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 법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society of intelligent information, using big data is an irresistible trend. From the industrial perspective, it is required to activate use of big data, whereas from the personal perspectiv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hould take precedence over use of big data. Since they are in conflicting positions, there is a dilemma in terms of regulations. Therefore, developed countries improve their legal system for saf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Cases in points are EU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GDPR) that came into effect in 2018, and ‘the act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mended in 2015, in Japan. The US has tried its Federal legalization continuously since 2014.
      In Korea, Three Data Bills referring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and ‘Credit Information Use and Protection Act’ were revised in Feb. 2020, and the revised. The revised acts have been enacted since August of the year. They include concepts of pseudonymous information and anonymous information, and use and expans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enhanc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ssion’ presence, and MyData business. Although the revision can help to promote personal information use, there are arguments tha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till falls behind and that it is required to improve insufficiency.
      In consideration of such a circumstance, this study looks into discussion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egalization of the US Federal Government, draws the problems of the revised three data acts, and suggests an improvement plan. Given the role of the US that establishes global digital trade norms, the discussions of the US Federal legalization will be able to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legal system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Korea.
      번역하기

      In the society of intelligent information, using big data is an irresistible trend. From the industrial perspective, it is required to activate use of big data, whereas from the personal perspectiv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hould take precede...

      In the society of intelligent information, using big data is an irresistible trend. From the industrial perspective, it is required to activate use of big data, whereas from the personal perspectiv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hould take precedence over use of big data. Since they are in conflicting positions, there is a dilemma in terms of regulations. Therefore, developed countries improve their legal system for saf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Cases in points are EU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GDPR) that came into effect in 2018, and ‘the act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mended in 2015, in Japan. The US has tried its Federal legalization continuously since 2014.
      In Korea, Three Data Bills referring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and ‘Credit Information Use and Protection Act’ were revised in Feb. 2020, and the revised. The revised acts have been enacted since August of the year. They include concepts of pseudonymous information and anonymous information, and use and expans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enhanc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ssion’ presence, and MyData business. Although the revision can help to promote personal information use, there are arguments tha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till falls behind and that it is required to improve insufficiency.
      In consideration of such a circumstance, this study looks into discussion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egalization of the US Federal Government, draws the problems of the revised three data acts, and suggests an improvement plan. Given the role of the US that establishes global digital trade norms, the discussions of the US Federal legalization will be able to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legal system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호, "한국의 개인정보보호 수행체계 발전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2017

      2 권건보, "지능정보시대에 대응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실효적 보장방안" 미국헌법학회 30 (30): 1-38, 2019

      3 임규철, "사물인터넷과 블록체인 시대에 있어 개인정보보호법제의 최근 동향과 과제 ― 국내의 개인정보보호법과 GDPR을 중심으로 ―" 미국헌법학회 29 (29): 195-239, 2018

      4 백승엽, "빅데이터 사회에서 개인신용정보의 보호와 이용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2018

      5 정혜련, "미국의 프라이버시와 개인정보보호 -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유럽연합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5) : 271-305, 2016

      6 김창화, "미국에서의 개인정보 유출 관련 소송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법학회 19 (19): 37-64, 2015

      7 이규엽, "미국 개인정보보호법 입법 동향: 국내 개정법과의 비교 및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 (20): 2020

      8 이규엽, "디지털 무역규범의 국제 논의 동향: WTO 전자상거래 협상과미 개인정보보호법 입법안을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 (19): 2019

      9 이재훈, "데이터3법 개정과 연구개발정보 활용을 위한 제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

      10 이양복, "데이터 3법의 분석과 향후과제" 한국비교사법학회 27 (27): 423-465, 2020

      1 이인호, "한국의 개인정보보호 수행체계 발전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2017

      2 권건보, "지능정보시대에 대응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실효적 보장방안" 미국헌법학회 30 (30): 1-38, 2019

