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 반응 특성 연구 =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 to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assessment of self-efficacy in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99705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건국대학교, 2016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00.18 판사항(6)

      • DDC

        615.85156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 76장 : 천연색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전순영
        권말부록: 설문지 ; PPAT그림검사 채점지 ; 형식척도(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 FEATS) 채점기준
        참고문헌: 장 53-59

      • 소장기관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in adolescents and PPAT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assessment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PPAT assessment of self-efficacy in adolescent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in adolescents and PPAT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assessment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PPAT assessment of self-efficacy in adolescents.
      300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B middle school in G-do participated in the self-efficacy and PPAT assessment. The researchers evaluated 289 students’ results; the other 11 results were not evaluated. We divided the 289 results into the top 27% (80 students) and bottom 27% (79 students) and analyzed them using the FEATS and Contents Scale of PPAT assessment. All three evaluators, including myself, are art therapists. To improve reliability in the scoring, we evaluated one another’s scoring of the students’ results. To get the result I used an independent sample t test for FEATS and cross-scale analysis (x²) for the Contents Scale.
      Looking at the results obtained in the research problem, Nine of the fourteen grading criteria in FEATS ‘Prominence', 'Space', 'Integration', 'Logic', 'Problem Solving', ‘Development Level', 'Detail of Objects & environment', 'Line Quality' and 'Pers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high self-efficacy group showed more coloring, more use of space, more integration between objects, and more logicality than the low self-efficacy group. They also had a higher problem-solving ability and development stage of painting. Moreover, they portrayed more details of the object, modulated the quality of lines well, and expressed details of people.
      Five criteria on the contests sca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Gender', 'Orientation of Person's Face', 'Approximate Age of Person', 'Apple Tree' and ‘Environmental Details'. For 'Gender' a majority of the low self-efficacy group (31.4%) were scored under 'ambiguous man', and a majority of the high self-efficacy group (49.2%) were scored under 'clear woman'. Regarding 'Orientation of Person's Face' a majority of the low self-efficacy group (45.8%) drew a face without eyes, a nose, a mouth, or ears, and high self-efficacy group had 31.1% in ‘verse back’ part. For 'Approximate Age of Person' a majority of the low self-efficacy group (47.7%) were scored as 'can’t know' or 'kids, toddler', while a majority of the high self-efficacy group (75.4%) were scored as 'adolescents, adults'. For the 'Apple Tree' criterion, a majority of the low self-efficacy group (52.7%) drew one apple, while a majority of the high self-efficacy group (84.8%) drew more than ten apples. For 'Environmental' a majority of the low self-efficacy group (90.5%) gave no depiction of the background, while a majority of the high self-efficacy group (63.6%) depicted the background.
      Through my analysis of these results, I determined that the PPAT is useful as an objective method to support verbal psychological testing; moreover, I expect it to be useful as a supplemental diagnostic method to assess the self-efficacy levels in adolesc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의 반응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의 반응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도에 위치한 B중학교 학생으로 총 300명에게 자기효능감 척도와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를 실시하였고 이중 부실기재 11명을 제외한 289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289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 상위 27%(80명)집단 하위 27%(79명)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의 형식척도(FEATS)와 내용척도(Contents Scale)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자를 포함하여 미술치료사 총 3명의 평정자가 채점을 하여 채점자간 신뢰도를 평가하였고,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의 반응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형식척도에서는 독립표본 t검증을, 내용척도에서는 교차분석( x²)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얻어진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형식척도의 14개 항목 중 ‘색칠정도’, ‘공간’, ‘통합’, ‘논리성’, ‘문제해결력’, ‘발달단계’, ‘대상물의 세부묘사와 주변환경’, ‘선의 질’, ‘사람’의 총 9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의 그림이 색칠정도가 높고 공간의 사용이 많았으며 관련된 요소간의 통합이 이루어졌으며 논리적이었다. 또한 주제와 관련되어 문제해결력이 높았으며 그림의 발달단계가 높았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대상물의 세부묘사가 많았으며 선의 질이 잘 조절되었고 사람의 표현이 구체적이었다.
      내용척도에서는 ‘성별’, ‘사람의 얼굴방향’, ‘사람의 나이’, '사과나무', ‘배경묘사’의 총 5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의 항목 중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은 ‘모호한 남자’가 31.4%로 높게 나왔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은 ‘분명한 여자’가 49.2%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람의 얼굴 방향’ 항목 중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은 ‘정면-이목구비가 없음’이 45.8%로 높게 나왔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은 ‘뒷면’이 31.1%로 높게 나왔다. ‘사람의 나이’ 항목 중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은 ‘알 수 없음’, ‘아동, 유아’가 47.7%로 높게 나왔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은 ‘청소년, 성인’이 75.4%로 높게 나왔다. ‘사과나무’ 항목 중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은 ‘1개의 사과’가 52.7%로 높게 나왔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은 ‘10개 이상의 사과’가 84.8%로 높게 나왔다. ‘배경묘사’의 항목 중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은 ‘배경묘사 없음’이 90.5%로 높게 나왔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은 하위영역을 포함한 ‘배경묘사 있음’이 63.6%로 높게 나왔다.
      결과적으로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가 객관적 도구로 언어적 심리검사를 보완해 줄 수 있는 도구로써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나아가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수준을 알아 볼 수 있는 보조적 진단도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용어의 정의 4
      • 1) 자기효능감 4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용어의 정의 4
      • 1) 자기효능감 4
      • 2)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 4
      • Ⅱ. 이론적 배경 6
      • 1. 자기효능감 6
      • 1) 자기효능감의 개념 및 구성요소 6
      • 2) 청소년기의 자기효능감 8
      • 2.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 9
      • 1)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의 개발 및 특징 9
      • 2)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의 구성 요소 11
      • 3)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의 형식척도 13
      • 4)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의 내용척도 16
      • 3. 선행연구 18
      • Ⅲ. 연구 방법 22
      • 1. 연구대상 22
      • 2. 연구도구 23
      • 1) 자기효능감 척도 23
      • 2)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 24
      • 3. 연구절차 26
      • 4. 자료의 처리 28
      • Ⅳ. 연구결과 29
      • 1. 자기효능감에 따른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의 형식척도 반응특성 29
      • 2. 자기효능감에 따른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의 내용척도 반응특성 36
      • Ⅴ. 논의 및 결론 44
      • 참고문헌 53
      • 부 록 60
      • ABSTRACT 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