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 개발 = Development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5997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ddiction is an issue that affects not only the individual, but also their family and environment; thus, it is essential for social workers to intervene. Social workers must have a certain level of knowledge about addiction to be able to prevent or mitigate the harm caused by addiction.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First,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were explored. In addition, a total of 121 final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the researcher's review and the content validity review of addiction problem experts and social workers practicing in the field. Following this, details of 506 cases collected from a survey of social worker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consisting of 3 factors and 27 questions was developed. The three factors wer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The reliability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was .970, and that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was .941 to .970, which was found to be very high, exceeding the conservative recommendation standard of .70.
      Second, the validity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was evaluated for convergence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convergence validit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self-efficacy, direct service work ratio related to addiction problems, and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direct service work ratio related to addiction problems, and job satisfaction.
      The discriminant validit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gender and age, which a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pected to be theoretically unrelated or have a low correlation to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gende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age was weak, almost non-existent, or negligible in terms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hird,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was identified. First, examining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based on the type of license held showed that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differed based on the social workers’ license type, a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license, medical social workers’ license, or an addiction-related license. The average score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was higher for those with a social workers’ first-class license than for those with a second-level license, for those with a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or medical social workers’ license than for those without a license, and for those with an addiction-related license than for those without.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Next, examining the level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education related to addiction problems, the group that completed addiction-related education at undergraduate or graduate school level had a higher averag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than the group that did not, and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imilarly, examining the level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addiction-related education over the preceding year demonstrated that the averag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training group, and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ccording to the working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was also investigated.
      Analysing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by dividing metropolitan area and non-metropolitan area demonstrated that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survey subjects working in the non-metropolitan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orking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imilarly, classifying the participants based on the institutions where they worked addiction-specialized institutions, hospitals and mental health institutions, and other social welfare institutions showed that the average competency score of social workers at addiction-specialized institutions was higher than those working at hospitals or mental health institutions, and other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amin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total experience reveal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level of social workers with less than 2 years of total experience and social workers with more than 10 years. In addition, examin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irect service for addiction problems revealed that survey subjects with a direct service ratio of addiction problems of 50% or more had a higher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than those with a direct service ratio of less than 50%;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standard score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was presented. This showed that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who have a professional license related to addiction and carry out direct service work at a certain level, meets the standard score. Applying these standards,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standard score was determined as follows. A score of less than 72 is a level that requires education or training to have a minimum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 score of 72 or more to less than 90 is a very low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90 or more to less than 105 points is low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105 to 106 is adequat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107 or more to less than 120 is a high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nd a score of 120 or higher were presented as a very high level.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developed a scale that ensured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e measurement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which has previously not been developed in Korea.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enabled the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including in substance addiction and behavioral addiction, over three factors: knowledge, technology, and attitude.
      Activation of research on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accumulation of theories can be expected.
      First, by using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grasp the overall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based on this, a plan to increase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can be prepared. Second, using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related to addiction problems provided to social workers. Third, the levels of the three factors constituting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can be foun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other factors.
      To increase the use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continuous evaluation of this scale should be carried ou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analyze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engaged in various social welfare institutions. Follow-up studies should specifically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the effects and ripple effects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repeatedly measure the standard score for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presented in this study and supplement the standard score through it. Follow-up studies must provide more specific and valid reference scores by repeatedly measuring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accumulating various data.
      번역하기

      Addiction is an issue that affects not only the individual, but also their family and environment; thus, it is essential for social workers to intervene. Social workers must have a certain level of knowledge about addiction to be able to prevent or mi...

