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주제중심 통합학습에 대한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의 인식 연구 = The Lower Grades Teachers' Perception on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4743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3.1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i,63 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p.50-55

      • 소장기관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초등 교육 현장에서 실행되고 있는 주제중심 통합학습에 대한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의 인식 연구이다. 저학년 통합 교육 과정의 내실화 및 질적 제...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초등 교육 현장에서 실행되고 있는 주제중심 통합학습에 대한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의 인식 연구이다. 저학년 통합 교육 과정의 내실화 및 질적 제고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문제 1.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가 인식하는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실행 여건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가 인식하는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효과는 무엇인가?
      연구 문제 3.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가 인식하는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방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4.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가 인식하는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 5.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가 인식하는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위의 연구는 주제중심 통합학습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조사하고, 질문지를 작성하여 통계처리를 한 후, 분석 ․ 논의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방법으로 논의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의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실행 여건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과거 전통적인 분과 위주의 사고방식과 교수 방식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새로운 학습 방법에 대한 저항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효과에 대한 저학년 교사의 인식은 교직 ․ 담임 경력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주제중심 통합학습과 관련한 수업 개선 연구, 학습 자료 개발 등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주제중심 통합학습 방법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 비해 실행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 인식은 교직 ․ 담임 경력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행도는 저학년 담임 경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저학년에서 고경력의 교사들의 실행도가 높은 곳으로 나타났다. 주제의 선정과 조직, 계획, 실행과 평가의 세 단계에서 중요도는 모두 높았으나 실행도는 낮았는데,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연수와 함께 저경력자를 대상으로 한 워크숍이 영향을 끼쳤으리라고 본다. 이는 저경력자 교사일수록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에서 기인한다.
      넷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량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교육 과정 재구성 능력 향상과 주제중심 통합학습에 대한 아동의 관심과 학부모의 협조,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다섯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교재 및 교구의 제작, 교과 시간의 융통성, 연수의 활성화 등을 개선방안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재량권 확보와 수업 지원 면에서의 국가적인 협조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성공적인 실행은 교사의 능력과 국가의 지원이라고 분석된다.

      이상 주제중심 통합학습에 대한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의 인식 연구 결과는 앞으로 교사의 인식 변화가 요구되며 또한 교사와 아동, 학부모 단위 학교가 함께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의의와 효과를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실천할 때,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성공적인 정착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ways to improve quality of education for lower-grades elementary education by improving connectivity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education by researching perception of lower-grades elementary teachers on theme-bas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ways to improve quality of education for lower-grades elementary education by improving connectivity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education by researching perception of lower-grades elementary teachers on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being conducted in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extbooks revised in 2007.
      Study Tasks 1. How are the conditions for conducting preception of lower-grades elementary teachers on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Study Tasks 2. What are the effects of perception of lower-grades elementary teachers on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Study Tasks 3. What are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of perception of lower-grades elementary teachers on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Study Tasks 4. What are the problems of perception of lower-grades elementary teachers on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Study Tasks 5. What are the plans for improving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The study conducted precedent studies on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and prepared statistics by preparing questionnaires than analyzed and discussed.
      First, the perception on the conditions for conducting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were higher for those with experiences. The differences it was statistically meaningful(p<.01). The increase in knowledge and knowhow accumulated through experience and trials and errors as a teacher seemed to have increased perception on the conditions for conducting theme-focused integrated education.
      Second, the effects of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showed differences between careers which did not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p>.05). It means that there needs systematic studies on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along with investments on studies to improve classes,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Third, the importance of the methods of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was high while the execution was low. This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t=16.243, p<.001). There needs workshop for those with little experience along with general training on the methods of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Fourth, the problem of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was that there are too much work load presented from textbooks.
      Fifth, the plans for improving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was analyzed as production of textbooks and learning materials, flexibility of class hours, encouraging training and it was analyzed that successful execution of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was based on the ability of teachers and supports from the government.
      These results indicate methods of efficient improvements on lower-grades elementary education and quality teacher training.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will be successful when the meaning and the effects of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are recognized and executed by children, parents and schools along with changes in teacher perception.

      Keywords :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lower-grades elementary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목 차 ­
      • 논문요약 ⅳ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 목 차 ­
      • 논문요약 ⅳ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3. 용어 정의 5
      • Ⅱ. 이론적 배경 7
      • 1. 주제중심 통합학습 7
      • 가.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개념 7
      • 나.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방법 9
      • 2. 초등학교 저학년과 주제중심 통합학습 16
      • 3. 주제중심 통합학습에서 저학년 교사의 역할 21
      • Ⅲ. 연구방법 25
      • 1. 연구대상 25
      • 2. 연구도구 26
      • 가. 연구 도구의 구성 26
      • 나. 연구 도구의 신뢰도 29
      • 3. 자료 분석 30
      •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31
      • 1.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실행 여건에 대한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의 인식 31
      • 2.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효과에 대한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의 인식 33
      • 3.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가 인식하는 주제중심 통합학습 방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35
      • 가.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의 일반적 사항에 따른 통합학습 방법에 대한 중요도 차이 37
      • 나.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의 일반적 사항에 따른 통합학습 방법에 따른 실행도 차이 38
      • 4.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문제점에 대한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의 인식 39
      • 5.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개선 방안에 대한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의 인식
      • 41
      • Ⅴ. 논의 및 결론 44
      • 1. 논의 44
      • 2. 결론 46
      • 참고문헌 50
      • Abstract 61
      • 부록 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