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 개발 = Development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5997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ddiction is an issue that affects not only the individual, but also their family and environment; thus, it is essential for social workers to intervene. Social workers must have a certain level of knowledge about addiction to be able to prevent or mitigate the harm caused by addiction.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First,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were explored. In addition, a total of 121 final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the researcher's review and the content validity review of addiction problem experts and social workers practicing in the field. Following this, details of 506 cases collected from a survey of social worker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consisting of 3 factors and 27 questions was developed. The three factors wer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The reliability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was .970, and that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was .941 to .970, which was found to be very high, exceeding the conservative recommendation standard of .70.
      Second, the validity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was evaluated for convergence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convergence validit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self-efficacy, direct service work ratio related to addiction problems, and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direct service work ratio related to addiction problems, and job satisfaction.
      The discriminant validit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gender and age, which a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pected to be theoretically unrelated or have a low correlation to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gende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age was weak, almost non-existent, or negligible in terms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hird,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was identified. First, examining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based on the type of license held showed that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differed based on the social workers’ license type, a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license, medical social workers’ license, or an addiction-related license. The average score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was higher for those with a social workers’ first-class license than for those with a second-level license, for those with a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or medical social workers’ license than for those without a license, and for those with an addiction-related license than for those without.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Next, examining the level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education related to addiction problems, the group that completed addiction-related education at undergraduate or graduate school level had a higher averag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than the group that did not, and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imilarly, examining the level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addiction-related education over the preceding year demonstrated that the averag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training group, and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ccording to the working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was also investigated.
      Analysing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by dividing metropolitan area and non-metropolitan area demonstrated that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survey subjects working in the non-metropolitan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orking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imilarly, classifying the participants based on the institutions where they worked addiction-specialized institutions, hospitals and mental health institutions, and other social welfare institutions showed that the average competency score of social workers at addiction-specialized institutions was higher than those working at hospitals or mental health institutions, and other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amin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total experience reveal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level of social workers with less than 2 years of total experience and social workers with more than 10 years. In addition, examin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irect service for addiction problems revealed that survey subjects with a direct service ratio of addiction problems of 50% or more had a higher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than those with a direct service ratio of less than 50%;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standard score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was presented. This showed that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who have a professional license related to addiction and carry out direct service work at a certain level, meets the standard score. Applying these standards,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standard score was determined as follows. A score of less than 72 is a level that requires education or training to have a minimum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 score of 72 or more to less than 90 is a very low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90 or more to less than 105 points is low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105 to 106 is adequat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107 or more to less than 120 is a high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nd a score of 120 or higher were presented as a very high level.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developed a scale that ensured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e measurement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which has previously not been developed in Korea.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enabled the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including in substance addiction and behavioral addiction, over three factors: knowledge, technology, and attitude.
      Activation of research on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accumulation of theories can be expected.
      First, by using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grasp the overall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based on this, a plan to increase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can be prepared. Second, using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related to addiction problems provided to social workers. Third, the levels of the three factors constituting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can be foun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other factors.
      To increase the use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continuous evaluation of this scale should be carried ou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analyze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engaged in various social welfare institutions. Follow-up studies should specifically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the effects and ripple effects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repeatedly measure the standard score for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presented in this study and supplement the standard score through it. Follow-up studies must provide more specific and valid reference scores by repeatedly measuring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accumulating various data.
      번역하기

      Addiction is an issue that affects not only the individual, but also their family and environment; thus, it is essential for social workers to intervene. Social workers must have a certain level of knowledge about addiction to be able to prevent or mi...

      Addiction is an issue that affects not only the individual, but also their family and environment; thus, it is essential for social workers to intervene. Social workers must have a certain level of knowledge about addiction to be able to prevent or mitigate the harm caused by addiction.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First,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were explored. In addition, a total of 121 final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the researcher's review and the content validity review of addiction problem experts and social workers practicing in the field. Following this, details of 506 cases collected from a survey of social worker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consisting of 3 factors and 27 questions was developed. The three factors wer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The reliability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was .970, and that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was .941 to .970, which was found to be very high, exceeding the conservative recommendation standard of .70.