      Addiction is an issue that affects not only the individual, but also their family and environment; thus, it is essential for social workers to intervene. Social workers must have a certain level of knowledge about addiction to be able to prevent or mitigate the harm caused by addiction.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First,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were explored. In addition, a total of 121 final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the researcher's review and the content validity review of addiction problem experts and social workers practicing in the field. Following this, details of 506 cases collected from a survey of social worker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consisting of 3 factors and 27 questions was developed. The three factors wer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The reliability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was .970, and that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was .941 to .970, which was found to be very high, exceeding the conservative recommendation standard of .70.
      Second, the validity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was evaluated for convergence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convergence validit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self-efficacy, direct service work ratio related to addiction problems, and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direct service work ratio related to addiction problems, and job satisfaction.
      The discriminant validit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gender and age, which a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pected to be theoretically unrelated or have a low correlation to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gende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age was weak, almost non-existent, or negligible in terms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hird,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was identified. First, examining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based on the type of license held showed that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differed based on the social workers’ license type, a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license, medical social workers’ license, or an addiction-related license. The average score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was higher for those with a social workers’ first-class license than for those with a second-level license, for those with a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or medical social workers’ license than for those without a license, and for those with an addiction-related license than for those without.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Next, examining the level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education related to addiction problems, the group that completed addiction-related education at undergraduate or graduate school level had a higher averag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than the group that did not, and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imilarly, examining the level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addiction-related education over the preceding year demonstrated that the averag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training group, and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ccording to the working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was also investigated.
      Analysing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by dividing metropolitan area and non-metropolitan area demonstrated that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survey subjects working in the non-metropolitan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orking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imilarly, classifying the participants based on the institutions where they worked addiction-specialized institutions, hospitals and mental health institutions, and other social welfare institutions showed that the average competency score of social workers at addiction-specialized institutions was higher than those working at hospitals or mental health institutions, and other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amin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total experience reveal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level of social workers with less than 2 years of total experience and social workers with more than 10 years. In addition, examin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irect service for addiction problems revealed that survey subjects with a direct service ratio of addiction problems of 50% or more had a higher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than those with a direct service ratio of less than 50%;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standard score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was presented. This showed that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who have a professional license related to addiction and carry out direct service work at a certain level, meets the standard score. Applying these standards,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standard score was determined as follows. A score of less than 72 is a level that requires education or training to have a minimum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 score of 72 or more to less than 90 is a very low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90 or more to less than 105 points is low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105 to 106 is adequat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107 or more to less than 120 is a high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nd a score of 120 or higher were presented as a very high level.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developed a scale that ensured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e measurement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which has previously not been developed in Korea.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enabled the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including in substance addiction and behavioral addiction, over three factors: knowledge, technology, and attitude.
      Activation of research on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accumulation of theories can be expected.
      First, by using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grasp the overall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based on this, a plan to increase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can be prepared. Second, using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related to addiction problems provided to social workers. Third, the levels of the three factors constituting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can be foun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other factors.
      To increase the use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continuous evaluation of this scale should be carried ou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analyze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engaged in various social welfare institutions. Follow-up studies should specifically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the effects and ripple effects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repeatedly measure the standard score for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presented in this study and supplement the standard score through it. Follow-up studies must provide more specific and valid reference scores by repeatedly measuring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accumulating various dat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독은 중독 당사자 개인뿐 아니라 가족과 주변 환경까지 영향을 주는 문제로 사회복지사의 개입이 필수적이다. 사회복지사는 중독에 대한 일정 수준의 지식을 갖추고, 중독문제 클라이언트에게 적절하게 개입하여 중독으로 인한 폐해를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측정 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선행연구 검토를 토대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연구자의 검토, 중독문제 전문가와 실천현장 사회복지사의 내용타당도 검토를 통해서 총 121개의 최종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그 후 사회복지사 대상 설문조사에서 수집한 506개의 사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3요인 27문항으로 구성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를 개발하였다. 3요인은 지식, 기술, 태도로 명명하였다. 신뢰도 분석 결과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970, 요인별 신뢰도는 .941∼.970으로 보수적 권고기준인 .70을 초과하여 신뢰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의 타당도는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평가하였다. 수렴타당도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과 자기효능감, 중독문제 관련 직접서비스 업무비율, 직무만족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은 자기효능감, 중독문제 관련 직접서비스 업무비율, 직무만족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별타당도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과 이론적으로 관계가 없거나 낮을 것으로 예상한 인구 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과 성별 간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리고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과 연령 간 상관관계는 상관계수 기준으로 볼 때 약하거나 거의 없는 수준, 무시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의 수준을 파악하였다. 먼저 자격증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알아본 결과 사회복지사 자격증 급수, 정신건강사회복지사 또는 의료사회복지사 자격증 유무, 중독 관련 자격증 유무에 따라서 중독개입역량의 수준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 소지자가 2급 자격증 소지자보다, 정신건강사회복지사나 의료사회복지사 자격증 소지자가 그렇지 않은 사회복지사보다, 그리고 중독 관련 자격증 소지자가 그렇지 않은 사회복지사보다 중독개입역량의 평균 점수가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중독문제 관련 교육 이수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알아본 결과 학부나 대학원에서 중독문제 교육을 이수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중독개입역량의 평균이 더 높았으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그리고 지난 1년 동안 중독문제 관련 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중독개입역량의 수준을 알아본 결과 교육을 참여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중독개입역량의 평균이 더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조사대상자 근무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도 알아보았다. 조사대상자의 근무지역을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구별하여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파악한 결과 비수도권에서 근무하는 조사대상자의 중독개입역량 수준이 수도권에서 근무하는 조사대상자보다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근무 기관을 중독전문기관, 병원 및 정신건강기관, 그리고 그 외 사회복지기관으로 구별하여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파악한 결과 중독전문기관 근무자의 평균 점수가 병원 및 정신건강기관 근무자와 그 외 사회복지기관 근무자의 평균 점수보다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다음으로 총 경력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차이를 알아본 결과 총 경력 2년 미만 종사자와 10년 이상 종사자의 중독개입역량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중독문제 직접서비스 업무비율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알아본 결과 중독문제 직접서비스 업무비율이 50% 이상인 조사대상자가 업무비율 50% 미만인 조사대상자보다 중독개입역량 수준이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독 관련 전문 자격증을 갖추고 일정 수준 이상의 직접서비스 업무를 진행하는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 수준이 기준 점수 제시에 부합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기준을 적용하여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135점 만점)으로 72점 미만은 ‘최소 수준의 중독개입역량을 갖추기 위한 교육이나 훈련이 필요한 수준’, 72점 이상∼90점 미만은 ‘중독개입역량이 매우 낮은 수준’, 90점 이상∼105점 미만은 ‘중독개입역량이 낮은 수준’, 105점∼106점은 ‘중독개입역량이 적절한 수준’, 107점 이상∼120점 미만은 ‘중독개입역량이 높은 수준’, 120점 이상은 ‘아주 높은 수준’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개발되지 않은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를 통해서 물질중독과 행위중독을 포괄하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을 지식, 기술, 태도 등 3요인에 걸쳐서 통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관련 연구의 활성화와 이론의 축적을 기대할 수 있다. 우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 도구를 활용하면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전반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를 활용하면 사회복지사에게 제공되는 중독문제 관련 교육훈련이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 향상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세 번째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을 구성하는 3개 요인의 수준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수준과 다른 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할 수 있다.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 척도에 관한 지속적인 평가를 실행해야 한다. 그리고 다양한 사회복지기관에서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중독개입역량 수준 파악과 분석이 필요하다. 후속 연구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이 미치는 영향과 파급 효과를 구체적으로 조사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에 관한 반복 측정과 이를 통한 기준 점수 보완이 필요하다. 후속 연구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수준의 반복 측정과 이를 통한 다양한 자료의 축적으로 기준 점수를 보다 구체적이고 타당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중독은 중독 당사자 개인뿐 아니라 가족과 주변 환경까지 영향을 주는 문제로 사회복지사의 개입이 필수적이다. 사회복지사는 중독에 대한 일정 수준의 지식을 갖추고, 중독문제 클라이언...

