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가족건강성 및 학습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2...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62848
2021
-
373
KCI등재
학술저널
693-704(1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가족건강성 및 학습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2...
목적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가족건강성 및 학습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2020년 11월부터 12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기주도학습능력, 가족건강성, 학습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가족건강성은 학습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r=.568, p<.001, r=.378, p<.001)가 있었고,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 온라인 교육효과, 건강상태, 생활수준, 자기주도학습능력, 가족건강성은 학습만족도를 43.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들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과 가족건강성을 키워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 및 뒷받침이 있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amily strength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in online educati...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amily strength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in online education. Methods From November to December in 2020,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94 nursing students from C province, J university. Data was analyzed based on Pearson’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using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erceived family strength,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Satisfaction for major studies, satisfaction for school life, effectiveness of online education, health status, standard of li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erceived family strength, accounted for 43.1% of the total variance in learning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Conclusions Overall learning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b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perceived family strength enhancement progra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희진, "한국형 가족기능도 척도 개발 연구" 가정과삶의질학회 21 (21): 15-28, 2003
2 유영주, "한국형 가족건강성척도 Ⅱ (KFSS-Ⅱ) 개발 연구" 가정과삶의질학회 31 (31): 113-129, 2013
3 김경화, "학습공동체 참여 대학생의 집단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영향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0 (20): 315-335, 2013
4 김보영, "코로나19로 인한 비자발적 ‘대학 온라인 강의’에 대한 만족도 연구"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13) : 7-31, 2020
5 진미정, "코로나19 시기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 실태 및 비대면 프로그램 지속 의향 영향 요인 탐색: 종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가정과삶의질학회 39 (39): 97-111, 2021
6 김미은, "코로나 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 대체가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및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519-541, 2020
7 박의경,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성결신학대학원 2012
8 김영주,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의 관계 -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2 (12): 31-46, 2014
9 김남이, "이러닝 준비도가 온라인 교육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 34 (34): 405-415, 2020
10 서남숙, "융복합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 학습동기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11-19, 2015
1 최희진, "한국형 가족기능도 척도 개발 연구" 가정과삶의질학회 21 (21): 15-28, 2003
2 유영주, "한국형 가족건강성척도 Ⅱ (KFSS-Ⅱ) 개발 연구" 가정과삶의질학회 31 (31): 113-129, 2013
3 김경화, "학습공동체 참여 대학생의 집단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영향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0 (20): 315-335, 2013
4 김보영, "코로나19로 인한 비자발적 ‘대학 온라인 강의’에 대한 만족도 연구"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13) : 7-31, 2020
5 진미정, "코로나19 시기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 실태 및 비대면 프로그램 지속 의향 영향 요인 탐색: 종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가정과삶의질학회 39 (39): 97-111, 2021
6 김미은, "코로나 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 대체가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및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519-541, 2020
7 박의경,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성결신학대학원 2012
8 김영주,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의 관계 -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2 (12): 31-46, 2014
9 김남이, "이러닝 준비도가 온라인 교육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 34 (34): 405-415, 2020
10 서남숙, "융복합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 학습동기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11-19, 2015
11 김혜영, "웹기반 선생학습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간호술기 수행자신감 및 학습만족도" 남부대학교 2017
12 전창석, "외식, 조리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이 전공만족도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구, 경북지역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34 (34): 63-83, 2019
13 전성주,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의과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학습몰입, 자기주도성, 학습만족도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20 (20): 65-74, 2020
14 박성익,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4 (14): 93-115, 2006
15 박명숙, "온라인 음악교육에서 인지적실재감,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이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 : 1-15, 2014
16 주영주, "사이버 대학에서 내적통제소재, 온라인 과제가치, 시간관리, 학습몰입, 만족도 간의 과목선택권에 따른 영향력 차이 규명"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477-497, 2011
17 조승화,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습관여가 대학(원)생의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 그릿(grit)의 매개효과"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2019
18 김수연, "동영상 강의 중 딴짓과 몰입의 세대 간 비교"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5 (25): 273-298, 2019
19 송충진, "대학에서의 교수・학습활동과 의사소통,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교수자와 학습자간 인식차이와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5 (15): 171-200, 2014
20 나성윤,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성취동기를 매개변인으로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7 (17): 121-130, 2019
21 현은민,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탄력성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165-174, 2017
22 이승철,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성장마인드셋, 정서지능, 그릿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구조적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23 임주영,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대학생활만족도 및 성취동기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18 (18): 113-130, 2013
24 박지영,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과 온라인 과제가치인식이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9 (29): 165-185, 2017
25 김은주, "대학생들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만족도,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09-231, 2014
26 김은지, "대학 수업에서 학습 몰입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내·외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교육연구소 16 (16): 107-129, 2015
27 송윤희,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의 유머러스함, 래포, 몰입 및 만족도와의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43 (43): 245-269, 2012
28 김영자,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29 위지희, "간호학과 대학생과 비간호학과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자아존중감, 가족건강성" 한국의료윤리학회 19 (19): 297-311, 2016
30 조미경,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7 (17): 468-477, 2017
31 손유림,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자기효능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6 (6): 1136-1146, 2018
32 정미현, "간호대학생의 인성, 간호전문직관 및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302-314, 2017
33 김미정, "가족지지 및 교수지지와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1159-1174, 2020
34 McCoy, C. W., "The relationship of self-directied learning, techololgical self-directed learing, technological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of adult" The University of Alabama 2001
35 Lee, P. -L., "The relationship of family closeness with colleg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school adjustment" 41 (41): 779-788, 2007
36 Alves, H., "The influence of university image on students’ behavior" 24 : 73-85, 2010
37 Sumaedi, S., "The effect of students’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perceived price on student satisfaction" 5 (5): 88-97, 2011
38 Knowles, M. S., "Self-directed learning" Cambridge 1975
39 배을규, "HRD기업 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12 (12): 1-26, 2010
40 Strage, A. A., "Family context variables and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in college students" 33 (33): 17-31, 1998
41 Ahmed, K.,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career choices : Empirical evidence from business students" 2017 : 1-15, 2017
42 Garrison, D. R., "E-Learning in the 21st Century: A framework for research and practice" Routledge Falmer 2011
43 이소영, "COVID-19로 인한 온라인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 그릿 및 자기주도학습능력"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8 (38): 567-578, 2021
44 이하연, "COVID-19로 인한 비대면 학습 환경에서 대학생의 학교소속감과 대학생활만족도가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34 (34): 231-251, 2021
45 Strage, A., "Authoritative parenting and college students' academic adjustment and success" 91 (91): 146-156, 1999
46 권선아,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의 신기술 도입 및 제도 전환에 대한 대학교수 인식 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873-882, 2018
고혈압 환자의 혈압 인지율과 치료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교육중심대학인 미네르바 스쿨 사례를 토대로 한 향후 대학교육 방향 모색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