      Second, the validity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was evaluated for convergence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convergence validit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self-efficacy, direct service work ratio related to addiction problems, and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direct service work ratio related to addiction problems, and job satisfaction.
      The discriminant validit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gender and age, which a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pected to be theoretically unrelated or have a low correlation to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gende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age was weak, almost non-existent, or negligible in terms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hird,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was identified. First, examining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based on the type of license held showed that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differed based on the social workers’ license type, a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license, medical social workers’ license, or an addiction-related license. The average score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was higher for those with a social workers’ first-class license than for those with a second-level license, for those with a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or medical social workers’ license than for those without a license, and for those with an addiction-related license than for those without.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Next, examining the level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education related to addiction problems, the group that completed addiction-related education at undergraduate or graduate school level had a higher averag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than the group that did not, and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imilarly, examining the level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addiction-related education over the preceding year demonstrated that the averag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training group, and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ccording to the working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was also investigated.
      Analysing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by dividing metropolitan area and non-metropolitan area demonstrated that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survey subjects working in the non-metropolitan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orking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imilarly, classifying the participants based on the institutions where they worked addiction-specialized institutions, hospitals and mental health institutions, and other social welfare institutions showed that the average competency score of social workers at addiction-specialized institutions was higher than those working at hospitals or mental health institutions, and other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amin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total experience reveal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level of social workers with less than 2 years of total experience and social workers with more than 10 years. In addition, examin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irect service for addiction problems revealed that survey subjects with a direct service ratio of addiction problems of 50% or more had a higher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than those with a direct service ratio of less than 50%;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standard score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was presented. This showed that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who have a professional license related to addiction and carry out direct service work at a certain level, meets the standard score. Applying these standards,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standard score was determined as follows. A score of less than 72 is a level that requires education or training to have a minimum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 score of 72 or more to less than 90 is a very low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90 or more to less than 105 points is low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105 to 106 is adequat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107 or more to less than 120 is a high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and a score of 120 or higher were presented as a very high level.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developed a scale that ensured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e measurement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which has previously not been developed in Korea.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enabled the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including in substance addiction and behavioral addiction, over three factors: knowledge, technology, and attitude.
      Activation of research on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accumulation of theories can be expected.
      First, by using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grasp the overall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based on this, a plan to increase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can be prepared. Second, using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related to addiction problems provided to social workers. Third, the levels of the three factors constituting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can be foun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other factors.