      중독은 중독 당사자 개인뿐 아니라 가족과 주변 환경까지 영향을 주는 문제로 사회복지사의 개입이 필수적이다. 사회복지사는 중독에 대한 일정 수준의 지식을 갖추고, 중독문제 클라이언트에게 적절하게 개입하여 중독으로 인한 폐해를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측정 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선행연구 검토를 토대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연구자의 검토, 중독문제 전문가와 실천현장 사회복지사의 내용타당도 검토를 통해서 총 121개의 최종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그 후 사회복지사 대상 설문조사에서 수집한 506개의 사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3요인 27문항으로 구성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를 개발하였다. 3요인은 지식, 기술, 태도로 명명하였다. 신뢰도 분석 결과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970, 요인별 신뢰도는 .941∼.970으로 보수적 권고기준인 .70을 초과하여 신뢰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의 타당도는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평가하였다. 수렴타당도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과 자기효능감, 중독문제 관련 직접서비스 업무비율, 직무만족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은 자기효능감, 중독문제 관련 직접서비스 업무비율, 직무만족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별타당도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과 이론적으로 관계가 없거나 낮을 것으로 예상한 인구 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과 성별 간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리고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과 연령 간 상관관계는 상관계수 기준으로 볼 때 약하거나 거의 없는 수준, 무시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의 수준을 파악하였다. 먼저 자격증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알아본 결과 사회복지사 자격증 급수, 정신건강사회복지사 또는 의료사회복지사 자격증 유무, 중독 관련 자격증 유무에 따라서 중독개입역량의 수준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 소지자가 2급 자격증 소지자보다, 정신건강사회복지사나 의료사회복지사 자격증 소지자가 그렇지 않은 사회복지사보다, 그리고 중독 관련 자격증 소지자가 그렇지 않은 사회복지사보다 중독개입역량의 평균 점수가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중독문제 관련 교육 이수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알아본 결과 학부나 대학원에서 중독문제 교육을 이수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중독개입역량의 평균이 더 높았으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그리고 지난 1년 동안 중독문제 관련 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중독개입역량의 수준을 알아본 결과 교육을 참여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중독개입역량의 평균이 더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조사대상자 근무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도 알아보았다. 조사대상자의 근무지역을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구별하여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파악한 결과 비수도권에서 근무하는 조사대상자의 중독개입역량 수준이 수도권에서 근무하는 조사대상자보다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근무 기관을 중독전문기관, 병원 및 정신건강기관, 그리고 그 외 사회복지기관으로 구별하여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파악한 결과 중독전문기관 근무자의 평균 점수가 병원 및 정신건강기관 근무자와 그 외 사회복지기관 근무자의 평균 점수보다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다음으로 총 경력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차이를 알아본 결과 총 경력 2년 미만 종사자와 10년 이상 종사자의 중독개입역량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중독문제 직접서비스 업무비율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알아본 결과 중독문제 직접서비스 업무비율이 50% 이상인 조사대상자가 업무비율 50% 미만인 조사대상자보다 중독개입역량 수준이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독 관련 전문 자격증을 갖추고 일정 수준 이상의 직접서비스 업무를 진행하는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 수준이 기준 점수 제시에 부합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기준을 적용하여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135점 만점)으로 72점 미만은 ‘최소 수준의 중독개입역량을 갖추기 위한 교육이나 훈련이 필요한 수준’, 72점 이상∼90점 미만은 ‘중독개입역량이 매우 낮은 수준’, 90점 이상∼105점 미만은 ‘중독개입역량이 낮은 수준’, 105점∼106점은 ‘중독개입역량이 적절한 수준’, 107점 이상∼120점 미만은 ‘중독개입역량이 높은 수준’, 120점 이상은 ‘아주 높은 수준’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개발되지 않은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를 통해서 물질중독과 행위중독을 포괄하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을 지식, 기술, 태도 등 3요인에 걸쳐서 통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관련 연구의 활성화와 이론의 축적을 기대할 수 있다. 우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 도구를 활용하면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전반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를 활용하면 사회복지사에게 제공되는 중독문제 관련 교육훈련이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 향상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세 번째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을 구성하는 3개 요인의 수준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수준과 다른 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할 수 있다.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 척도에 관한 지속적인 평가를 실행해야 한다. 그리고 다양한 사회복지기관에서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중독개입역량 수준 파악과 분석이 필요하다. 후속 연구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이 미치는 영향과 파급 효과를 구체적으로 조사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에 관한 반복 측정과 이를 통한 기준 점수 보완이 필요하다. 후속 연구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수준의 반복 측정과 이를 통한 다양한 자료의 축적으로 기준 점수를 보다 구체적이고 타당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의 목적과 연구문제 9
      • Ⅱ. 이론적 배경 10
      • Ⅰ.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의 목적과 연구문제 9
      • Ⅱ. 이론적 배경 10
      • 제1절 중독과 사회복지실천 10
      • 1. 중독의 개념과 유형 10
      • 2. 현대사회의 중독문제와 쟁점 16
      • 3. 중독문제와 사회복지사 19
      • 제2절 역량 26
      • 1. 역량의 개념 26
      • 2. 역량에 대한 관점 29
      • 3. 역량모형 31
      • 제3절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34
      • 1.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의 개념 정의 35
      • 2.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의 구성요인 36
      • 1) 사회복지사 역량 관련 선행연구 고찰 37
      • 2) 중독개입역량 관련 선행연구 고찰 47
      • 3)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구성요인 도출 48
      • 3.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측정을 위한 선행연구 분석 49
      • 1) 중독개입역량 측정을 다룬 선행연구 50
      • 2) 사회복지사 역량 측정을 다룬 선행연구 53
      • Ⅲ. 연구방법 61
      • 제1절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측정 도구 개발절차 61
      • 제2절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예비문항 구성절차 63
      • 1.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의 이론적 개념 구성 63
      • 2.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예비문항 개발 66
      • 1) 기존 측정 도구에서 문항 수집과 선별 67
      • (1) 인지적 역량 관련 측정 문항 67
      • (2) 기능적 역량 관련 측정 문항 71
      • (3) 태도 및 가치 역량 관련 측정 문항 74
      • 2) 1차 예비문항 개발 77
      • 3. 내용타당도 평가 77
      • 4. 최종 예비문항 개발 77
      • 제3절 조사대상자 및 자료수집방법 80
      • 제4절 자료분석방법 81
      • 1. 요인분석 81
      • 2. 신뢰도 평가 82
      • 3. 타당도 평가 83
      • 4.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85
      • 5.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 탐색 86
      • Ⅳ. 연구결과 87
      •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87
      • 제2절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89
      • 1.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89
      • 1) 기본 가정의 확인 89
      • 2) 요인 수 결정 90
      • 3) 3요인 모형 후속 분석 98
      • 4) 요인명 부여 101
      • 2. 신뢰도 평가결과 106
      • 3. 타당도 평가결과 108
      • 1) 수렴타당도 평가결과 108
      • 2) 판별타당도 평가결과 110
      • 제3절 조사대상자의 중독개입역량 수준 112
      • 1. 조사대상자의 중독개입역량 수준 112
      • 2.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113
      • 1) 자격증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113
      • 2) 중독문제 관련 교육 이수 여부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116
      • 3) 조사대상자 근무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118
      • 4) 조사대상자 특성이 중독개입역량 수준에 미치는 영향 122
      • 제4절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 탐색 128
      • Ⅴ. 결론 및 제언 133
      • 제1절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133
      • 1. 연구결과 요약 133
      • 2. 논의 136
      • 제2절 연구의 함의 140
      • 1. 이론적 함의 140
      • 2. 실천적, 정책적 함의 141
      •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43
      • 참고문헌 146
      • 부 록 171
      • 1. 설문지 171
      • 2. 최종 예비문항 190
      • 3. 최종 예비문항 분포 196
      • Abstract 209Ⅰ.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의 목적과 연구문제 9
      • Ⅱ. 이론적 배경 10
      • 제1절 중독과 사회복지실천 10
      • 1. 중독의 개념과 유형 10
      • 2. 현대사회의 중독문제와 쟁점 16
      • 3. 중독문제와 사회복지사 19
      • 제2절 역량 26
      • 1. 역량의 개념 26
      • 2. 역량에 대한 관점 29
      • 3. 역량모형 31
      • 제3절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34
      • 1.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의 개념 정의 35
      • 2.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의 구성요인 36
      • 1) 사회복지사 역량 관련 선행연구 고찰 37
      • 2) 중독개입역량 관련 선행연구 고찰 47
      • 3)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구성요인 도출 48
      • 3.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측정을 위한 선행연구 분석 49
      • 1) 중독개입역량 측정을 다룬 선행연구 50
      • 2) 사회복지사 역량 측정을 다룬 선행연구 53
      • Ⅲ. 연구방법 61
      • 제1절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측정 도구 개발절차 61
      • 제2절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예비문항 구성절차 63
      • 1.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의 이론적 개념 구성 63
      • 2.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예비문항 개발 66
      • 1) 기존 측정 도구에서 문항 수집과 선별 67
      • (1) 인지적 역량 관련 측정 문항 67
      • (2) 기능적 역량 관련 측정 문항 71
      • (3) 태도 및 가치 역량 관련 측정 문항 74
      • 2) 1차 예비문항 개발 77
      • 3. 내용타당도 평가 77
      • 4. 최종 예비문항 개발 77
      • 제3절 조사대상자 및 자료수집방법 80
      • 제4절 자료분석방법 81
      • 1. 요인분석 81
      • 2. 신뢰도 평가 82
      • 3. 타당도 평가 83
      • 4.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85
      • 5.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 탐색 86
      • Ⅳ. 연구결과 87
      •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87
      • 제2절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89
      • 1.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89
      • 1) 기본 가정의 확인 89
      • 2) 요인 수 결정 90
      • 3) 3요인 모형 후속 분석 98
      • 4) 요인명 부여 101
      • 2. 신뢰도 평가결과 106
      • 3. 타당도 평가결과 108
      • 1) 수렴타당도 평가결과 108
      • 2) 판별타당도 평가결과 110
      • 제3절 조사대상자의 중독개입역량 수준 112
      • 1. 조사대상자의 중독개입역량 수준 112
      • 2.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113
      • 1) 자격증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113
      • 2) 중독문제 관련 교육 이수 여부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116
      • 3) 조사대상자 근무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118
      • 4) 조사대상자 특성이 중독개입역량 수준에 미치는 영향 122
      • 제4절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 탐색 128
      • Ⅴ. 결론 및 제언 133
      • 제1절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133
      • 1. 연구결과 요약 133
      • 2. 논의 136
      • 제2절 연구의 함의 140
      • 1. 이론적 함의 140
      • 2. 실천적, 정책적 함의 141
      •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43
      • 참고문헌 146
      • 부 록 171
      • 1. 설문지 171
      • 2. 최종 예비문항 190
      • 3. 최종 예비문항 분포 196
      • Ⅵ. 영문 논문제출서 207
      • Ⅶ. 영문 인준서 208
      • Ⅷ. 영문 초록(ABSTRACT) 20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사회조사론, 이정희, 김기덕, 정익중, 김용석, 전종설, 서울: 박영스토리, , 2016

