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베트남전쟁 위문편지를 둘러싼 담론과 현실 = The Discourse and Reality of Vietnam War Consolatory Let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379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베트남전쟁 위문편지를 둘러싼 담론과 현실에 대해 살펴보았다. 당시 위문편지는 여학생, 가정부인, 연예인, 일반인 등이 비/자발적으로 작성하였는데, 베트남전쟁에 참전했던 파월장병 등으로 표현되는 익명의 한국 남성을 향해 발신되고 있었다.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위문편지의 실제 내용과 발신자, 수신자에 대한 자료를 통해 위문편지의 상호교환이 행위자의 개인적인 차원이 아니라 사회적인 차원에서 수행되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위문편지를 쓰는 한국 여성은 위문편지의 형식과 문체 등에서 여동생/어머니/연인이라는 주체 위치에서 발화되었다. 한국 여성/남성에게 위문편지를 매개체로 하나의 국민 혹은 민족이 상상적으로 구성되는 담론의 효과가 생산되었던 것이다. 그렇지만 베트남전쟁 위문편지는 파월장병의 입장과 목소리를 통해 담론과 현실 사이에서 일정한 간극이 드러나기도 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베트남전쟁 위문편지를 둘러싼 담론과 현실에 대해 살펴보았다. 당시 위문편지는 여학생, 가정부인, 연예인, 일반인 등이 비/자발적으로 작성하였는데, 베트남전쟁에 참전했던 파...

      이 연구는 베트남전쟁 위문편지를 둘러싼 담론과 현실에 대해 살펴보았다. 당시 위문편지는 여학생, 가정부인, 연예인, 일반인 등이 비/자발적으로 작성하였는데, 베트남전쟁에 참전했던 파월장병 등으로 표현되는 익명의 한국 남성을 향해 발신되고 있었다.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위문편지의 실제 내용과 발신자, 수신자에 대한 자료를 통해 위문편지의 상호교환이 행위자의 개인적인 차원이 아니라 사회적인 차원에서 수행되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위문편지를 쓰는 한국 여성은 위문편지의 형식과 문체 등에서 여동생/어머니/연인이라는 주체 위치에서 발화되었다. 한국 여성/남성에게 위문편지를 매개체로 하나의 국민 혹은 민족이 상상적으로 구성되는 담론의 효과가 생산되었던 것이다. 그렇지만 베트남전쟁 위문편지는 파월장병의 입장과 목소리를 통해 담론과 현실 사이에서 일정한 간극이 드러나기도 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discourse and reality of Vietnam War consolatory letters. At the time, consolatory letters were written involuntarily/ voluntarily by female students, housewives, celebrities, and ordinary people, and were sent to anonymous Korean men addressed as Soldier Powell, who participated in the Vietnam War. Through data on the actual contents of the consolatory letters and the sender and recipient, which were not well known until now, it was discussed that the mutual exchange of consolatory letters were carried out at a social level, not at the personal level of the actors themselves. Korean women writing consolatory letters were written from the position of sister/mother/lover in the format and writing style of the consolatory letters. For Korean women and men, a discourse in which a nation or nation was imagined through the medium of these letters. However, the figure of Soldier Powell revealed a gap between discourse and reality.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discourse and reality of Vietnam War consolatory letters. At the time, consolatory letters were written involuntarily/ voluntarily by female students, housewives, celebrities, and ordinary people, and were sent to anonymous Kor...

      This study examines the discourse and reality of Vietnam War consolatory letters. At the time, consolatory letters were written involuntarily/ voluntarily by female students, housewives, celebrities, and ordinary people, and were sent to anonymous Korean men addressed as Soldier Powell, who participated in the Vietnam War. Through data on the actual contents of the consolatory letters and the sender and recipient, which were not well known until now, it was discussed that the mutual exchange of consolatory letters were carried out at a social level, not at the personal level of the actors themselves. Korean women writing consolatory letters were written from the position of sister/mother/lover in the format and writing style of the consolatory letters. For Korean women and men, a discourse in which a nation or nation was imagined through the medium of these letters. However, the figure of Soldier Powell revealed a gap between discourse and realit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