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등 영어과 임용시험의 내용을 Bachman과 Palmer가 제시한 Target Language Use에 근거해 분석하고, 바람직한 임용시험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9년도부터 2017년도까지 과...
본 연구는 중등 영어과 임용시험의 내용을 Bachman과 Palmer가 제시한 Target Language Use에 근거해 분석하고, 바람직한 임용시험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9년도부터 2017년도까지 과거 9년간 임용시험의 경향과 신뢰도를 분석하고, 2017년도 임용시험 문항의 유용성을 구인타당도, 진정성, 상호작용성의 세 가지 속성을 이용해 질적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1명의 영어교사와 66명의 예비영어교사의 임용시험 각 부문의 유용성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았다. 이들은 임용시험의 영어교육학, 영어학, 영문학, 일반영어 부문을 공부한 것이 실제 중등교육 영어수업현장에서 교사에게 얼마나 유용한지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교사와 예비영어교사 모두 영어교육학 부문의 유용성이 제일 높다고 판단하였고, 영어학과 영문학의 유용성은 비교적 낮다고 응답하였다. 둘쨰, 과거 9년간 임용시험의 경향을 양적 분석한 결과, 문항유형은 일정한 문항수를 유지해 그 신뢰도는 비교적 높았다. 셋째, 영어교육학은 거의 매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점점 더 그 비중이 커져 2017년도 임용시험에서 역대 가장 큰 비중을 보였다. 그와는 반대로 영문학은 매년 제일 낮은 비중을 차지했고, 그 비중은 9년간 큰 폭의 변화 없이 일정한 편이었다. 넷째, 2017년도 시험 문항을 질적 분석한 결과, 영어교육 기입형 문항은 중간정도의 구인타당도를, 서술형과 논술형 문항은 높은 구인타당도를 보였다. 영어학 기입형 문항은 구인타당도가 낮게, 서술형 문항은 구인타당도가 중간 수준으로 나왔다. 일반영어 문항들은 중간정도의 구인타당도를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영어교육과 일반영어 문항은 높은 진정성을 보인 반면, 영어학 문항은 대부분 진정성이 낮았다. 또한 영역에 상관없이 기입형 문항은 비교적 낮은 상호작용성을, 서술형 문항은 중간의 상호작용성을, 논술형 문항은 높은 상호작용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7년까지 9년간의 임용시험들을 분석함으로써 긴 시간동안 쌓여온 시험의 경향을 보다 충분히 분석하고, 2017학년도 임용시험의 유용성 분석 및 과거 시험들과의 차이 비교를 통해 임용시험이 나가가야 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