      2. 중독치유복지, 김성이, 서울: 양서원, , 2013

      3. SPSS 18.0 매뉴얼, 이학식, 임지훈, 서울: 집현재, , 2011

      4. Too good to be true, Sparrow , P. R., 2 ( 24 ) : 22-27 ., , 1996

      5. 요인분석의 기초, 이순묵, 서울: 교육과학사, , 2006

      6. 첫걸음 기초통계, 나종민, 이기종, 서울: 학지사, , 2019

      7. 체계 경영학 사전, 김원주, 서울: 법문사, , 1974

      8. Improving work performance, Sisson , G. R. , and Swanson , R. A., 30 ( 5 ) : 16-20 ., , 1990

      9. The meanings of competency, Hoffmann , T., 23 ( 6 ) : 275-286 ., , 1999

      10. Social Work Values and Ethics, Reamer , F , G., 4th ed, , 2013

      1. 사회조사론, 이정희, 김기덕, 정익중, 김용석, 전종설, 서울: 박영스토리, , 2016

      2. 중독치유복지, 김성이, 서울: 양서원, , 2013

      3. SPSS 18.0 매뉴얼, 이학식, 임지훈, 서울: 집현재, , 2011

      4. Too good to be true, Sparrow , P. R., 2 ( 24 ) : 22-27 ., , 1996

      5. 요인분석의 기초, 이순묵, 서울: 교육과학사, , 2006

      6. 첫걸음 기초통계, 나종민, 이기종, 서울: 학지사, , 2019

      7. 체계 경영학 사전, 김원주, 서울: 법문사, , 1974

      8. Improving work performance, Sisson , G. R. , and Swanson , R. A., 30 ( 5 ) : 16-20 ., , 1990

      9. The meanings of competency, Hoffmann , T., 23 ( 6 ) : 275-286 ., , 1999

      10. Social Work Values and Ethics, Reamer , F , G., 4th ed, , 2013

      11.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Tabachnick , B. G. , and Fidell , L. S., 5th ed, , 2007

      12. 마우스로 잡는 SPSS 24.0, 우수명, 경기: 양서원, , 2018

      13. 사회복지조사방법론(2판), 김영종, 서울: 학지사, , 2009

      14. 사회복 지실천기술론(2판), 이혜경, 한인영, 최정숙, 장수미, 이영선, 홍현미라, 박형원, 김주현, 서울: 학지사, , 2017

      15. 쉽게 배우는 SPSS 자료분석, 최혜진, 송연숙, 손원경, 황해익, 경기: 공동체, , 2017

      16. 사회복지 가치 척도의 개발, 고은정, 김용석, 한국사회복지학, 66(1): 277-306, , 2014

      17. Introduction to behavioral addictions, Grant , J. E. , Potenza , M. N. , Weinstein , A. , and Gorelick , D. A., 36 ( 5 ) , 233-241 ., , 2010

      18. Career competencies for career success, Kuijpers , M. A. , Schyns , B. , and Scheerens , J. ,, 55 ( 2 ) : 168-178 ., , 2006

      19. Online therapy for addictive behaviors, Griffiths , M., 8 ( 6 ) : 555-561, , 2005

      20. 지형공간 정보체계 용어사전, 이강원, 손호웅, 서울: 구미서관, , 2016

      21.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Brown , M. W. , and Cudeck , R., 21 , 230-258, , 1992

      22.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3판), 김용석, 노충래, 엄명용, 서울: 학지사, , 2015

      23. Great ideas revisited : Competency Models, McLagan , P., 50 ( 1 ) : 60-65, , 1996

      24. User 's guide to correlation coefficients, Akoglu , H., 18 : 91-93, , 2018

      25. 4대 중독 원인 및 중독예방 정책, 이해국, 이보혜, 보건복지포럼, 200: 30-42, , 2013

      26. 게임중독 상담자 역량모형 개발, 김동현, 부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21

      27. 도박중독 상담자 역량모형 개발, 양정하,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9

      28. 성범죄자의 성중독에 관한 연구, 김태곤, 한국중독범죄학회보, 4(2): 48-74, , 2014

      29. Scale development : Theory and applications, Devellis , R. F., 3rd ed, , 2012

      30. 관계중독 개념 도출 델파 이 연구, 정여주, 김미림, 윤서연, 김옥미, 이도연, 열린교육연구, 27(3): 199-218, , 2019

      31. 진로상담전문가의 역량모형 개발, 유현실,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9

      32.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 가치 지향, 김용석, 서울: 집문당, , 2015