      To increase the use of the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continuous evaluation of this scale should be carried ou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analyze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engaged in various social welfare institutions. Follow-up studies should specifically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the effects and ripple effects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repeatedly measure the standard score for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presented in this study and supplement the standard score through it. Follow-up studies must provide more specific and valid reference scores by repeatedly measuring the level of addiction intervention competency for social workers and accumulating various dat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독은 중독 당사자 개인뿐 아니라 가족과 주변 환경까지 영향을 주는 문제로 사회복지사의 개입이 필수적이다. 사회복지사는 중독에 대한 일정 수준의 지식을 갖추고, 중독문제 클라이언트에게 적절하게 개입하여 중독으로 인한 폐해를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측정 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선행연구 검토를 토대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연구자의 검토, 중독문제 전문가와 실천현장 사회복지사의 내용타당도 검토를 통해서 총 121개의 최종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그 후 사회복지사 대상 설문조사에서 수집한 506개의 사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3요인 27문항으로 구성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를 개발하였다. 3요인은 지식, 기술, 태도로 명명하였다. 신뢰도 분석 결과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970, 요인별 신뢰도는 .941∼.970으로 보수적 권고기준인 .70을 초과하여 신뢰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의 타당도는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평가하였다. 수렴타당도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과 자기효능감, 중독문제 관련 직접서비스 업무비율, 직무만족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은 자기효능감, 중독문제 관련 직접서비스 업무비율, 직무만족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별타당도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과 이론적으로 관계가 없거나 낮을 것으로 예상한 인구 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과 성별 간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리고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과 연령 간 상관관계는 상관계수 기준으로 볼 때 약하거나 거의 없는 수준, 무시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의 수준을 파악하였다. 먼저 자격증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알아본 결과 사회복지사 자격증 급수, 정신건강사회복지사 또는 의료사회복지사 자격증 유무, 중독 관련 자격증 유무에 따라서 중독개입역량의 수준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 소지자가 2급 자격증 소지자보다, 정신건강사회복지사나 의료사회복지사 자격증 소지자가 그렇지 않은 사회복지사보다, 그리고 중독 관련 자격증 소지자가 그렇지 않은 사회복지사보다 중독개입역량의 평균 점수가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중독문제 관련 교육 이수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알아본 결과 학부나 대학원에서 중독문제 교육을 이수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중독개입역량의 평균이 더 높았으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그리고 지난 1년 동안 중독문제 관련 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중독개입역량의 수준을 알아본 결과 교육을 참여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중독개입역량의 평균이 더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조사대상자 근무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도 알아보았다. 조사대상자의 근무지역을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구별하여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파악한 결과 비수도권에서 근무하는 조사대상자의 중독개입역량 수준이 수도권에서 근무하는 조사대상자보다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근무 기관을 중독전문기관, 병원 및 정신건강기관, 그리고 그 외 사회복지기관으로 구별하여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파악한 결과 중독전문기관 근무자의 평균 점수가 병원 및 정신건강기관 근무자와 그 외 사회복지기관 근무자의 평균 점수보다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다음으로 총 경력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차이를 알아본 결과 총 경력 2년 미만 종사자와 10년 이상 종사자의 중독개입역량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중독문제 직접서비스 업무비율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알아본 결과 중독문제 직접서비스 업무비율이 50% 이상인 조사대상자가 업무비율 50% 미만인 조사대상자보다 중독개입역량 수준이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독 관련 전문 자격증을 갖추고 일정 수준 이상의 직접서비스 업무를 진행하는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 수준이 기준 점수 제시에 부합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기준을 적용하여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135점 만점)으로 72점 미만은 ‘최소 수준의 중독개입역량을 갖추기 위한 교육이나 훈련이 필요한 수준’, 72점 이상∼90점 미만은 ‘중독개입역량이 매우 낮은 수준’, 90점 이상∼105점 미만은 ‘중독개입역량이 낮은 수준’, 105점∼106점은 ‘중독개입역량이 적절한 수준’, 107점 이상∼120점 미만은 ‘중독개입역량이 높은 수준’, 120점 이상은 ‘아주 높은 수준’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개발되지 않은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를 통해서 물질중독과 행위중독을 포괄하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을 지식, 기술, 태도 등 3요인에 걸쳐서 통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관련 연구의 활성화와 이론의 축적을 기대할 수 있다. 우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 도구를 활용하면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전반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를 활용하면 사회복지사에게 제공되는 중독문제 관련 교육훈련이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 향상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세 번째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을 구성하는 3개 요인의 수준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수준과 다른 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할 수 있다.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 척도에 관한 지속적인 평가를 실행해야 한다. 그리고 다양한 사회복지기관에서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중독개입역량 수준 파악과 분석이 필요하다. 후속 연구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이 미치는 영향과 파급 효과를 구체적으로 조사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에 관한 반복 측정과 이를 통한 기준 점수 보완이 필요하다. 후속 연구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수준의 반복 측정과 이를 통한 다양한 자료의 축적으로 기준 점수를 보다 구체적이고 타당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중독은 중독 당사자 개인뿐 아니라 가족과 주변 환경까지 영향을 주는 문제로 사회복지사의 개입이 필수적이다. 사회복지사는 중독에 대한 일정 수준의 지식을 갖추고, 중독문제 클라이언...

