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적 가설에 대한 이해 = Understanding of Scientific Hypothesi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343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적 가설에 대한 이해와 좋은 과학적 가설의 조건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분석 자료로는 충남 지역에 소재한 국립대...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적 가설에 대한 이해와 좋은 과학적 가설의 조건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분석 자료로는 충남 지역에 소재한 국립대학교의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104명의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들이 기록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주어진 과학적 가설에 대해 가설 성립 여부를 묻는 문항에서 정답을 맞힌 학생 수는 비교적 많았으나, 그 이유까지 정확하게 기술한 학생 수는 훨씬 적게 나타났다. 또한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적 가설의 조건으로는 과학적 검증 가능성, 충분한 과학적 근거의 제공, 가설 설정을 하는 데 있어 적절한 논리적 추론의 사용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가설 관련 수업이나 가설-연역적 연구를 진행하기 전에, 과학적 가설이란 무엇이며 어떤 것이 과학적 가설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정확하고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look for understanding of the scientific hypothesi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s the raw data we use the questionnaire written by 104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pecial education program f...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look for understanding of the scientific hypothesi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s the raw data we use the questionnaire written by 104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pecial education program for the gifted students provided by the national university located in the middle region. Based on the analysis, many students answer correctly to the True/False question on the scientific hypothesis. But, there are few students to know the detail reason. In addition, students regard the followings as the condition of the scientific hypothesis: the possibility of the scientific verification, the offer of the sufficient scientific evidence and the usage of the adequate logical inference setting a hypothesis. This paper suggested in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that the diverse lessons related to the hypothesis or the hypothesis-deduction research must follow after the precise and specific education program on what the scientific hypothesis is and can fi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원, "학생의 과학적 설명가설의 생성과정 분석-과학적 가설의 정의와 특성을중심으로" 20 (20): 667-679, 2000

      2 조한국, "프로젝트형 탐구학습을 통한 영재들의 과학하기" 11 (11): 23-44, 2001

      3 양희선, "프로젝트 수행 활동을 통한 영재들의창의성 신장에 대한 연구" 한국영재학회 18 (18): 111-137, 2008

      4 심규철, "프로젝트 기반의 과제 수행을 통한 초등학생의 창의력 신장 방안 모색" 1 (1): 61-69, 2007

      5 이혜원, "초?중학생의 관찰, 예상, 가설의 이해"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4 (24): 236-241, 2005

      6 최선영, "초등학교 과학영재학급 학생선발을 위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도구 개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5 (25): 27-38, 2006

      7 김동욱, "초등학교 과학 영재아들의 탐구 능력에 대한 분석" 15 (15): 60-70, 2005

      8 임춘우, "초등과학영재교육원의 선발 문항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34 (34): 155-163, 2010

      9 백성혜,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 학생의 인지적 특성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307-316, 2006

      10 교육과학기술부, "초등 학교 교사용 지도서(과학 4-1)" 금성출판사 2009

      1 박종원, "학생의 과학적 설명가설의 생성과정 분석-과학적 가설의 정의와 특성을중심으로" 20 (20): 667-679, 2000

      2 조한국, "프로젝트형 탐구학습을 통한 영재들의 과학하기" 11 (11): 23-44, 2001

      3 양희선, "프로젝트 수행 활동을 통한 영재들의창의성 신장에 대한 연구" 한국영재학회 18 (18): 111-137, 2008

      4 심규철, "프로젝트 기반의 과제 수행을 통한 초등학생의 창의력 신장 방안 모색" 1 (1): 61-69, 2007

      5 이혜원, "초?중학생의 관찰, 예상, 가설의 이해"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4 (24): 236-241, 2005

      6 최선영, "초등학교 과학영재학급 학생선발을 위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도구 개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5 (25): 27-38, 2006

      7 김동욱, "초등학교 과학 영재아들의 탐구 능력에 대한 분석" 15 (15): 60-70, 2005

      8 임춘우, "초등과학영재교육원의 선발 문항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34 (34): 155-163, 2010

      9 백성혜,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 학생의 인지적 특성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307-316, 2006

      10 교육과학기술부, "초등 학교 교사용 지도서(과학 4-1)" 금성출판사 2009

      11 육근철,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 경연대회 평가 연구" 8 (8): 31-67, 1998

      12 심규철, "지역 영재교육원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 34 (34): 479-484, 2006

      13 오필석, "지구과학자와 대학생들의 가설 형성 과정 비교: 태풍의 이상 경로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649-663, 2008

      14 김지영, "중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탐구 과정의 활용 정도와 가설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258-267, 2006

