published in KCI-indexed journals between 2013 and April 2024. Utilizing Excel 365 and NetMiner 4.5, we examined publication trends by year and research method, keyword frequency, centrality, and ego network analysis. First, the number of qualitative papers was low in 2013 and 2014, but steadily increased from 2015, with a sharp rise after 2019. The most used research methodologies were case studies(33.4%), narratives(25.58%), and phenomenology(22.1%).
      Second,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keywords were experience (1,170 occurrences, 11.95%), art therapist(731 occurrences, 7.46%), child(278 occurrences, 2.84%), group art therapy(236 occurrences, 2.41%), and life(234 occurrences, 2.39%). Centrality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st degree centrality keywords were experience, art therapist, art, and group art therapy, while the highest betweenness centrality keywords were experience, art, art therapist, group art therapy, and child. Third, an ego network analysis of the keywords ‘life’, ‘depression’, and ‘anxiety’ revealed inter-organic connections and sub-key topics for each keywor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s of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provided an objective basis for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as evidence-based therapy.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rends in qualitative art therapy studies over the past 12 year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To accomplish this, 498 keywords from 434 qualitative art therapy studies published in KCI-indexed journals between 2013 a...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rends in qualitative art therapy studies over the past 12 year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To accomplish this, 498 keywords from 434 qualitative art therapy studies published in KCI-indexed journals between 2013 and April 2024. Utilizing Excel 365 and NetMiner 4.5, we examined publication trends by year and research method, keyword frequency, centrality, and ego network analysis. First, the number of qualitative papers was low in 2013 and 2014, but steadily increased from 2015, with a sharp rise after 2019. The most used research methodologies were case studies(33.4%), narratives(25.58%), and phenomenology(22.1%).
      Second,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keywords were experience (1,170 occurrences, 11.95%), art therapist(731 occurrences, 7.46%), child(278 occurrences, 2.84%), group art therapy(236 occurrences, 2.41%), and life(234 occurrences, 2.39%). Centrality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st degree centrality keywords were experience, art therapist, art, and group art therapy, while the highest betweenness centrality keywords were experience, art, art therapist, group art therapy, and child. Third, an ego network analysis of the keywords ‘life’, ‘depression’, and ‘anxiety’ revealed inter-organic connections and sub-key topics for each keywor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s of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provided an objective basis for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as evidence-based therap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