      3 임규철, "사물인터넷과 블록체인 시대에 있어 개인정보보호법제의 최근 동향과 과제 ― 국내의 개인정보보호법과 GDPR을 중심으로 ―" 미국헌법학회 29 (29): 195-239, 2018

      4 백승엽, "빅데이터 사회에서 개인신용정보의 보호와 이용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2018

      5 정혜련, "미국의 프라이버시와 개인정보보호 -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유럽연합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5) : 271-305, 2016

      6 김창화, "미국에서의 개인정보 유출 관련 소송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법학회 19 (19): 37-64, 2015

      7 이규엽, "미국 개인정보보호법 입법 동향: 국내 개정법과의 비교 및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 (20): 2020

      8 이규엽, "디지털 무역규범의 국제 논의 동향: WTO 전자상거래 협상과미 개인정보보호법 입법안을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 (19): 2019

      9 이재훈, "데이터3법 개정과 연구개발정보 활용을 위한 제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

      10 이양복, "데이터 3법의 분석과 향후과제" 한국비교사법학회 27 (27): 423-465, 2020

      11 김동근, "데이터 3법 이후 마이데이터 보호에 관한 법적 연구" 법학연구소 36 (36): 63-91, 2020

      12 정혜영, "개인정보보호법의 내용과 체계에 관한 분석" 한국비교공법학회 12 (12): 407-435, 2011

      13 신종철, "개인정보보호법 해설" 진한엠앤비 2020

      14 김일환, "개인정보보호 법제 정합성 강화를 위한 고찰- 정보통신망법과 신용정보법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42 (42): 253-287, 2018

      15 전승재,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손해배상 제도에 관한 고찰- 신용카드 개인정보 유출 소송을 통해 드러난 제도적 한계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11 (11): 28-51, 2018

      16 권건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법률 및 제도의 정비" 국회사무처 2014

      17 岡村久道, "個人情報保護法" 商事法務 2017

      18 Gurr, Alison, "Target-ing Data Scurity Breaches" 2014

      19 Miles Parks, "Target Offers $10 Million Settlement in Data Breach Lawsuit"

      20 Maggie McGrath, "Target Data Breach Spilled Info On As Many As 70 Million Customers"

      21 Liana B. Baker, "Sony Playstation suffers massive data breach"

      22 "Security Breach Notification Laws, NAT’L CONF. ST. LEGISLATURES"

      23 Pierce, Justin, "NOTES: Shifting Data Breach Liability: A Congressional Approach" 57 : 2016

      24 "In re Target Corporation Customer Data Security Breach Litigation (Relates to Consumer Cases)" MDL 2014

      25 John Kell, "Home Depot facing dozens of data breach lawsuits"

      26 Cecilia Kang, "Facebook Says Cambridge Analytica Harvested Data of Up to 87 Million Users"

      27 손영화, "EU 일반데이터보호규정(GDPR)에 대한 우리나라 기업의 대응방안" 한국비교사법학회 26 (26): 413-452, 2019

      28 오태현, "EU 개인정보보호법(GDPR) 발효: 평가 및 대응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8 (18): 2018

      29 박노형, "EU GDPR상 프로파일링 규정의 법적 분석" 안암법학회 (56) : 283-315, 2018

      30 권건보, "EU GDPR 제정 과정 및 그 이후 입법동향에 관한 연구" 미국헌법학회 29 (29): 1-38, 2018

      31 Risk Placement Services, Inc, "Data Powered by Risk Basad Security, Data Breach QuickView Report" 2017

      32 N. ERIC WEISS, "CONG. RESEARCH SERV.(CRS), R43496, THE TARGET AND OTHER FINANCIAL DATA BREACHES: FREQUENTLY ASKED QUESTIONS"

      33 European Commission, "A Comprehensive Approach on Personal Data Protection in the European Union"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0-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Law & Policy Institute -> The Institute of Law & Policy Jeju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4-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과정책연구소 -> 법과정책연구원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10-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Law & Policy Review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소 -> 법과정책연구소
      영문명 : 미등록 -> Law & Policy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1 0.735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