      33. 캐나다 정부의 역량 중심 인사관리, 신종국, 인사행정, 6: 64-67, , 2001

      34. The future of social work practice in addictions, DiNitto , D. M., 6 ( 1 ) : 202-209 ., , 2005

      35. 노숙자의 정신건강문제에 관한 연구, 김성현, 서미경, 권구영, 정신보 건과 사회사업, 8: 25-46, , 1999

      36. 약물중독자의 지역사회 내 회복경험, 한인영, 백형의, 정신보건과 사 회사업, 42(3): 151-177, , 2014

      37. Motivation reconsidered : The concept of competence, Robert , W . White., 66 ( 5 ) , 297-333 ., , 1959

      38. Motivation reconsidered : The concept of competence, White , R. W., 66 ( 5 ) : 297-333 ., , 1959

      39. Relationship competencies in child welfare services, Drake , B., 39 ( 5 ) : 595-602, , 1994

      40.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McClelland , D. C., 28 ( 1 ) : 1-14 ., , 1973

      41. Towards a holistic model of professional competence, Cheetham , G. , and Chivers , G., 20 ( 5 ) : 20-30, , 1996

      42.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의 예비적 개발, 김용석, 한국사회복지학, 64(4): 57-87, , 2012

      43.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성향에 관한 연구, 한인영, 정신보건과 사회사 업, 11: 78-94, , 2001

      44. 자활실무자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 연구, 김성우, 이인재, 한국사회복 지행정학, 14(2): 1-25, , 2012

      45.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 APA ), 5th ed, , 2013

      46. Family preservation : a movement in need of definition, Ronnau , J. P. , and Sallee , A. L., 3, , 1992

      47.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손경옥, 서울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 2014

      48. 청소년 인터넷중독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김종순, 동아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 2007

      49. 학교사회복지사의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 이홍직, 생명연구, 52: 37-55, , 2019

      50. 정신건강복지 기본계획(2021-2025) 수립연구, 장은진 , 윤미경 , 채수미 , 전준희, 백종우 , 문용훈 , 김성완 , 고제이, 최진영, 강혜리, 이해국, 고숙자 , 윤시몬, 홍선미, 오미 애 , 김경희, 김문근 , 전진아 , 강상경 , 채수미,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 원, , 2019

      51.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수준과 영향요인, 김덕희, 김성은, 정신간호 학회지, 22(3): 159-168, , 2013

      52. 알코올상담센터 사례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최은정, 양정남, 논문집 (동신대학교 저널), 15: 227-262, , 2005

      53. 역량기반 사회복지교육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은선경, 한국산학기술 학회논문지, 21(8): 359-369, , 2020

      54. 『사회연결망 기반의 중독 회 복 지원 방안』, 이용주, 전진아 , 이난희 , 김낭희, 오미애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18

      55. 관계중독에 대한 개념 및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송연주, 가족과 가족 치료, 27(4): 699-712, , 2019

      56. 원조전문직을 위한 문화적역량 척도개발 연구, 최소연, 한국지역사 회복지학, 0(35): 23-53, , 2010

      57. 요인 개수 결정을 위한 평행분석의 정확성 평가, 임상돈, 장승민, 한 국심리학회지: 일반, 36(4): 441-475, , 2017

      58.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사회복지사 역량모델 개발, 최혜경,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20

      59. Measuring video gambling : Instrument development and validation, Pike , C. K., 12 ( 3 ) : 389-407, , 2002

      60. 남성 마약중독자의 회복활동가로서의 생애 연구, 강선경, 최미경, 한 국사회복지학, 72(2): 231-258, , 2020

      61. 사회복지관 슈퍼바이저의 역량분석에 관한 연구, 윤정혜, 안정선, 한 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2): 353-366, , 2011

      62. Developing geriatric social work competencies for field education, Damron-Rodriguez , J. , Lawrance , F. P. , Barnett , D. , and Simmons , J. ,, 48 ( 1/2 ) : 139-160 ., , 2006

      63. 통일시대 사회복지실천 역량 측정도구 개발 연 구, 최혜지, 김학령, 양옥경, 보건사회연구, 40(3): 592-628, , 2020

      64.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guidelines for determining model fit, Hooper , D. , Coughlan , J. , and R. Mullen , M., 6 ( 1 ) : 53-60, , 2008

      65. 교정과 사회복지의 연결다리로서 한국형 약물병원, 김병수, 법학연 구, 59(1): 297-325, , 2018

      66.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역량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이종운, 계명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 2017

      67.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instruments used in research, Carole , L. K. , and Almut , G. W., 65 ( 23 ) : 2276-2284 ., , 2008

      68. 이주노동자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손가현, 박향경, 양옥경,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5: 141-175, , 2010

      69. Peer coaching : A relational process for accelerating career learning, Parker , P. , Hall , D. T. , and Kram , K. E., 7 ( 4 ) :487-503 ., , 2008

      70. Professional suitability for social work practice : a factor analysis, Tam , D. M. Y. , Coleman , H. , and Boye , K-W. ,, 22 ( 2 ) : 227-239 ., , 2012

      71.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역량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여진, 이지연, 조선희, 보건사회연구, 31(3): 251-283, , 2011

      72.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의 사례관리실태 및 쟁점, 최은정, 김용진, 조혜정,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0: 117-144, , 2015

      73. 직무역량을 기반으로 한 관리직 분류의 적절성 탐색, 이종구, 한국 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3(4): 783-801, , 2010

      74. Organizational awareness : a missing generalist social work competency, Silverman , E., 60 ( 1 ) : 93-95 ., , 2015

      75.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홍세희,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 2000

      76. 마약류범죄 분석을 통한 마약중독자 사회복귀 방향성, 박성수, 교정 담론, 13(2): 227-258, , 2019

      77. 사회복지기관 사회복지사의 역량분석 및 교육 방향성, 안정선, 임상 사회사업연구, 6(2): 67-84, , 2009

      78.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의 사례관리 현황 및 수행 요인, 조혜정, 김용진, 최은정,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17(2): 35-49, , 2016

      79.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핵심역량은 무엇 인가?, 전종설, 김미옥, 장수미,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4: 1-35, , 2015

      80. Mental disorders as networks of problems : A review of recent insights ,, Fried , E. I. , van Borkulo , C. D. , Cramer , A. O. , Boschloo , L. , and Schoevers , R. A., 52 ( 1 ) : 1-10 ., , 2017

      81. 단축형 단도박 자기효능감척도(GASS-9)의 개발과 타당화, 전영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3(4): 939-962, , 2018

      82. 사회복지 실천과 척도개발: 표준화된 척도를 중심으로, 조성우, 엄명용, 서울: 학지사, , 2005

      83. Practice competencies for entry-level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aging, Bennett , J. M. , and Sneed , J., 25 : 305-315 ., , 1999