      15 강대호, "제7차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탐구 영역 비교 분석-7학년과 8학년의 화학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6 (6): 309-334, 2003

      16 박은미, "유사 경험의 제공이 귀추에 의한 가설 설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356-366, 2006

      17 이혜정, "생물학자의 지식 생성과정에서 나타난 귀추적 사고" 한국생물교육학회 36 (36): 189-202, 2008

      18 신동훈, "생물학 가설 생성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감성의 생성 과정 설명을 위한 신경 인지적 모형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 34 (34): 232-245, 2006

      19 권용주, "생물전공 및 비전공 예비교사들과 생물학자들의 가설 생성 및 이해에서 나타나는 두뇌 활성 차이" 과학교육연구소 33 (33): 173-183, 2009

      20 이준기, "생명 현상에 대한 가설 생성에서 나타나는 과학교사의 두뇌 활성 - fMRI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34 (34): 453-464, 2006

      21 안도희,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과학영재의 과학문제발견력과 정의적 인지적 특성에 미치는 중 장기적 효과" 한국영재학회 19 (19): 279-302, 2009

      22 권용주, "귀추적 과학지식의 생성에서 나타나는 감성의 유형" 한국생물교육학회 32 (32): 204-212, 2004

      23 오준영, "귀추 추리 전략을 통한 과학영재를 위한 창의적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786-795, 2008

      24 유진상, "과학탐구대회에서 나타난 중학생의 과학탐구능력에 대한 분석 연구" 1 (1): 109-116, 2007

      25 서혜애, "과학적 창의성과 과학영재교육의 방향" 14 (14): 65-89, 2004

      26 권용주, "과학적 가설의 생성력 향상을 위한 삼원귀추모형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25 (25): 595-602, 2005

      27 권용주, "과학적 가설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바탕이론"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458-469, 2003

      28 박지영, "과학영재교육프로그램 분석 모형의 고안과 국내의 과학영재를 위한 생물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33 (33): 122-131, 2005

      29 박민정, "과학 탐구력 검사와 창의성 검사와의 관계를 통한 과학영재 선발문항 유형 분석" 한국영재학회 19 (19): 565-583, 2009

      30 이기영, "과학 영재 선발 도구로서 지필 검사의 적합성 탐색을 위한 질적 및 양적 문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32-46, 2008

      31 이선길, "고등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연구(R&E)프로젝트 학습모형의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2006

      32 강순희, "가설 제안 활동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에 기여하는 모델 개발 및 과학 교수에서 그 활용"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482-494, 2008

      33 Wenham,M, "The nature and role of hypotheses in school, investigations" 15 (15): 231-240, 1993

      34 Curd,M.V, "The logic of discovery:An analysis of three approaches.In T.Nickles(Ed.),Scientific Discovery,Logic and Rationality" D.Reidel 1980

      35 Barnhart,C.L, "The american college dictionary" Harper & Brothers 1953

      36 Quinn, M. E, "Teaching hypothesis formation" 59 (59): 289-296, 1975

      37 AAAS, "Science-a process approach" American Association for theAdvancement of Science 1967

      38 Lawson, A. E,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95

      39 Popper,K, "Science and hypothesis" Dover Publishing Company 1968

      40 Kwon, Y, "Roles of abductive reasoning and prior belief inchildren's generating hypothesis about pendulum motion" 15 : 643-656, 2006

      41 정용재, "Peirce의 귀추법 양식을 이용한 교육 대학생들이 생성한 가설의 특징 분석" 25 (25): 126-140, 2006

      42 Hanson, N. R, "Patterns of discove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43 Adsit, D. J, "Effect of hypothesis generation on hypothesis testing in rulediscovery tasks" 124 (124): 19-35, 1997

      44 Klahr, D, "Dual space search during scientific reasoning" 12 : 1-48, 1988

      45 Jin-Su Jeong, "Definition of Scientific Hypothesis: A Generalization or a Causal Explanation?"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637-645, 2006

      46 Wartofsky,M, "Conceptual foundations of scientific thought" MacMillanLtd 1968

      47 McNay, M, "Children's skill in making predictions and theirunderstanding of what predicting means: A developmental study" 30 (30): 561-577, 1993

      48 Park, J, "Analysis of the students' processes ofconfirmation and falsification of the hypotheses in electrostatics" 23 (23): 1219-1236, 2001

      49 Fischer, H. R, "Abductive reasoning as a way of worldmaking" 6 (6): 361-383, 2001

      50 Sternberg, R. J, "A three-fact model of creativity. In The nature of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5-127, 19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7 1.47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9 1.961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