      중독은 중독 당사자 개인뿐 아니라 가족과 주변 환경까지 영향을 주는 문제로 사회복지사의 개입이 필수적이다. 사회복지사는 중독에 대한 일정 수준의 지식을 갖추고, 중독문제 클라이언트에게 적절하게 개입하여 중독으로 인한 폐해를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측정 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선행연구 검토를 토대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연구자의 검토, 중독문제 전문가와 실천현장 사회복지사의 내용타당도 검토를 통해서 총 121개의 최종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그 후 사회복지사 대상 설문조사에서 수집한 506개의 사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3요인 27문항으로 구성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를 개발하였다. 3요인은 지식, 기술, 태도로 명명하였다. 신뢰도 분석 결과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970, 요인별 신뢰도는 .941∼.970으로 보수적 권고기준인 .70을 초과하여 신뢰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의 타당도는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평가하였다. 수렴타당도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과 자기효능감, 중독문제 관련 직접서비스 업무비율, 직무만족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은 자기효능감, 중독문제 관련 직접서비스 업무비율, 직무만족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별타당도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과 이론적으로 관계가 없거나 낮을 것으로 예상한 인구 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과 성별 간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리고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과 연령 간 상관관계는 상관계수 기준으로 볼 때 약하거나 거의 없는 수준, 무시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의 수준을 파악하였다. 먼저 자격증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알아본 결과 사회복지사 자격증 급수, 정신건강사회복지사 또는 의료사회복지사 자격증 유무, 중독 관련 자격증 유무에 따라서 중독개입역량의 수준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 소지자가 2급 자격증 소지자보다, 정신건강사회복지사나 의료사회복지사 자격증 소지자가 그렇지 않은 사회복지사보다, 그리고 중독 관련 자격증 소지자가 그렇지 않은 사회복지사보다 중독개입역량의 평균 점수가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중독문제 관련 교육 이수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알아본 결과 학부나 대학원에서 중독문제 교육을 이수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중독개입역량의 평균이 더 높았으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그리고 지난 1년 동안 중독문제 관련 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중독개입역량의 수준을 알아본 결과 교육을 참여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중독개입역량의 평균이 더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조사대상자 근무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도 알아보았다. 조사대상자의 근무지역을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구별하여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파악한 결과 비수도권에서 근무하는 조사대상자의 중독개입역량 수준이 수도권에서 근무하는 조사대상자보다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근무 기관을 중독전문기관, 병원 및 정신건강기관, 그리고 그 외 사회복지기관으로 구별하여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파악한 결과 중독전문기관 근무자의 평균 점수가 병원 및 정신건강기관 근무자와 그 외 사회복지기관 근무자의 평균 점수보다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다음으로 총 경력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차이를 알아본 결과 총 경력 2년 미만 종사자와 10년 이상 종사자의 중독개입역량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중독문제 직접서비스 업무비율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알아본 결과 중독문제 직접서비스 업무비율이 50% 이상인 조사대상자가 업무비율 50% 미만인 조사대상자보다 중독개입역량 수준이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독 관련 전문 자격증을 갖추고 일정 수준 이상의 직접서비스 업무를 진행하는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 수준이 기준 점수 제시에 부합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기준을 적용하여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135점 만점)으로 72점 미만은 ‘최소 수준의 중독개입역량을 갖추기 위한 교육이나 훈련이 필요한 수준’, 72점 이상∼90점 미만은 ‘중독개입역량이 매우 낮은 수준’, 90점 이상∼105점 미만은 ‘중독개입역량이 낮은 수준’, 105점∼106점은 ‘중독개입역량이 적절한 수준’, 107점 이상∼120점 미만은 ‘중독개입역량이 높은 수준’, 120점 이상은 ‘아주 높은 수준’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개발되지 않은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를 통해서 물질중독과 행위중독을 포괄하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을 지식, 기술, 태도 등 3요인에 걸쳐서 통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관련 연구의 활성화와 이론의 축적을 기대할 수 있다. 