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령자의 노후소득보장제도 수급상태와 노동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tatus of income maintenance system and work among the elder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234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65세 이상 75세 미만 초기고령자의 노동과 노후소득보장 수급상태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노인들은 연금수급 연령이 지나고도 오랫동안 노동에 종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고령자 노동에 대한 선행연구는 고령자의 노후소득보장 수급상태에 주목하지 않았고, 특히 고령자 노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공적연금을 특수직역연금과 국민연금으로 세분화해서 살펴보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층을 노후소득보장제도 수급상태에 따라 국민연금 수급자, 특수연금 수급자,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비수급자등 4개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본 연구는 2012년(7차)부터 2017년(12차) 한국복지패널자료를 활용하여 패널자료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수급상태별 고령자 노동을 비교해본 결과, 기초수급군의 고용율이 가장 낮았으며 그 다음으로 특수직역 수급군, 비수급군, 국민연금 수급군 순으로 높았다. 둘째, 고령자의 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성별, 연령, 지역, 교육수준), 경제(가구균등화소득, 자산), 신체건강(주관적 건강상태, 장애유무), 심리건강(우울) 변인을 통제하더라도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수급상태는 고령자 노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수급상태별로 네 개 집단을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고령자 노동과 관련된 변인의 일부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 65세 이상 75세 미만 초기고령자의 노동과 노후소득보장 수급상태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노인들은 연금수급 연령이 지나고도 오랫동안 노동에 종사...

      본 연구는 한국 65세 이상 75세 미만 초기고령자의 노동과 노후소득보장 수급상태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노인들은 연금수급 연령이 지나고도 오랫동안 노동에 종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고령자 노동에 대한 선행연구는 고령자의 노후소득보장 수급상태에 주목하지 않았고, 특히 고령자 노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공적연금을 특수직역연금과 국민연금으로 세분화해서 살펴보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층을 노후소득보장제도 수급상태에 따라 국민연금 수급자, 특수연금 수급자,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비수급자등 4개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본 연구는 2012년(7차)부터 2017년(12차) 한국복지패널자료를 활용하여 패널자료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수급상태별 고령자 노동을 비교해본 결과, 기초수급군의 고용율이 가장 낮았으며 그 다음으로 특수직역 수급군, 비수급군, 국민연금 수급군 순으로 높았다. 둘째, 고령자의 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성별, 연령, 지역, 교육수준), 경제(가구균등화소득, 자산), 신체건강(주관적 건강상태, 장애유무), 심리건강(우울) 변인을 통제하더라도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수급상태는 고령자 노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수급상태별로 네 개 집단을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고령자 노동과 관련된 변인의 일부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us of income maintenance system and work among the elderly. This study utilizes the Korea Welfare Panel data (7 wave~12 wave).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ment rates are differentiated by the status of income maintenance system. Second, after controlling fo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panel data analysis shows that the status of income maintenance system is associated with work of the elderly.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which are associated with work, among the four groups of income maintenance status. This study has a policy implication that the status of public income maintenance system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 designing various work programs for the Korean elder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us of income maintenance system and work among the elderly. This study utilizes the Korea Welfare Panel data (7 wave~12 wave).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us of income maintenance system and work among the elderly. This study utilizes the Korea Welfare Panel data (7 wave~12 wave).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ment rates are differentiated by the status of income maintenance system. Second, after controlling fo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panel data analysis shows that the status of income maintenance system is associated with work of the elderly.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which are associated with work, among the four groups of income maintenance status. This study has a policy implication that the status of public income maintenance system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 designing various work programs for the Korean elder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서론
      • II. 문헌고찰
      • III. 연구방법
      • IV. 연구결과
      • 국문초록
      • I. 서론
      • II. 문헌고찰
      • III. 연구방법
      • IV. 연구결과
      • V.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