      84. 근로빈곤층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개념정의와 실태 파악, 홍경준, 한 국사회복지학, 57(2): 119-142, , 2005

      85. 행위중독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정: 귀인정서이론 적 용, 박근우, 서미경, 한국사회복지학, 69(3): 241-265, , 2017

      86. Developing self-care competency among child welfare workers : A first step, Miller , J. J., 108 : 1-6, , 2020

      87. The client satisfaction inventory : results of an initial validation study, McMurtry , S. L. , and Hudson , W. W., 10 ( 5 ) : 633-644 ., , 2000

      88.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책무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김경희, 서울 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0

      89. 성인의 문제음주 발달궤적의 잠재계층 분류와 영향요인, 권태연, 사 회복지연구, 51(4): 173-208, , 2020

      90. 역량기반 사회복지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김성호, 사 회복지역사연구, 2: 50-70, , 2019

      91. Development of the reflective practice questionnarie : preliminary findings, Priddis , L. , and Roger , S., 19 ( 1 ) : 89-104 ., , 2018

      92. Evaluating the use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psychological research, Fabrigar , L. R. , Wegener , D. T. , MacCallum , R. C. , and Strahan , E. J. ,, 4 ( 3 ) : 272-299 ., , 1999

      93. The substance abuse attitude survey : an instrument for measuring attitudes, Chappel , J. N. , Veach , T. L. , and Krug , R. S. ,, 46 ( 1 ) : 48-52 ., , 1985

      94.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 치료 사후관리 전문가 직무지침서, 윤명숙, 보 건복지부 정신건강기술개발사업단 연구과제, , 2016

      95.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K-CESD-R)의 표준화 연구, 류소연, 이은 , 이산 , 최원정, 전진용 , 이상욱 , 박진영, 이건석 , 오승택 , 정신신체의학, 24(1): 83-93, , 2016

      96. 가정의 형태와 사회적 지지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유병돈, 국 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2009

      97. 공공전달체계내 사례관리자의 사례관리 수행과 영향요인, 함철호, 한국지역사회복지학, 0(44): 1-31, , 2013

      98. Measuring social work values : A cross-cultural challenge for global practice, Abbott , A . A., 42 ( 4 ) : 455-470, , 1999

      99. 한국 사회에서 알코올중독자의 재발예방전략에 관한 연구, 최송식, 한국민족문화, 48: 307-348, , 2013

      100. 사회경제적 박탈과 문제음주의 종단적 상호인과관계 검 증, 정슬기, 이민욱,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6(3): 5-33, , 2018

      101. 사회복지 성찰역량척도(reflective capacity scale)의 타당화 연구, 유영준, 김민수, 이현지,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17(1): 5-34, , 2020

      102.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 찰: 역량의 특성과 차원, 박민정, 윤순경, 윤정일, 김민성, 교육학연구, 45(3): 233-260, , 2007

      103. 정부산하단체 임원의 공통 직무수행역량 설정에 관한 연구, 김상묵, 박천오,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5(1): 1-25, , 2004

      104. A primer on factor analysis with comments on patterns of practice and reporting, Hetzel , R. D., 4 : 175-206 ., , 1996

      105. Oncology social worker competencie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training, Zebrack , B. , Walsh , K. , Burg , M. A. , Maramaldi , P. , and Lim , J. W. ,, 47 ( 4 ) : 355-375 ., , 2008

      106. What people desire , feel conflicted about , and try to resist in everyday life, Hofmann , W. , Vohs , K. D. , and Baumeister , R. F., 23 ( 6 ) : 582-588, , 2012

      107. 간호대학생의 간호실무역량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통계분석, 홍정주,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 23(8), 123-131, , 2018

      108. 경제적 양극화와 자살의 상관성, 1997년 외환위기를 전후하여, 은기수, 한국인구학, 28(2): 97-129, , 2005

      109. 다문화 사회복지 실무자의 문화적 역량 척도개발 및 타 당화, 김정화, 노충래, 한국사회복지학, 63(2): 207-231, , 2011

      110.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핵심역량에 관한 수련 교육 요구분석, 문영주, 최은정, 황정우, 권자영, 하경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6(1): 64—93, , 2018

      111.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해경, 윤명숙, 미래사회복지연구, 6(1): 59-81, , 2015

      112. Income distribution and poverty in OECD countries in the second half of the 1990s, F ? rster , M. and d'Erocole , M., 22, , 2005

      113. 의정부시 제4기 행정혁신위원회 2018 상반기 연구과제 보고 서, 안이수, 의정부시, , 2018

      114. 직무분석에 기초한 사회복지학과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서동명, 원미순, 한국사회복지교육, 3(1): 71-125, , 2007

      115. 청소년의 물질중독 예방전략: 마약류 등 유해약물을 중심으로, 박성수, 한국중독범죄학회보, 7(4): 43-62, , 2017

      116. 간호사의 간호역량이 직무만족과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하나선, 최정, 간호행정학회지, 16(3): 286-294, , 2010

      117. 소득수준, 음주수준 및 음주폐해의 관계: 음주폐해역설의 검증, 이석호, 김용석,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8(3): 35-56, , 2020

      118. 지방자치단체의 역량기반 인적자원관리(CBHRM)와 인 사역량평가, 이홍민, 김종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2003

      119. Socialization tactics , self-efficacy , and newcomers ' adjustments to organizations, Jones , G. R., 29 ( 2 ) : 262-279 ., , 1986

      120.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요인의 수 결정하기: SPSS R-MENU를 중심으로, 조은성, 하용수, 상품학연구, 35(6): 27-40, , 2017

      121. 한국 성인의 중독위험, 삶의 만족도, 우울, 자살 사고 간의 관계, 박시현, 이은진, 이미형, 배미남, 정신간호학회지, 28(2):133-143, , 2019

      122. Behavioral addictions: Criteria. evidence, and treatment, 행동중독(신성만 역), Feder, L. C., Rosenberg, K. P., 서울: 박학사, , 2015

      123. 와이즈인컴퍼니, , DataIN으로 보고서 및 통계분석 한방 에 끝내기, 김원표, 이종환, 경기: 공동체, , 2019

      124. 일중독에 대한 철학상담: 하이데거의 현존재분석론을 중심으 로, 김현래, 철학 실천과 상담, 10: 93-120, , 2020

      125.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와 스마트폰 중독, 우울, 불안, 자존감, 백기청, 홍민하, 임명호, 심세훈, 이석범, 백혜순, 이효철, 이경규, 전연주, 오창근,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26(3): 159-164, , 2015

      126. On the emerging paradigm of drinking patterns and their social and health consequences, Rehm , J. , Ashley , M. J. , Room , R. , Single , E. , Bondy , S. , Ferrence , R. , and Giesbrecht , N. ,, 91 ( 11 ) , 1615-1621 ., , 1996