우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 도구를 활용하면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 수준을 전반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를 활용하면 사회복지사에게 제공되는 중독문제 관련 교육훈련이 사회복지사의 중독개입역량 향상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세 번째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을 구성하는 3개 요인의 수준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수준과 다른 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할 수 있다.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척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 척도에 관한 지속적인 평가를 실행해야 한다. 그리고 다양한 사회복지기관에서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중독개입역량 수준 파악과 분석이 필요하다. 후속 연구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이 미치는 영향과 파급 효과를 구체적으로 조사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에 관한 반복 측정과 이를 통한 기준 점수 보완이 필요하다. 후속 연구는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수준의 반복 측정과 이를 통한 다양한 자료의 축적으로 기준 점수를 보다 구체적이고 타당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의 목적과 연구문제 9
      • Ⅱ. 이론적 배경 10
      • Ⅰ.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의 목적과 연구문제 9
      • Ⅱ. 이론적 배경 10
      • 제1절 중독과 사회복지실천 10
      • 1. 중독의 개념과 유형 10
      • 2. 현대사회의 중독문제와 쟁점 16
      • 3. 중독문제와 사회복지사 19
      • 제2절 역량 26
      • 1. 역량의 개념 26
      • 2. 역량에 대한 관점 29
      • 3. 역량모형 31
      • 제3절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34
      • 1.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의 개념 정의 35
      • 2.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의 구성요인 36
      • 1) 사회복지사 역량 관련 선행연구 고찰 37
      • 2) 중독개입역량 관련 선행연구 고찰 47
      • 3)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구성요인 도출 48
      • 3.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측정을 위한 선행연구 분석 49
      • 1) 중독개입역량 측정을 다룬 선행연구 50
      • 2) 사회복지사 역량 측정을 다룬 선행연구 53
      • Ⅲ. 연구방법 61
      • 제1절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측정 도구 개발절차 61
      • 제2절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예비문항 구성절차 63
      • 1.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의 이론적 개념 구성 63
      • 2.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예비문항 개발 66
      • 1) 기존 측정 도구에서 문항 수집과 선별 67
      • (1) 인지적 역량 관련 측정 문항 67
      • (2) 기능적 역량 관련 측정 문항 71
      • (3) 태도 및 가치 역량 관련 측정 문항 74
      • 2) 1차 예비문항 개발 77
      • 3. 내용타당도 평가 77
      • 4. 최종 예비문항 개발 77
      • 제3절 조사대상자 및 자료수집방법 80
      • 제4절 자료분석방법 81
      • 1. 요인분석 81
      • 2. 신뢰도 평가 82
      • 3. 타당도 평가 83
      • 4.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85
      • 5.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 탐색 86
      • Ⅳ. 연구결과 87
      •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87
      • 제2절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89
      • 1.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89
      • 1) 기본 가정의 확인 89
      • 2) 요인 수 결정 90
      • 3) 3요인 모형 후속 분석 98
      • 4) 요인명 부여 101
      • 2. 신뢰도 평가결과 106
      • 3. 타당도 평가결과 108
      • 1) 수렴타당도 평가결과 108
      • 2) 판별타당도 평가결과 110
      • 제3절 조사대상자의 중독개입역량 수준 112
      • 1. 조사대상자의 중독개입역량 수준 112
      • 2.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113
      • 1) 자격증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113