      127. Reasons of dropout form drug abuse treatment : symptoms , personality , and motivation, Ball , S. A. , Carroll , K. M. , Canning-Ball , M. , and Rounsaville , B. J., 31 ( 2 ) : 320-330 ., , 2006

      128. 고등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측정을 위한 측정 도구 개발과 타당화, 이효녕, 이현동, 박경숙, 권혁수,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5): 995-1006, , 2013

      129. 마약류사범재범방지를 위한 해외 사례 및 도입방안에 관한 연 구, 박진실, 중앙법학, 19(3): 187-220, , 2017

      130. 역량기반 대학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및 대안적 가능성의 모 색, 김민정,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79-84, , 2018

      131. Deconstructing the alcohol harm paradox : a population based survey of adults in England, Beard , E. , Brown , J. , West , R. , Angus , C. , Brennan , A. , Holmes , J. , Kaner , E. , Meier , P. , and Michie , S., 11 ( 9 ) : e0160666, , 2016

      132. ‘잠재적 약물사용 청소년 선별척 도’(SPDA)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임혁, 이기영, 박선희, 윤성호, 박미진,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7: 133-157, , 2004

      133. 기초생활보장수급자들과 일반인의 문제음주와 정신건강 비교연구, 김성혜, 윤명숙, 채완순, 한국알코올과학회지: 제9권, 2: 13-26, , 2008

      134.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이 직무만족과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 향, 박연희, 인문사회21, 9(6): 1353-1367, , 2018

      135. 핵심역량, 핵심인재: 인적 자원 핵심역량 모델의 개발 과 역량평가, 이홍민, 김종인, 서울: 리드리드, , 2003

      136. 사회복지사의 역량모델링에 근거한 학부 교과과 정 발전 방향 모색, 원영희, 안정선 , 배진형, 한국사회복지교육, 13: 149-180, , 2010

      137. 중독 관련 미술치료 연구 동향: 2002년∼2019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박단아,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20

      138. 노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화선, 한국사회복지교육, 18: 23-44, , 2012

      139. 사회복지사의 알코올 중독 내담자에 대한 태도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 전종설, 이주용,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5): 2605-2621, , 2014

      140.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역량 선행요인에 관 한 연구, 최소연, 한국가족사회복지학, 39(0): 113-141, , 2013

      141. 대학생의 우울과 사이버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자아정체 감의 매개효과, 김택호, 정형화,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30(1): 83-103, , 2019

      142. 척도개발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동향: [관광학연구] 학술지를 중심 으로, 김영국, 관광학연구, 32(6): 297-315, , 2008

      143. 다문화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실천가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도전 과 과제, 최혜지, 다문화가족연구, 8: 63-79, , 2013

      144. 대학생의 신경증과 우울 간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관계 중독의 매개효과, 송연주, 하문선, 청소년학연구, 28(2): 1-29, , 2021

      145. Working with alcohol and drug use : Exploring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social work student, Galvani , S. , and Hughes , N., 40 ( 3 ) : 946-962, , 2010

      146. 구조방정식모형에서 적합도지수의 해석과 모형적합 전략 에 대 한 논 의, 강현철, 한국자료분석학회, 15(2): 653-668, , 2013

      147. 도박중독자의 2차 범죄화 예방방안에 관한 연구: 치료 프로그램 중심으로, 안상원, 한상철, 한국중독범죄학회보, 3(1): 90-114, , 2013

      148. 사회복지사의 성찰적 실천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유영준, 이현지, 김민수,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33: 79-94, , 2019

      149. 희망복지지원단 통합사례관리사의 사례관리역량 자기평가지표개발 연구, 민소영, 최지선, 엄태영,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7(3): 229-254, , 2015

      150.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열정,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교사역량에 미 치는 영향, 이병임, 인문사회 21, 10(5): 945-955, , 2019

      151. The Role of the CJRAE social worker in preventing addiction in children from the CLUJ county school, Pura , R., 11 ( 3 ) : 97-107, , 2019

      152. 분리개별화와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자기수용의 이 중매개효과, 송연주, 재활심리연구, 28(1): 73-95, , 2021

      153. 사회경제적 지위와 우울수준 변화 궤적: 음주행위의 매개효과 를 중심으로, 권태연, 보건교육, 29(1): 59-72, , 2012

      154. 중독전문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 한 보수교육 현황 및 요구도 조사, 채정아, 최은정, 김용진, 조혜정,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9(4): 5—28, , 2021

      155.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수행역량분석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성에 관한 연구, 윤철수, 안정선 ,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2: 151-174, , 2007

      156. 음주가정폭력행위자에 개입하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실무자의 실천경험, 김주현, 장수미, 한국가족복지학, 57: 5-37, , 2017

      157. 청소년 정보화 현황과 대응방안 Ⅱ: 청소년의 온라인 생활과 학업적응 현황, 장근영, 남주희,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 2006

      158.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analysis : 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Costello , A . B. , and Osborne , J. W., 10 ( 7 ) : 1-9, , 2005

      159. 요인분석 모형의 이해와 적용: 주성분모형과 공통요인모형의 방법론적 비교, 엄한주,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3(1): 101-130, , 2001

      160. 간호사의 의사결정역량, 간호전문 직관, 직무만족이 이직충동에 미치는 영향, 이은영, 박미정, 최지혜, 윤현경, 이해영, 간호행정학회지, 19(5): 658-667, , 2013

      161. Attitudes of healthcare professionals in a general hospital to patients with substance misuse disorders, Raistrick , D. S. , Tober , G. W. , and Unsworth , S. L. ,, 20 ( 1 ) : 56-60 ., , 2015

      162. Th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 brief daily hassles scale suitable for use with adolescents, Wright , M. , Creed , P. , and Zimmer-Gembeck , M., 26 ( 3 ) : 220-226, , 2010

      163.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노인복지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 에 관한 연구, 손덕순, 노인복지연구, 71(2): 195-218, , 2016

      164. 우리나라 중독문제 현황과 통합적 중독 서비스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과제, 윤명숙,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35: 234-266, , 2010

      165. Educating for competency and reflective practice : Fostering a conjoint approach in education and training, Hackett , S., 13 ( 3 ) : 103-112, , 2001

      166. 아동기 외상과 데이트 폭력 피해의 관계: 유기도식과 관 계중독의 이중매개효과, 이윤연, 장현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2): 191-209, , 2017

      167. Influence of co-occuring mental and substance use disorders on the prevalence of problem gambling in Canada, Rush , B. R. , Bassani , D. G. , Urbanoski , K. A. , and Castel . S., 130 ( 11 ) : 1847-1856 ., , 2008

      168.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사회복지 역량모델 개발: 서울시 K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배진형 , 김성경, 김희수, 원영희, 안정선 , 김성호, 최선희, 한국 사회복지교육, 43: 1-27, , 2018