      • 2) 중독문제 관련 교육 이수 여부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116
      • 3) 조사대상자 근무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118
      • 4) 조사대상자 특성이 중독개입역량 수준에 미치는 영향 122
      • 제4절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 탐색 128
      • Ⅴ. 결론 및 제언 133
      • 제1절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133
      • 1. 연구결과 요약 133
      • 2. 논의 136
      • 제2절 연구의 함의 140
      • 1. 이론적 함의 140
      • 2. 실천적, 정책적 함의 141
      •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43
      • 참고문헌 146
      • 부 록 171
      • 1. 설문지 171
      • 2. 최종 예비문항 190
      • 3. 최종 예비문항 분포 196
      • Abstract 209Ⅰ.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의 목적과 연구문제 9
      • Ⅱ. 이론적 배경 10
      • 제1절 중독과 사회복지실천 10
      • 1. 중독의 개념과 유형 10
      • 2. 현대사회의 중독문제와 쟁점 16
      • 3. 중독문제와 사회복지사 19
      • 제2절 역량 26
      • 1. 역량의 개념 26
      • 2. 역량에 대한 관점 29
      • 3. 역량모형 31
      • 제3절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34
      • 1.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의 개념 정의 35
      • 2.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의 구성요인 36
      • 1) 사회복지사 역량 관련 선행연구 고찰 37
      • 2) 중독개입역량 관련 선행연구 고찰 47
      • 3)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구성요인 도출 48
      • 3.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측정을 위한 선행연구 분석 49
      • 1) 중독개입역량 측정을 다룬 선행연구 50
      • 2) 사회복지사 역량 측정을 다룬 선행연구 53
      • Ⅲ. 연구방법 61
      • 제1절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측정 도구 개발절차 61
      • 제2절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예비문항 구성절차 63
      • 1.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의 이론적 개념 구성 63
      • 2.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예비문항 개발 66
      • 1) 기존 측정 도구에서 문항 수집과 선별 67
      • (1) 인지적 역량 관련 측정 문항 67
      • (2) 기능적 역량 관련 측정 문항 71
      • (3) 태도 및 가치 역량 관련 측정 문항 74
      • 2) 1차 예비문항 개발 77
      • 3. 내용타당도 평가 77
      • 4. 최종 예비문항 개발 77
      • 제3절 조사대상자 및 자료수집방법 80
      • 제4절 자료분석방법 81
      • 1. 요인분석 81
      • 2. 신뢰도 평가 82
      • 3. 타당도 평가 83
      • 4.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85
      • 5.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 탐색 86
      • Ⅳ. 연구결과 87
      •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87
      • 제2절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89
      • 1.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89
      • 1) 기본 가정의 확인 89
      • 2) 요인 수 결정 90
      • 3) 3요인 모형 후속 분석 98
      • 4) 요인명 부여 101
      • 2. 신뢰도 평가결과 106
      • 3. 타당도 평가결과 108
      • 1) 수렴타당도 평가결과 108
      • 2) 판별타당도 평가결과 110
      • 제3절 조사대상자의 중독개입역량 수준 112
      • 1. 조사대상자의 중독개입역량 수준 112
      • 2.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113
      • 1) 자격증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113
      • 2) 중독문제 관련 교육 이수 여부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116
      • 3) 조사대상자 근무특성에 따른 중독개입역량 수준 118
      • 4) 조사대상자 특성이 중독개입역량 수준에 미치는 영향 122
      • 제4절 사회복지사 중독개입역량 기준 점수 탐색 128
      • Ⅴ. 결론 및 제언 133
      • 제1절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133
      • 1. 연구결과 요약 133
      • 2. 논의 136
      • 제2절 연구의 함의 140
      • 1. 이론적 함의 140
      • 2. 실천적, 정책적 함의 141
      •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43
      • 참고문헌 146
      • 부 록 171
      • 1. 설문지 171
      • 2. 최종 예비문항 190
      • 3. 최종 예비문항 분포 196
      • Ⅵ. 영문 논문제출서 207
      • Ⅶ. 영문 인준서 208
      • Ⅷ. 영문 초록(ABSTRACT) 2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