      169. 한국의 약물중독의 문제점과 사회복지 개입방향: 영국의 사회 복지적 개입과 비교, 이효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7-227, , 2010

      170. 직무만족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고용패널 데이터 활용을 중심으로, 이재춘, 오성욱, 김호원, 취업진로연구, 5(2): 75-98, , 2015

      171. 피그말리온 리더십이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 직무몰입,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최소연,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41: 119-139, , 2014

      172. Adapting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to assess social work students ’ performance and reflections, Bogo , M. , Regehr , C. , Logie , C. , Katz , E. , Mylopoulos , M. , and Regehr , G., 47 : 5-18 ., , 2011

      173.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이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효능 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부성숙, 김종미, 아동교육, 30(3): 89-107, , 2021

      174. 진로전담교사의 업무역량, 업무효능감,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직 무만족도에 대한 연구, 오정숙, 역량개발학습연구, 14(3): 105-129, , 2019

      175. Prevalence of psychiatric co-morbidity in treatment-seeking problem gamblers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owling , N. A. , Cowlishaw , S. , Jackson , A. C. , Merkouris , S. S. , Francis , K. L. , and Christensen , D. R., 49 ( 6 ) : 519-539 ., , 2015

      176. 클라이언트와의 전문적인 관계에서 사회복지사의 성숙태도 측 정을 위한 척도구성 연구, 이정호, 서울기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20

      177.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효능감 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김효선, 한숙정, 한국산학기술학회, 17(6): 598-608, , 2016

      178.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원희, 최종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7): 350-361, , 2018

      179. 외국인 환자 입원변동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 자 기효능감, 직무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 고미숙, 최은희, 최경옥, 임상간호연구, 22(1): 68-77, , 2016

      180.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관점에서 본 중독전문사회복 지사의 역할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최윤, 강선경,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1(2): 89-110, , 2019

      181. Working memory , executive function and impulsivity in internet-addictive disorders : a comparison with pathological gambling, Zhou , Z. , Zhou , H. , Zhu , H., 28 ( 02 ) : 92-100, , 2016

      182.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공감능력이 이용자 옹호에 미 치는 영향: 소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소희, 김미옥,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0(1): 79-105, , 2018

      183. 약물중독과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약물중독과 자살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임수현, 박혜인, 유은샘, 김영호, 전지윤, 임지현, 중 독과 복지, 2: 28-53, , 2018

      184. 공공기관 중간관리자의 코칭이 조직신뢰 및 자기효능감을 통한 부하직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일완,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3

      185. Patient factors predicting early alcohol-related readmissions for alcoholics : role of alcoholism severity and psychiatric co-morbidity, Booth , B. M. , Yates , W. R. , Petty , F. , and Brown , K., 52 ( 1 ) : 37-43 ., , 1991

      186. 사회복지사 훈련프로그램의 내용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종합 사회복지관의 종사자 훈련에 대한 적용, 조성우, 한국사회복지학, 59(2): 115-142, , 2007

      187. Assessing new child welfare worker competency through social simulation with standardized clients : rubric development and pilot testing, Havig , K. , Pharris , A. , McLeod , D. A. , Natale , A. P. , and Miller-Cribbs , J. ,, 14 ( 5 ) : 531-552 ., , 2020

      188. 알코올 문제를 가진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 연 구: 경험과 지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민정,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6

      189. Competency-Based Social Work Practice and Challenges in Child Case Management : Studies in the Districts Social Welfare Services , Malaysia, Brahim , S. , Mohamad , M. S. , Zakaria , E. , and Kusenin , N. S., 9 ( 9 ) : 2614-2620 ., , 2015

      190. Stigma among health professional towards patients with substance use disorders and its consequences for healthcare delivery : systematic review, van Boekel , L. C. , Brouwers , E. P. M. , van Weeghel , J. , and Garretsen , H. F. L., 131 ( 1-2 ) : 23-35 ., , 2013

      191. 사회복지사의 실천역량과 조직풍토가 사회복지실천수행에 미치 는 영향: 성찰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방혜선,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5

      192. 사회복지실천에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사회복지사 의 역량강화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박봉길, 전선영, 한국사회복 지학, 58(4): 341-369, , 2006

      193. 학력기 아동의 한국어판 아동음성장애지 수-10 (CVHI-10)의 타당도 및 신뢰도 진단 검사를 위한 ROC곡선과 절단 점 분석, 이경재, 라상학, 최성희, 최철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7(1): 202-211, , 2022

      194. 정신건강의 어려움을 가진 공공임대주택 거주자들의 삶 과 지원경험 연구: SH 찾아가는 마음건강 서비스를 중심으로, 백은령, 이은미, 한국장애 인복지학, 50:221-256, , 2020

      195. 정신건강문제가 있는 클라이언트를 위한 사회복 지기관의 서비스 제공과정 연구: 사회복지사의 현장체험을 바탕으로, 서진환, 황순찬, 이선혜, 정 신건강과 사회복지, 37: 279-320, , 2011

      196. From organizational awareness to organizational competency in health care social work : the importance of formulating a ‘ profession-in-environment ’ fit, Spitzer , W. , Ed Silverman , E. , and Allen , K., 54 : 193-211 ., , 2015

      197. 사회복지사의 윤리의식이 직무만족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슈퍼비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종두, 한세대학교 박사학 위 논문, , 2021

      198. 한국어판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척도(Client Satisfaction Index)의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김용석, 한국사회복지학, 59(4): 83-109, , 2007

      199. A study of therapeutic attitudes towards working with drug abusers :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Japanese version of the drug and drug problems perception questionnaire, Takano , A. , Kawakami , N. , Miyamoto , Y. , and Matsumoto , T., 29 : 302-308, , 2015

      200.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훈 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예비 사회복지사 양성을 위한 집단훈련 프로그 램 개발, 안정선 , 정상원 , 김선숙, 임상사회사업연구, 1(2): 101-130, , 2004

      201.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13th ed.), 사회조사방법론 (고성호 김광기 김상욱 문용갑 민수홍 유홍준 이성용 이정환 장준오 정기선 정태인 역), Babbie, E., 서울: Cengage Learning, , 2017

      202. 역, , 물질남용의 예방과 치료, Fisher, G. L., and Harrison, T. C., 2008, Substance abuse: Information for school counselors, social workers, therapists and counselors(4th ed), 정슬기, 김용석, 장승옥, 최현숙, 서울: 한국 음주문화연구센터, , 2010

      203. 한국어판 Alcohol and Alcohol Problem Perception Questionnaire 타당화 연구: 음주문제 클라이언트와의 실천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를 측정하는 도구, 송진희, 이재완, 김용석, 사회복지연구, 51(4): 209-241, , 2020

      204. 음주문제를 가진 저소득 실업자의 구직효율성 증진을 위한 직 업 준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제너럴리스트 사회사업 실천 모델 적용을 중 심으로, 조현순,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